으로 간주될 수 있는 여지가 있고, 『대승현론』 편찬자의 시각도 무한부정으로 해석하는 데 기여하기 때문이다.그렇지만 길장의 『중관론소』와 『십이문론소』를 살펴보면, 4중이제설은 닫힌 ... shu (中觀論疏) and Shiermenlun shu (十二門論疏), the doctrine is more accurately described as a closed ... repeated in the fourth, given that it is a gateway to the principle (理門) rather than a gateway to the
었다.삼론이란 龍樹(150~250)가 쓴 중론(中論)과 십이문론(十二門論), 그의 제자 提婆(170~270)가 쓴 백론(百論)의 세 논서(論書)를 가리킨다. 용수는 초기 대승 경전인 ... 법상종 계통에서는 원측을 심히 배척하고 있다. 송고승전(宋高僧傳)에 현장이 성유식론과 유가론을 규기에게 강의하였을 때 원측은 몰래 그것을 숨어 듣고는 서명사에 돌아가 먼저 소(疏 ... 원측이 항상 먼저 소(疏)를 지었다는 것은 그것을 잘 시사해 주고 있다. 규기가 비록 「백본의 소주(疏主)」라고 불릴 정도로 많은 저술을 하였지만 그러한 작업은 원측이 닦아놓
되고 되었다. 삼론종은 용수(龍樹)의 《중론(中論)》 《십이문론(十二門論)》과 제바(提婆)의 《백론(百論)》 등을 주요경전으로 삼고 성립된 불교의 종파이다. 중국에서 삼론종이 성하 ... (度牒)을 받고 원법사(元法寺)에서 《비담론(毘曇論》 《성실론(成實論)》 《구사론(俱舍論)》 등을 탐구, 고금의 장 ·소(章疏)에 정통하였다. 유식학은 유식해야 알 수 있는 이론이 ... )의 논리체계를 이르는 말이 화쟁(和諍)이다. 연기론(緣起論)과 실상론(實相論)을 바탕으로 하여 측정한 교설이나 학설을 고집하지 않고 비판과 분석을 통해 보다 높은 가치를 이끌어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