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의와 민주주의의 관계: 절차적인가, 실질적인가? (A Consideration on the Relation between Justice and Democracy: Procedural or Substantial?)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1 최종저작일 2013.09
20P 미리보기
정의와 민주주의의 관계: 절차적인가, 실질적인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21세기정치학회
    · 수록지 정보 : 21세기정치학회보 / 23권 / 2호 / 1 ~ 20페이지
    · 저자명 : 설한

    초록

    정의와 민주주의는 20세기 중반 이래 정치철학의 지배적인 주제가 되어 왔다. 그러나 현대 정치철학에서 정의와 민주주의는 상대적으로 분리된 채 논의가 이루어져 온 경향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치적 민주주의에 대한 전통적인 이론과 현대이론들에 있어서 이 두 개념 사이의 관계에 대한 인식은 존재해 왔으며, 이는 결코 해결이 쉽지 않은 정당한 이 두 가치 사이의 갈등 혹은 개념상의 딜레마를 보여주고 있다. 그동안 여러 측면에서 이 문제를 다루기 위한 중요한 접근들이 시도되어 왔다. 특히 롤즈(Rawls)는 그의 정의론의 입장에서, 그리고 달(Dahl)은 그의 민주주의론의 관점에서 이 문제를 다루어 왔다. 또한 하버마스(Habermas)는 그의 의사소통행위 이론뿐 아니라 법과 민주주의에 관한 논의를 통해, 그리고 코헨(Cohen)과 영(Young) 등의 여러 이론가들 역시 흥미로운 관점을 보여주고 있다. 이들의 견해 속에는 각기 정도는 다르지만 정의와 민주주의의 관계에 대한 이념형으로서 다양한 개념모델들이 예시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글의 목적은 이들 중 특히 롤즈, 달, 그리고 하버마스에 주목하여 그들의 견해 속에서 나타나는 민주주의와 정의의 관계에 관한 이론적 대안들을 주로 세 가지 주요 모델의 측면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이 분석은 민주주의와 정의에 대한 절차적이고 담론적인 접근법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한다. 이 글에서 분석된 여러 견해에 있어서 권리는 대체로 이런저런 절차에 의해 그 정당성이 인정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혹은 권리는 담론절차나 민주적인 절차에 필수적인 것으로 전제되거나 우리 특유의 도덕적 혹은 사회적 직관에 호소함으로써 정당한 것으로 인정된다. 이 접근들은 정의의 개념이 요구하는 인간권리의 독자적인 존재 근거를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담론이론, 심의민주주의 혹은 롤즈 이론에 의해 제공되는 것보다 더욱 안정적인 인권의 근거를 고려하는 민주주의 개념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어떻게 정당화되든 민주적인 절차가 정의롭지 못한 결과에 여전히 이를 수 있다는 것을 우리가 인정한다면 정의의 어떠한 독자적 기준이 반드시 있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Justice and democracy have been dominant themes in political philosophy since the mid-twentieth century. However, it is observed that contemporary political philosophy has rarely succeeded in holding them in joint focus. Nevertheless, in both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theories of political democracy there has been recognition of the relation between these two concepts, which shows a conceptual dilemma or conflicts between these two justified values. In fact, when the norms of justice and democracy conflict difficult questions arise over this issue in the theory of democracy. So far, there have been important approaches to them from various points of view. Especially, Rawls has discussed them from the standpoints of his theory of justice and Dahl from his democratic theory. Habermas has shown a significant perspective on the relation between justice and democracy in his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as well as in his view of law and democracy. Cohen, Young, and others also have developed interesting perspectives. It seems that their views exemplify theoretical alternatives as ideal conceptual models of the relation between justice and democracy in varying degre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oretical alternatives of the relation between justice and democracy principally in terms of three main conceptual models, focusing on the views of Rawls, Dahl, and Habermas. This analysis centers around a critique of procedural and discursive approaches to democracy and justice. The focus of the analysis is on both the questions concerning whether the requirements of justice can legitimately constrain democratic decision-making and the problem of paradox in which democracy as a requirement of justice would need to be delimited for the sake of justice. Within this viewpoint, the question of what legitimates the constitutional protection of rights and the constraints on democratic processes if the constitution derives its authority from a democratic process is considered as wel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21세기정치학회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