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선의 정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pirit of Lin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2 최종저작일 2015.03
9P 미리보기
선의 정신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21권 / 1호 / 547 ~ 555페이지
    · 저자명 : 짐 레스코

    초록

    예술가들과 디자이너들은 매일 선(line)을 사용한다.
    선은 우리 주변에 항상 존재하기 때문에, 우리는 선을당연히 받아들이거나, ‘선이란 무엇인가’를 잠시 생각하기도 한다. 그리고 선은 항상 예술의 또 다른 조형요소로 고려된다. 또한 선은 광범위하게 우리의 언어(적어도 영어)에서 사용된다. 그래서 우리는 우리의언어 안에 새겨져 있는 현존하는 선을 거의 인식하지못한다. 그러나 기술자들과 수학자들은 선의 가치를당연히 여기지 않았다. 학술 문서와 교과서에는 선(또는 벡터, vector)에 관한 광범위한 조약들이 있다.
    나는 나의 작품에서 선의 중요함을 이해하데 도움을줄만한 많은 기술적 정의들을 발견하였다. 몇몇 정의들(특히, 고대의 것)은 나의 선에 관한 리서치에서의생각과 유사하다. 과학적인 관점에서 선을 생각해 볼때, 그것은 실제 선분(line segment)이다. 그러나 그구획된 선은 더욱 더 흥미롭다.
    나는 나의 작품 안에서 선의 움직임을 깨닫기 시작하였고 선의 잠재력에 완전히 매료되었다. 또한 나는절대주의 회화, 카지미르 말레비치(Kazimir Malevich) 가 정사각형과 주요 2차원의 그래픽 도형들과 같은기본 형태들(forms)에서 나타나는 힘(power)을 이해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비슷한 아이디어를 따라발전해 왔다는 것을 알아차렸다. 지금은 말레비치가일찍이 나의 예술적 발달을 위한 아이디어에 매우 중요한 이유를 알게 되었다.
    나의 발견 중 하나는 이오니아식 기둥(Ionic Column) 에서의 선의 힘이다. 선의 힘은 기둥을 타고 흘러 올라가고 페디먼트(pediment)의 힘이 아래로 향함에 따라, 그들은 작은 고리 속 주변 밖으로 맴돈다.
    아시아에서 풍수에 관한 중국의 컨셉은 디자인과건축적 공간에서의 선의 형태와 효과의 힘에 대한 설명과 유사하다. 따라서 예술과 디자인에서 선의 마법은 강력한 요소가 된다. 나는 이제야 비로소 선의 전기와 힘의 일부분을 이해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는 연구와 몇 가지 발견에 관한 짧은 역사를 설명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것을 증명하기위해서, 나와 다른 작가들의 작품에서 사용되고 관찰되었던 몇 가지 사례들을 제공한다.

    영어초록

    Artists and designers use line every day. Line isubiquitous, we take it for granted and few pause toconsider what a line is–and usually think of line asjust another “element” of art. Line is also extensivelyused in our language–at least in English and we arebarely aware of the extant line is imbedded in ourlanguage. However, Engineers and Mathematicians donot take the value of line for granted and there areextensive treaties on line (or vectors) in textbooks andscholarly documents. I found many technical definitionshelpful in trying to comprehend the importance of linein my art, and that some (sometimes ancient) definitionsparallel what I thought I had discovered in my ownresearch on line. From the scientific perspective whatwe think of as line, is actually a line segment, but theline, the segment is on is dramatically more interesting.
    I began to realize a behavior of line in my art andhave become fascinated with the potential of line. I alsosensed that the Suprematist Painting of Kazimir Malevichwas developed along a similar idea of trying to understandthe apparent power of basic forms like the square andother primary two-dimensional graphic shapes. I nowunderstand why, at a early age, Malevich was soimportant to my ideas in my artistic development.
    One of my discoveries is the force and power ofline in an Ionic Column. As the force of lines travel upthe column and impact the downward force of thepediment, they curl outward and around into a ringlet.
    In Asia, the Chinese concept of Feng Shui hassimilar explanations of the force of a linear form andits effect in design and architectural space. The magicof line in art and design is a powerful element. I haveonly just begun to understand some of power andelectricity of line. In my paper Spirit of Line I have described a briefhistory of my search and some discoveries. The easiestway I think I can demonstrate this is to provide someexamples of my discoveries as exemplified in my artand the art of other artists, as well as in otherobserva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