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헌법상 근로의 권리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Right to Work in the Korean Constitut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19.05
29P 미리보기
헌법상 근로의 권리에 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교공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공법학연구 / 20권 / 2호 / 125 ~ 153페이지
    · 저자명 : 홍석한

    초록

    헌법은 근로의 권리를 국민의 기본권으로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 높은 실업률이 상시적으로 유지되고, 이에 따른 빈곤 및 양극화의 위험이 증대되고 있는 상황에 처해 있으며, 이에 헌법상 근로의 권리의 현대적 의미와 내용, 그 실현을 위한 입법적 과제 등에 대한 근본적이고 전향적인 검토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본 논문은 근로의 기회에 관한 문제를 중심으로 근로의 권리의 법적 성격에 관한 학계의 논의를 정리하고 근로의 권리를 전향적으로 이해해야 할 현대적 필요성과 방향, 근로의 권리 실현을 위한 국가의 과제를 고찰한다.
    근로의 권리의 법적 성격에 대해서는 자유권으로서의 성격을 인정할 것인지 여부 및사회적 기본권으로서 그 구체적인 의미와 관련하여 매우 다양한 견해가 대립되어 왔다.
    다만, 우리 헌법상 근로의 권리의 연혁적 측면이나 체계적 측면, 오늘날 국가의 적극적인 개입을 통해 실업과 빈곤, 양극화의 문제를 해소해야 할 현실적 필요성과 중요성 등을 고려할 때 근로의 권리는 사회적 기본권으로서 헌법에 의하여 직접 국가를 구속할수 있는 구체적 권리로 이해할 수 있다. 한편, 고용을 둘러싼 환경의 극적인 변화에 따라 그 어느 때보다 근로기회의 제공을 위한 국가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한 반면, 현실적 및 규범적 측면에서 국가역할의 한계가 분명한 모순적 상황이다. 이에 근로의 권리를일종의 대체적 권리로 이해하는 것이 유용한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본다. 즉, 국가는 근로기회의 제공만이 아니라 이에 갈음하여 직업안정을 위한 시설과 제도의 보장, 취업 및재취업을 위한 직업교육의 실시, 부당한 해고의 제한, 그리고 무엇보다 실업시의 소득보장을 통해 근로의 권리를 보장할 수 있다.
    근로의 권리에 대한 이러한 이해를 토대로 할 때 국가는 단순한 경제성장이 아니라고용의 증진을 수반하는 경제적 발전을 이끌어내야 하며, 공공부문의 고용을 확대하고민간부문의 근로기회 확대를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또한 취업을 위한 직업교육과취업에 관한 정보의 제공 및 일자리 알선을 실질화 할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
    나아가 고용보험제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거나 실업자에게 적용되는 새로운 사회안전망으로서 실업부조제도를 도입함으로써 실업자에 대한 경제적 지원을 강화하는 것 역시근로의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국가의 중요한 과제이다.

    영어초록

    Korean Constitution stipulates the Right to Work as a fundamental right of all citizens. However, the high unemployment rate is constantly maintained and the risk of poverty and income polarization is increasing.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fundamental and prospective review of the modern meaning and contents of the Right to Work in the Constitution is necessary, and through this, the legislative tasks should be concretely established. In the face of these challenges, this paper, focusing on the opportunity to work, analyzes the academic aspects of the legal nature of the Right to Work, and then discuss the modern necessity and direction of forward-looking interpretation of the Right to Work to draw up national tasks to ensure the Right.
    On the legal nature of the Right to Work, there are a wide variety of views regarding whether to recognize the nature of the right as freedom, and its specific meaning as a social fundamental right. However, considering the historical and systematic aspects of the Right to Work in the Constitution, the real necessity and importance of resolving the problems of unemployment, poverty and polarization through the active intervention of the state today, and the need to interpret the Right in relation to the Duty to Work in the Constitution, The Right to Work must be understood as a concrete right to restrain the state directly by the Constitution provision as a social fundamental rights. On the other hand, the dramatic changes of the environment surrounding employment necessitate a more active role of the state in providing employment opportunities than ever before, but the limits of the state’s role in the realistic and normative aspects are obvious. Under these contradictory circumstances, understanding the Right to Work as a sort of alternative right can be a useful alternative. In other words, the State not only provides the opportunity for work but also provides the facilities and systems for job security, the job training services, the restriction of unfair dismissal, and above all, income support for the unemployed.
    On the basis of this understanding of the Rights to Work, the state should promote economic development with the promotion of employment, not just economic growth.
    Also, the government should actively support the expansion of private sector employment opportunities while expanding employment in the public sector. In addition, the offering of information on the employment, vocational education, and job placement service should be practically carried out. Last but not least, Strengthening the economic support for the unemployed by drastically improving the employment insurance system or introducing the unemployment assistance system as a new social safety net is also an important task for the state to ensure the right to wor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공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