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본주의와 가부장제 사이의 관계에 대하여 (On the Relation between Capitalism and Patriarch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13.05
28P 미리보기
자본주의와 가부장제 사이의 관계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통일인문학 / 55권 / 289 ~ 316페이지
    · 저자명 : 이재유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자본주의와 가부장제의 관계를 해명하는 데 있다. 가부장제는 자본의 생산과정으로는 설명하지 못하는 또 다른 착취와 억압의 체계이다. 이러한 점은 모든 것을 경제적 토대로 환원시키고자 하는 기존 맑스주의로는 설명할 수 없는 부분이다. 바로 이런 점에 기초하여 급진 페미니즘과 사회주의 페미니즘은 가부장제가 특수한 역사적 국면인 자본주의와는 구별되며, 그리하여 자본주의에 선행하는 초역사적인 것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가부장제를 이렇게 초역사적인 것으로 만들어 버리면, 가부장제는 근본적으로 해체될 수 없는 구조로 남게 되며 자칫 개량주의로 흐를 위험이 커지게 된다. 특히 자본주의와 가부장제를 통일적으로 결합시키려는 사회주의 페미니즘의 이론적 구조는 헤겔의 절대정신의 운동 구조와 매우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가부장제는 노동자들이 노동력을 재생산하고 새로운 노동력 생산 과정 중에 개별적으로 자기 자신을 생산하여 자본가와 개별적으로 계약하고 살아남기 위한 것으로부터 싹트는 것이다.
    그러므로 자본에 대한 계급투쟁은 곧 노동자 계급이 자신의 생산과정 속에 내재해 있는 가부장제의 모순을 척결해 나가는 투쟁으로부터 시작되며 또한 이 투쟁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가부장제 폐지 투쟁은 자본주의 폐지 투쟁의 전제이며 노동계급 투쟁의 진지를 구축하는 투쟁, 물적 토대를 구축하는 투쟁, 코뮌을 형성하는 투쟁이라고 할 수 있다. 자본주의 폐지 투쟁으로서 가부장제 폐지 투쟁은 자본의 자기 생산 전제 조건의 기존 기반을 무너뜨리는 투쟁이다. 그리하여 자본주의가 더 이상 작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투쟁이다.

    영어초록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relation of capitalism and patriarchy. Patriarchy is another system of the exploitation and pressure that can’t be explained through the production process of capital. This point is the uncountable part through the existing Marxism that reduce all of things to the economical basis. On the basis of this, the radical feminism and the socialist feminism argue that Patriarchy is distinguished with capitalism which is a special historical epoche, and so that it is the transhistorical which precedes capitalism. However, when patriarchy is made such as the transhistorical, it would make a structure which is not dissolved radically and have some risk to flow to reformism. In particular, the theoretical structure of socialist feminism to unify Capitalism and Patriarchy is quite similar to Hegel’s ‘Absolute Geist’ movement structure.
    Patriarchy starts in the process which workers product themselves individually in the process of reproduction and new production of the labor force the new labor power.
    So, the class struggle is started from the struggle that worker class root out the contradiction of patriarchy which is in the process of his production, and also is inseparable from this struggle. The abolition struggle of patriarchy is the premise of the abolition struggle of capitalism, and is the struggle to build a stronghold of the worker class, the struggle to construct material foundations and the struggle to form the commune. As abolition struggle of capitalism, the abolition struggle of patriarchy is the struggle to break down the existing base of the capital self-production premise. And so, this struggle is the struggle by which capitalism can’t be operated any mo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통일인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