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숲에서의 자연체험활동에 참여한 유아들의 경험 (Experiences of Young Children Participating in Nature-experiencing Activities in the Wood)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9 최종저작일 2013.08
26P 미리보기
숲에서의 자연체험활동에 참여한 유아들의 경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유아교육연구 / 15권 / 1호 / 111 ~ 136페이지
    · 저자명 : 이인선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들이 유치원 인근 숲에서 자유로운 탐색, 오감각으로 체험, 생태강사와 함께 놀이를 중심으로 한 자연체험 활동에 참여하면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경험이 어떠한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광주시 N병설유치원의 만 5세 유아 6명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생태강사 1인과 함께 16회에 걸쳐 자연체험활동을 실시하였고, 녹화자료의 전사, 사진, 연구자의 기록, 메모, 유아들의 작품 분석 등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초기 유아들은 숲과 활동에 대한 낯설음과 두려움을 나타냈고, 점차 자연과의 교감을 경험하였다. 또한 유아들은 적극적인 탐색활동을 통한 다양한 표현활동과, 숲 속에서 친구와의 다양한 경험을 나타냈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xperiences of young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nature-experiencing activities which comprised searching freely, experiencing by five senses, and playing with eco-staffs in the wood neighbouring their kindergarten.
    For the purpose, following research question was set up.
    1. What experiences do young children have during nature-experiencing activities in the wood which neighbors their kindergarten?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six five-year-old children attending a kindergarten attached to N primary school in Gwangju, GyeongGi. This kindergarten is characterized by its attending children who moved to the area in order to get education in the nature-friendly environment.
    The 16 study sessions had been conducted in the wood near Namhansansung which neighbors N primary school every Wednesday and Friday for eight weeks from October 6th to November 26th, 2010. The researcher and an eco-staff led each theme-specified session from 13:00 to 14:30. The nature-experiencing activities consisted of one or two sessions on 11 themes covering the Namhansan wood in fall and winter. Children searched the wood freely, experienced the objects in nature by touching, smelling, hearing, and/or feeling, and enjoyed the play activities with eco-staffs.
    To increase validity and reliability, data were collected by triangulation method (Merriam, 1988/1994) including transcribing video-recoded documents, picturing, recording and memo-taking, and analysing young children's works. Collected data were then processed by organization, area analysis, classification and category analysis, result interpretatio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experiences which young children had during nature-experiencing activities were 'unfamiliarity with nature and related activities,' 'sympathy for nature which children experienced,' 'the wood in fall and winter presented by movements, drawings, songs, and natural objects,' and 'the wood where children played with friends.' First, children experienced unfamiliarity with and fear about nature and related activities. During the early stage of this study, children expressed their unfamiliarity with and fear about nature and related activities, were reluctant to the activities, showed interests in other topics. As sessions were conducted, however,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sessions actively.
    Second, children experienced sympathy for nature. They showed various curiosities and gradually felt familiarity with nature by sympathizing for nature. Additionally, children felt the coziness which nature provided with, the beauty of nature, and the feeling of achievement as they continued to visit the wood and participate in the nature-experiencing activities.
    Third, children showed various expressions by active searches. They expressed nature by using movements, drawings, and songs while searching the wood in fall and winter. Some children even showed creative expressions using objects found in the wood.
    Fourth, children had various experiences when they played with friends in the wood. Children got related with classmates whom they were not friends with in classroom or participated in the activities with them. Children helped and cooperated with friends in need, apologized to friends and solved problems when they were in trouble. Children made up a creative play with friends or showed a play which represented friends and natural objec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