•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중·일 3국의 양자 및 3자 투자협정간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Bilateral and Trilateral Investment Agreements by Korea, China and Japan)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15.06
32P 미리보기
한·중·일 3국의 양자 및 3자 투자협정간의 관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국제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법학회논총 / 60권 / 2호 / 35 ~ 66페이지
    · 저자명 : 공수진

    초록

    동북아 3국간에는 현재 양자 및 3자간 투자협정이 병존하고 있다. 즉, 한중일 3국간 투자협정과 이들 국가간 체결된 3개의 양자간 투자협정이 병존하고 있어, 투자규범이 중첩되고 법적 불확성과 복잡성이 증가하고 있다. 대체적으로 한중일 투자보장협정(이하 ‘한중일 TIT’라 함)은 기존의 양자 협정들을 개선한 것으로 평가되나, 설립 전 단계의 투자가 제외되는 등 한일 투자협정(이하 ‘한일 BIT’라 함)을 포괄하고 있지 못한 것도 사실이다. 또한, 한중일 TIT가 한중 양자투자협정(이하 ‘한중 BIT’라 함)을 개선한 것은 사실이지만, 모든 측면에서 그러한 것은 아니다. 실례로서 지난 2014년말 한국 기업이 중국정부를 대상로 제기한 투자자-국가간 소송은 한중 BIT을 근거로 제기된 바 있다. 따라서, 협정별로 비교하기보다는 중첩되는 규범 단위로 살펴볼 필요가 있는 바, 본 연구는 정의/적용범위, 투자의 일반대우, 비차별원칙의 실체적 규정과 투자자-국가 분쟁해결 절차규정을 중심으로 검토해보았다.
    투자자 및 투자의 범위는 각 협정별로 개방적이고 예시적 목록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유사하였고, 넓게 정의되어 있어 사실상 투자협정에서의 모든 투자 및 투자자는 중첩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투자의 일반대우로서 공정하고 공평한 대우나 지속적인 보호 및 안전을 보장하는 규정은 일본과 중국간 양자투자협정(이하 ‘일중 BIT’라 함)을 제외하고는 모두 포함하고 있었다. 일중 BIT도 표현이 약간 다르지만 유사한 규정을 포함하고 있었으므로, 최소보호기준도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내국민대우와 최혜국대우로 이루어진 비차별원칙은 적용 범위에서 있어서 협정간 차이가 있었다. 즉, 한일 BIT는 설립 전 단계의 투자가 포함되었고 구체적인 비합치조치관련 규정이 마련되어 있었던 반면, 한중일 BIT와 한중 BIT는 설립 후 단계의 투자로 한정되어 있었고, 매우 간략한 비합치조치만 포함되어 있었다. 또한, 한중 BIT는 한중일 BIT와 달리 투자의 확장(expansion)이 포함되어 다른 점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투자자-국가 분쟁해결제도는 일중 BIT를 제외하면 나머지 협정들의 조항들은 서로 유사하였는데, 한중일 TIT와 한중 BIT에만 우산조항이 있었고, 한중 BIT에만 준거법이 명시되어 있는 점이 주목할 만 하다.
    한중일 TIT는 기체결된 양자협정들과 명시적으로 병존하도록 규정하고 있고, 포함된 투자 규범들은 중첩되어 있으면서도 완전히 동일하지 않아 법적 혼란은 이미 예견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투자자-국가 분쟁해결절차의 경우, 양자 및 3자 협정간 선택은 가능하나 그러한 선택이 최종적인지에 대한 명확한 규정이 결여되어 있어 혼란이 예상된다. 부분적으로 기판력(res judicata) 또는 소송계속(lis pendens)와 같은 법원칙을 통해 일부 해소가 가능하며, 투자자의 보호의 측면에서 최혜국대우의 적용을 통해 협정간 다른 규범들간의 조화를 추구해 볼 여지는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모두 제한적이며, 영구적인 해결 방법은 아니라는 사실을 주지해야 할 것이다.
