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철학은 하나의 학문인가? (Is the Philsophy a Scienc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9 최종저작일 2019.02
34P 미리보기
철학은 하나의 학문인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코기토 / 87권 / 445 ~ 478페이지
    · 저자명 : 손영삼

    초록

    철학이란 도대체 무엇인가? 이 물음은 철학이 끊임없이 묻고 있는 것이지만, 우리는 아직까지 마땅한 답을 찾지는 못하고 있다. 그런데 하이데거는 『철학 입문』에서 “철학은 하나의 학문이 아니다.”라고 주장한다. 이 주장은 대학에서 철학을 연구하며 강의하고 있는 우리를 무척 당황스럽게 만든다. 왜냐하면 우리는, 철학이 다른 학문들과 다르기는 하지만, 학문이 아니라고 파악하고 있지는 않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우리는 철학이 만학의 여왕이라고 막연히 짐작하여 자처하고 있다. 하지만 다른 학문들은 철학을 만학의 여왕으로 받들지는 않는다. 철학은 자칭 만학의 여왕일 뿐이다. 게다가 다른 개별학문들도 “철학은 하나의 학문이 아니다”라고 주장하고 싶을지 모른다.
    하이데거에 따르면, 철학은 학문이라는 집합(유개념)에 속하는 원소(종개념)인 개별학문일 수 없기 때문에 학문이 아니다. 다시 말해, 철학은 개별학문들 가운데 가장 뛰어나서 만학의 여왕이 아니라, 개별학문들을 가능하게 하는 근원이어서 만학의 여왕이며, 그래서 개별학문들 가운데 하나가 아니다. 이와 같은 하이데거의 주장은 그의 철학이 존재와 존재자를 구별하고 존재를 탐구하는 존재론이라는 입장에서부터 비롯한다. 개별학문들은 존재자를 탐구하는데, 존재자를 탐구하기 위해서는 존재자를 존재자이도록 하는 존재를 먼저 탐구하지 않으면 안 되며, 철학이 존재를 탐구한다는 것이 하이데거의 입장이다. 이와 같은 하이데거의 입장과 주장은 철학 안에서도 논란의 여지가 있는 것이기는 하다.
    하지만 “철학은 하나의 학문이 아니다”라는 하이데거의 주장은 대학에서 철학을 연구하고 강의하는 우리에게 “철학이란 도대체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대한 대답을 찾을 수 있는 새로운 실마리를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구와 강의 활동에서 우리가 무엇을 어떻게 왜 해야 하는가를 되새겨 볼 수 있는 길잡이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하나의 학문이 아닐 수도 있는 철학이 학문의 전당이며 학문의 공동체인 대학에서 개별학문들과 더불어 사회에 이바지할 수 있는 가능성은 대학 안에서 철학이 갖는 위상을 새롭게 규정하는 데에 놓여 있다. 왜냐하면 철학에 대한 오해는 대학 안과 밖에서 생겨나고 있으며, 심지어 철학 전공영역 안에서도 일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분업과 협업이라는 원리에 따라 대학은 학문 활동을 통해 사회의 요청에 부응해야 하는 의무를 스스로 지니고 있다. 이와 같은 사정에서 보자면, 하나의 학문이 아닐 수도 있는 철학도, 대학을 구성하고 있는 전공 영역들 가운데 하나인 한, 사회의 요청에 부응해야 한다. 철학 이론을 형성하고 철학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이 사회의 요청에 대한 철학의 부응이다. 이와 같은 부응을 위해서 철학은, 비록 하이데거의 입장과 주장을 따르지는 않는다고 하더라도, 연구와 강의 활동에서 철학 입문과 철학 활동을 수행해야 한다. 철학 입문은 철학이라는 전공 영역을 위한 입문이기도 하지만, 또한 철학 활동에 대한 입문이기도 하다. 철학 활동은 철학이론을 형성하고, 형성되는 철학 이론을 바탕으로 사회에 이바지하는 것이다.
    이 글에서 우리는 사회 안의 대학, 대학 안의 학문, 대학 안의 철학에 대해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를 살펴보면서, 철학에 대한 하이데거의 입장과 주장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가운데, 하나의 학문이 아닐 수도 있는 철학이 학문의 전당이며 학문의 공동체인 대학에서 어떤 자리를 차지해야 하며, 사회의 요청에 어떻게 부응해야 하는가를 검토하고 제시하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What is the philosophy? The philosophy ask consistently this question after its birth, butan adequate answer to this question is not given yet. Heidegger asserted, in Einleitung in diePhilosophie, that the philosophy is not a science of sciences. This assertion makes us very confused,who research and lecture the philosophy in the university. Although we consider thephilosophy as a different thing from any other sciences, we don’t understand, that the philosophyis not a science of sciences. We make a hasty deduction according to the so-called traditionof philosophy, that the philosophy is the queen of sciences. But another sciences respectthe philosophy as the queen by no means! The philosophy claim itself to be a queen ofsciences. Another sciences would like to assert, “the philosophy is never a science of sciences!”According to Heidegger, the philosophy is not a science of sciences, because it is not amember of sciences. The philosophy is the queen of sciences, not for its brilliantness, but forbeing the origin of another sciences. This Heidegger’s assertion is from his own standpoint ofphilosophy, that Being(Sein) is different from beings(Seiendes), and then the philosophy isan ontology, which inquire into Being. Another sciences make researches in beings. For researchof beings, Being is firstly inquired into, because beings become for the first time itselfowing to Being. The philosophy inquire into Being, and Heidegger’s philosophy is theontology. But his own standpoint and assertion is a controversial problem in the section ofphilosophy.
    Nevertheless Heidegger’s standpoint and assertion of philosophy is relevant for us, sincewe research and lecture now the philosophy in the university. His own standpoint and assertionof philosophy would give us a clue for answering to question, what is the philosophy.
    And it would be a guide for us, which suggest us, what and how we may do in our researchand lecture of philosophy in the university. Although the philosophy may be not a science ofsciences, it makes a great contribution to the public with another sciences in the university, ifthe philosophy will find his proper topology among the sciences in the university. For thereare some misunderstanding and disappointment of the philosophy in the university, in thepublic, even in the philosophy itself.
    The contribution of the university to the public meet requests from the public throughthe activities of research and lecture. According to this circumstances, the philosophy mustmeet to requests from the public, while it may be a member of community in the university,even though it must be a science of sciences. Formation of theories in philosophy and cultivationof professional members in the philosophy is the contribution of the philosophy to thepublic. For this contribution, the philosophy in the university must discipline itself the introductionto the philosophy and the activity of the philosophy. The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is not only an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ical theories but also to the philosophicalactivities.
    In this paper, we will look at with attention popularly figured point of view to the universityin the public, the science in the university, the philosophy in the university. And,while understanding and interpreting Heidegger’s standpoint and assertion of philosophy, wewill investigate, which position the philosophy has in the university and how the philosophymeets to requests from the publi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코기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