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비자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소비자, 기업, 정부 간의 인식 차이 (The Differences of Perceptions among Consumers, Corporations and Government on the Consumers’ Social Responsibility)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5 최종저작일 2017.10
23P 미리보기
소비자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소비자, 기업, 정부 간의 인식 차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소비자학회
    · 수록지 정보 : 소비자학연구 / 28권 / 5호 / 1 ~ 23페이지
    · 저자명 : 김혜연, 김시월

    초록

    소비자의 사회적 책임이 얼마나 잘 수행되고 있느냐 하는 것은 소비자가 사회적 기대에 적절히 반응하느냐의 여부에 달려있으며, 이는 소비자 자신과 이해관계자의 평가에 의해 파악될 수 있다. 소비자의 사회적 책임이 보다 바람직한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현재를 평가하고 이해관계자들의 인식을 알아보는 과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비자의 사회적 책임에 대해 실질적인 행위자인 소비자와 주요 이해관계자인 기업과 정부를 대상으로 상호지향성을 분석해 봄으로써 소비자의 사회적 책임 활동 정도를 평가해보는 한편, 다각적인 입장에서 향후 소비자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 제시 및 활성화 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들을 모색하여 조화로운 시장 환경 및 건전한 사회문화 조성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소비자의 사회적 책임 활동 전반에 대해 소비자와 기업, 정부의 인식 수준은 소비자, 기업, 정부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세 집단 간의 상호지향 상태를 살펴보면, 소비자는 이해관계자인 기업과 정부의 인식을 정확히 이해하고 있지 못하였으며, 상대집단이 소비자 자신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고 있었다. 정부 역시 소비자와 마찬가지로 이해관계집단에 대한 인식을 정확히 파악하고 있지 못하고 있었으며, 정부에 대한 소비자와 기업의 인식 또한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고 있었다. 기업은 소비자에 대해서는 정확히 이해하고 있는 반면, 정부의 인식에 대해서는 오해가 있었다. 따라서 소비자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우리 사회 전반은 물론, 이해관계집단의 활동과 상호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시너지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커뮤니케이션 강화를 통해 상호 이해의 수준을 높이고 기대를 반영하는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소비자의 사회적 책임 활성화를 위한 관련 제도에 대한 소비자와 기업, 정부의 인식 차이를 알아본 결과, 소비자의 사회적 책임 활동 중요도 및 소비자교육의 중요도에 대해서는 정부, 소비자, 기업의 순으로 나타나 세 집단 모두 높은 수준에서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효과적인 소비자교육 시행을 위한 각 주체들의 이상적인 역할 분담에 대해서는 세 집단 모두 정부 및 공공기관의 역할을 가장 크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소비자 스스로의 노력 또한 높은 수준에서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소비자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소비자정책 및 역할수행에 대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 사회구성원 전반이 합의할 수 있는 평가척도가 필요함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소비자와 기업, 정부 간의 상호지향성을 제고시키기 위한 공식적인 커뮤니케이션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공개적인 운영을 통해 지속적인 상호교류 및 피드백으로 활성화 시켜나가는 노력이 요구됨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The fulfillment of consumers’ social responsibility relies on whether consumers properly react to the social expectations. In other words, it indicates that consumers and the stakeholders valuate the degree of consumers’ socially responsible activities. Thus, in order to promote social responsibilities, it is important to evaluate contemporary consumers’ socially responsible activities and examine the stakeholders’ perceptions of them.
    Accordingly, this research Is aimed at finding co-orientation; the conformity between perceptions and assumptions of consumers’ social responsibility between the agent–consumers; and the stakeholders - corporations and government. Moreover, the study also attempted to evaluate socially responsible activities of contemporary consumers and to provide a foundation for improving consumers’ socially responsible activities that will reduce the gap between perceptions of consumers and stakeholders and promote positive perceptions.
    The major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perceptions of consumers’ socially responsible activities in general was from high to low in the order of consumers, corporations, and government. As for co-orientation between groups, consumers did not have an accurate understanding on the perceptions of stakeholders – corporations and government; and they were also unaware of how they were perceived by the stakeholders. On the other hand, corporations exactly understood the perceptions of consumers while misunderstanding those of government. Government, similarly to consumers, neither understood perceptions of the stakeholders nor recognized how other two groups perceived it.
    Second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temized perceptions of promoting consumers’ socially responsible activities, all three groups had high recognitions of the importance of consumers’ socially responsible activities as well as consumer education in the order of government, consumer, and corporations;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each group in statistics. In addition, all three groups perceived the role of government and public institutions as the most important for effective consumer education; and the efforts of consumers themselves were also highlighted. Answering how well corporate socially responsible activities are performed in a “consumer-oriented” way and how government is working to support socially responsible activities of consumers and corporations, all groups showed low perceptions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 few implications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it is needed to establish consumer polices indicating consumers’ social responsibilities, specific guidelines for role performance and socially agreed evaluation standards. Also, proper regulation plans should be prepared through discussions and agreements between concerned parties and stakeholders for flexible and cooperative applications of the policies.
    Secondly, an official cooperative communication system needs to be established to promote co-orientation among consumers, corporations and government; and constant interactions and feedbacks are necessary for the open management.
    Thirdly, an organized promotion using various types of media is requested to inform the majority of unorganized consumers of the social responsibilities of consumers and to encourage their social activities.
    Fourthly, in order to enhance consumers’ social responsibilities, systematic discussions and implementation plans on “by who and how” consumer education will be performed are necessary. Also, the contents of consumer education should be specified according to its conducting party.
    Finally, consumers, corporations and government should fulfill their own roles and responsibilities through active communications; eventually, the social responsibilities are not to be carried out by independent parties but performed by our generation in the whole wor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소비자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