    또한, 동북아 3국간 중첩되는 투자규범은 최근 체결된 한중 FTA와 같은 지역주의로 인해 다층적 구조로 나아가고 있다. 현재 진행 중인 한중일 FTA,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환태평양동반자협정(TPP)을 고려할 때, 여러 협정에서 중첩되는 규범들이 병존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면 멀지 않아 포럼쇼핑은 물론 규범쇼핑은 더 심화될 것이며, 법적 혼란을 가중될 것이다. 이러한 혼란은 협정의 조화로운 해석이나 최혜국대우를 통해 어느정도 조정될 수 있겠으나, 이는 제한적이라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현실적으로 신규 협정의 체결시 기존 협정을 종료하거나 단계적으로 종료해나가면서 좀 더 통합적이고 일관성있는 투자규범을 완성시켜 나가는 방안이 바람직 한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Trilateral and bilateral investment agreements co-exist in Northeast Asia. There are 3 bilateral and 1 trilateral investment agreements among Korea, China and Japan in parallel and their overlapping investment rules increase legal complexities. It is generally understood that the investment agreement among Korea, China and Japan (hereinafter “CJK TIT”) improves the existing bilateral investment agreements but does not surpass the Korea-Japan investment agreement (hereinafter “JK BIT”) which covers investments in pre-establishment phase. Besides, the CJK TIT improve only some of the Korea-China investment agreement (hereafter “CK BIT”), not as the whole agreement. Thus, when a Korean investor request an ICSID arbitration against China, his claim was based on the CK BIT. For this reason, this study reviewed specific articles of the investment agreements of three countries such as definitions/scope, general treatment to investment, non-discrimination principle and investor-state dispute settlement, after comparing the bilateral/trilateral investment agreements.
    Regarding definition/scope, all investment agreements in analysis use an open and inclusive list for investor/investment. As broadly defined, the scope of investor/investment is overlapped in all 4 agreements. Furthermore, ‘fair and equitable treatment’ and ‘full and constant protection and security’ are guaranteed by each investment agreements except the one of China-Japan investment agreement (hereinafter “CJ BIT”) which provides similar treatment with textual difference. However, the non-discrimination principle of National Treatment and Most-Favored Nation Treatment differs from agreement to agreement. While the JK BIT covers investments in pre-establishment stage with detailed provisions on non-conforming measures, the CJK TIT and CK BIT is limited to investment in post-establishment stage along with a simple provision on non-conforming measures. Interestingly, the CK BIT includes the ‘expansion’ of investments which is excluded in the CJK TIT. Lastly, the procedural rules on investor-state dispute settlement are quite similar in 4 agreements except the umbrella clause and applicable laws.
    It seems that the CJK TIT affirms explicitly the existence of overlapping treaties by re-affirming the existing bilateral agreements in parallel. Accordingly, legal complexities and confusion will be followed as those rules in the agreements are not identical but similar with different text. With regard to the investor-state dispute settlement procedure, parallel proceedings resulting from overlapping agreements are not explicitly prohibited. In other words, investors may choose the proceeding under either bilateral or trilateral agreement but the finality of the choice is not explicitly provided in the agreements. To avoid such parallel proceedings, the international law principles of res judicata or lis pendens can be considered. At the same time, the most-favored-nation treatment can play a role of coordinating overlapping rules of the investment agreements.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se are very limited remedies for overlapping agreements.
    Those intra-investment rules in Northeast Asia are already overlapped and become multi-layered due to the surge of regionalism. Recently, Korea and China conclude their bilateral Free Trade Agreement and other huge regional FTAs are under negotiation. Northeast Asian countries are participating in the trilateral FTA among China, Japan and Korea, Regional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RCEP) and Trans-Pacific Partnership (TPP). If those regional agreements opt for another parallelism in relation with existing trade and investment agreements, the overlapping agreements are multiplied along with the multi-layered rules, which wil lead investors to not only more forum shopping but also rule shopping. These legal uncertainty and complexity can be managed to some extent through harmonious interpretation of treaties or most favoured national treatment. However, it is a temporary and limited remedy. More permanent resolution is to make ultimately integrated and coherent investment rules in a multilateral frame. Until then, it is desirable to terminate or phase out the old treaty when a new treaty is concluded on the same subject-matter by the same Par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5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