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회변동과 시민성 논쟁 (Social Change and Citizenship Debat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8.08
19P 미리보기
사회변동과 시민성 논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회과교육연구 / 25권 / 3호 / 1 ~ 19페이지
    · 저자명 : 이종일

    초록

    본 논문은 사회변동에 따른 시민성 논쟁을 검토함으로써 시민성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19세기 서구 국가는 외부 세력에 대항하기 위해서 다양한 경험과 사고를 가진 시민들을 하나로 묶을 수 있는 공통의 국가의식 혹은 민족의식이 필요하였다. 이를 위해 서구 국가는 커리큘럼이나 정전을 통해 구성원들의 국민정체성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국민정체성 교육은 20세기에 들어와 이민의 급증과 다양한 시민층의 성장으로 인해 점차 민주시민성 교육으로 전환하게 되었다. 미국의 경우 시민성 교육은 동화주의를 토대로 한 1910년대의 미국시민화 교육, 1930년대의 공민 교육에서 1968혁명을 거치면서 다원주의를 토대로 한 다문화 시민교육, 글로벌 시민교육으로 변화하였다. 오늘날 시민성 교육은 정치적 올바름 논쟁을 불러일으키면서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한국은 해방이후 서구의 민주주의 체제를 바탕으로 하면서, 국가가 주도한 시민성 교육은 구성원들을 하나로 묶어 근대화라는 시대적 과제를 해결하였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주류집단의 획일적 사고를 강요함으로써 사고방식이나 생활 방식이 다른 사람들을 배제하는 외집단 배제 메커니즘을 낳으면서 상호 대립을 심화시키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한국의 시민성 교육은 타자를 주류집단에 동화시키는 교육을 넘어서 타자를 주체로 인정함과 동시에 이를 제도 차원에서 뒷받침하는 법적․정치적․사회적 조직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더불어 타자에 대한 책임 또한 이 시대를 함께 살아가는 사람들뿐만 아니라 다른 종(種), 환경 그리고 미래 세대에 까지 확장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to trace historical developments of the debates on ‘citizenship education’ in both the West and Korea, in order to get some implications for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21th century Korea. In the 19th century, the western societies witnessed a need for common national identities to consolidate peoples of diverse experiences and ideas into one homogeneous state.
    Common curricula or canonical texts were answers to this call. In the 20th century, the national identity education of the previous century was gradually changed into the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due to the upsurge of immigrants and formation of diverse citizen groups. In America, for example, the citizenship education meant first Americanization as assimilation in the 1910s, then civic education in the 1930s, and finally multicultural 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based on pluralism since the ’68 revolution. The political correctness debate is now adding a new element to the citizenship education. In Korea, meanwhile, since the emancipation from the Japanese rule, the citizenship education has emphasized the nationalist ethos laced with western democracy, funnelling social energies into much-needed modernization. One of its side effects has been, however, a growing social conflict between the dominant group and its excluded outsiders with different ways of thinking and life. It is suggested, therefore, that the citizenship education in contemporary Korea may need to go beyond assimilating the ‘others’ into the majority group, recognizing them as equal subjects, institutionally buttressed by the legal, political, and social systems. Included in the ‘others’ may be future generations, other life-forms, and natural and manmade environments, as well as contemporary human being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