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길장의 4중이제설은 무한히 전개될 수 있는가? (Does the Theory of the Four Levels of the Two Truths Go on Infinitely?)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22.09
28P 미리보기
길장의 4중이제설은 무한히 전개될 수 있는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불교학연구 / 72권 / 117 ~ 144페이지
    · 저자명 : 조윤경

    초록

    4중이제설은 길장의 가장 대표적인 이제설 가운데 하나다. 그런데 그동안 길장의 친작이 아닌 『대승현론』의 4중이제설 해석을 근거로 하여 관련 연구가 이루어졌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연구에 나타난 길장의 4중이제설의 이론 구조와 사상에 관해 비판적으로 검토하기 위해서 『대승현론』의 시각을 배제할 것이다.
    4중이제설과 관련하여 여러 오해 가운데 하나는 4중이제설이 무한히 전개될 수 있다는 해석이다. 이것은 제4중 진제도 절대적인 진리가 아니므로 다음 단계의 이제에 의해서 부정되어야 하며, 따라서 결과적으로 무한소급될 수밖에 없다는 생각에 기초한다. 이에 본 논문은 4중이제설이 무한히 펼쳐지는 열린 구조인지를 비판적으로 검토했다.
    기실, 4중이제설은 제3중 이제 위에 앞의 세 단계와 동일한 차원의 가르침을 한 층 더 반복하여 쌓아 올린 이제설이 아니라, 교문(敎門)과 다른 이치를 제4중 이제의 진제로 포섭한 이론이다. 따라서 마지막 층위의 이제는 앞의 제1중 이제부터 제3중 이제에서 보이는 점진적인 단계성을 완전히 초월한 궁극적 깨달음을 직설(直說)한다. 여러 학자들이 제4중 이제에 ‘무한성’의 개념을 적용한 까닭은 전통적인 3중이제설이 무한히 펼쳐지는 열린 형식으로 간주될 수 있는 여지가 있고, 『대승현론』 편찬자의 시각도 무한부정으로 해석하는 데 기여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길장의 『중관론소』와 『십이문론소』를 살펴보면, 4중이제설은 닫힌 구조임이 분명하다. 그는 4중이제설의 닫힌 구조를 통해 전통적인 3중이제설의 ‘점진적 단계’가 상위 단계의 ‘부정’을 기다리는 불완전한 가르침이라는 오해를 종식시켰다. 길장은 ‘모든 가르침이 이치와 불가분의 상관성을 지닌다.’는 삼론종의 핵심 사상을 구현해서, 어떤 단계의 이제도 깨달음에 도달할 수 없는 무한소급의 오류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e Four Levels of the Two Truths (四重二諦) is one of Jizang’s (吉藏) most prominent doctrines. A problem has arisen, however, since most studies conducted were based on the relevant explanations within Dacheng xuanlun (大乘玄論), which is not Jizang’s own work. Therefore, it is crucial to isolate the perspectives of Dacheng xuanlun in order to critically review the theoretical structure and ideas of the original theory.
    A misunderstanding within this doctrine is the interpretation that the doctrine can be developed infinitely. This is based on the idea that all the levels of the ultimate truth, even that of the fourth level, can be denied on a succeeding level, thus making it an infinite regress. Therefore, this article critically examines whether this theory is an open structure that extends infinitely.
    The fourth level is unlike the previous three. The mode of teaching in these three steps is not repeated in the fourth, given that it is a gateway to the principle (理門) rather than a gateway to the teachings. In other words, while the first through third levels are a gradual progression, the final one is a streamlined path toward ultimate enlightenment. Since the traditional three-level theory could be interpreted as an open and infinite framework, and the discourse within Dacheng xuanlun also contributes to the impression of infinite negation, many scholars have applied the concept of infinity to the fourth level as well.
    However, upon closer examination of the discourses in Zhongguanlun shu (中觀論疏) and Shiermenlun shu (十二門論疏), the doctrine is more accurately described as a closed framework. By converting the open structure to a closed one, Jizang was able to clarify the misunderstanding that the two truths were incomplete teachings. In conclusion, he avoided the fallacy of infinite regress—that is, the idea that enlightenment cannot be reached by the two truths on any leve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