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유경제 서비스에 기반한 소비자의 협력소비 경험 (Consumers’ Experiences of Collaborative Consumption Based on Sharing Economy Service)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16.08
31P 미리보기
공유경제 서비스에 기반한 소비자의 협력소비 경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소비자학회
    · 수록지 정보 : 소비자학연구 / 27권 / 4호 / 175 ~ 205페이지
    · 저자명 : 박미혜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공유경제서비스 플랫폼을 통한 협력소비 경험의 본질과 의미를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현상학적 질적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아동의류 온라인 공유경제 서비스를 이용하는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는 11명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분석의 결과 총 9개의 범주와 20개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범주화는 ‘내가 찾던 서비스’, ‘합리적 구매의 효용’, ‘보물찾기와 보물 기다리기’, ‘높은 기업신뢰’, ‘이해와 불만사이’, ‘효율적인 자원사용’, ‘온라인에서 오가는 정’, ‘현명한 소비자이자 부모’, ‘소유에서 사용으로’가 추출되었다. 협력소비의 경험을 포괄하는 본질은 “경제적구매의 합리와 자원순환의 윤리를 충족시키는 실속과 관계와 재미가 있는 만족감”으로 규정하였다.
    참여자들은 아동의류 공유소비의 필요성에 대해 평소에 인식하고 있었다. 무엇보다 경제적 측면에 대해 만족하였으며 좋은 제품이 등록되기를 기대하였다. 공유기업에 대한 높은 신뢰를 가지고 거래를 하고 있었으며 기업가치에 대하여 동조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용하면서 다소 불만을 경험하거나 기업에 대한 아쉬움과 바램이 있었으나 기업측의 입장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구매뿐만 아니라 작아진 옷의 처분에도 의미를 두고 있어 자원순환과 환경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하다고 인식하였다. 온라인상의 커뮤니티를 통하여 소통과 공감을 하며 공유소비를 하는 자신에 대해 긍정적인 자아정체감을 형성하고 있었다. 다양한 협력소비경험이 있었으며 가치소비를 하며 소유보다는 사용이나 경험소비에 더 중요성을 두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아동의류 공유서비스 이용이 공유경제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는 계기가 되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온라인에 기반한 공유와 협력소비는 진화하는 소비양식으로서 과소유의 소비문화에 대안과 함의를 제공한다고 본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기업, 정부, 소비자측면에게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nature and meaning of the consumers' experiences of collaborative through the platform of the sharing economy service. Through a methodology of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made with eleven consumers who utilize online sharing service of kids clothing and reside in Seoul and Gyeonggi-do. From analyzing the interviews, nine categories and twenty themes were extracted. The categories of experiences of collaborative consumption can be summarized as ‘service l am looking for’, ‘utility of rational consumption’, ‘looking and waiting for treasures’, ‘high trust toward the company’, ‘in between understanding and complaint’, ‘efficient use of resources’, ‘affection by interacting on online platform’, ‘wise parent as well as savvy consumer’, and ‘from ownership to access’. The nature of these experiences of collaborative consumption can be defined as “satisfaction that meets both rationality of economic purchase and ethics of resource recycling, combined with social relationship and personal enjoyment”.
    Participants demonstrated the needs for collaborative consumption of kids clothing in their everyday lives. First and foremost,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financial benefits and expected good items to come out. Also, they made their transactions with the high trust toward the sharing company, this showed the trend that participants expressed their agreements with the company's value. While using the service, they expressed some complaints, desires, and disappointments toward the company, but they were willing to ultimately be able to understand the company's position. In addition to purchasing the clothing, they sold the clothing which didn't fit their kids any longer. So they exhibited collaborative consumption as desirable from the environmental perspective. They built a social relationship by interacting with other people via the online community, and also demonstrated a positive awareness of their self-identity as collaborative consumer. Participants experienced various collaborative consumption, prioritized value-based consumption, found meaning in experiential consumption, and valued access rather than ownership. Collaborative consumption of kids clothing created an opportunity to raise awareness of sharing economy. Therefore, online-based collaborative consumption provided some alternative and implicit meaning to a consumer culture of over-possession as an evolving consumption pattern. Finally, through the findings in this study, the implications in the aspects of corporation, government, and consumer were establish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소비자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