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사’ 상의 조선시대상 -조선전기를 중심으로 (Imagining the Chosŏn Period and the Construction of “Korean History(kuksa)”)

5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10.05
53P 미리보기
‘한국사’ 상의 조선시대상 -조선전기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사이間SAI / 8호 / 9 ~ 61페이지
    · 저자명 : 정다함

    초록

    현재의 ‘한국사’ 혹은 ‘국사’의 체계 속에서, 조선전기라는 시기는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중세’에서 ‘근대’를 향해 발전하는 도상에 있는 ‘근세’로 설정되고 있는 이 시기는 세종대를 중심으로 하여 ‘한국사’ 상에서 유래를 찾아보기 힘든 ‘발전’이 출현했던 시기로 이해되어지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발전’과 ‘변화’들은 현재까지도 서구와 일본을 통해 근대적 문물이 들어오기 이전에, 이미 근대 한국의 근대성이 발원되고 있던 고유한 기원으로 인식되어지고 있으며, 근대 국민국가인 대한민국의 원형과 같은 이미지로 이해되면서, 근대 국민국가 창출과 유지에 기여해 왔다. 그러나 사실, 이러한 시각과 이를 통해 파악되고 재현된 조선전기의 역사상은, 당대의 맥락 속에서 조선전기의 역사를 재구성한 것이 아니라, 사실 서구 혹은 일본을 통해서 들어온 근대성을 보편적 기준으로 삼아 그와 비슷한 것을 ‘한국사’ 속에 설정하려는 근대 국민국가의 시선과 기획에 따라 만들어진 것이었다. 이 논문은 해방 이후 자신의 근대성의 기원을 그 고유한 전통 속에서 찾아내려 했던 노력 속에서 만들어진 ‘한국사’ 상의 조선시대상(朝鮮時代像), 즉 비합리적인 것에서 합리적인 것으로, 귀족제적인 것에서 관료제적인 것으로, 미신적인 것에서 경험적 지식으로, 전제적인 정치에서 민본적인 정치로, 중국적인 것에서 조선적인 것으로의 ‘변화’ 혹은 ‘발전’으로 규정되어 온 이 시기의 역사상이 매우 통국가적(transnational)으로 구성된 것임을 밝히려는 시도이다. 이 시기의 역사상이 한국 근대성의 고유한 기원임을 주장해 온 ‘한국사’의 주장에도 불구하고, 사실상 이는 서구로부터 발원하여 일본을 통해 전해진 근대성을 보편적 기준으로 해서 마련된 근대 국민국가 기획의 구성물이었으며, 때문에 그러한 기획과 그 결과물 속에 ‘한국사학’이 저항의 대상으로 삼았던 제국주의의 논리와 영향이 내면화되어 있다는 점을 밝히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사’ 상의 조선시대상, 특히 조선전기라는 시대상이 어떤 과정을 통해 ‘중세’보다 ‘근대’에 더욱 가깝게 접근한 ‘근세’로 파악되었는가를 살펴보고, 그러한 위치에 맞는 역사상을 구성하기 위해 ‘한국사학’이 그간 강조해 온 주요한 개념과 주장들, 즉 ‘양반관료국가’, ‘중인’, 세종대 ‘과학기술 및 문화의 발전’, ‘사대’와 ‘교린’ 등을 학설사적으로 검토함으로써 ‘한국사’라는 체계가 어떠한 논리에 입각해서 어떠한 세부적인 연구영역에서 구체적인 연구성과를 축적하면서, 조선시대와 관련된 현재의 역사상과 연구지형을 만들었는가를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그 ‘가까운 기원’을 드러내고 대안을 모색하려 한다.

    영어초록

    Up until this point, the early Chosŏn period has taken on a significant position in the historical framework of linear development found in the “Korean history(Han’guksa)” or “National History of Korea(kuksa)” established in modern Korean historiography. In general, the Chosŏn period has been viewed in Korean history as a period full of unprecedented development and change, which enabled Korean historians to define this period as a early modern one that marks the evolution in Korean history from the feudal (chungse) period to the modern period(kŭndae). These developments and changes, which were thought to be clearly evident when using this view of history, were believed to be the unique origins of the Korean nation whose modernity had originated from even before the introduction of Western modernity that took place during Japanese colonization. This view of history enabled Korean people to imagine the early Choson Dynasty as a prototype of the modern Korean nation-state that contributed to the nation-building process of Korea. This research demythologizes the still dominant nationalist arguments about the early Chosŏn period found in modern Korean historiography(as outlined above)-efforts made to territorialize the modernity of the Korean nation by setting the origin of Korean modernity in the “unique” traditions of the premodern era. Through revealing the implications of these arguments about the early Chosŏn period―which were thought to signify such evolution steps in Korean history as the transformations from the irrational to the rational, from aristocracy to bureaucracy, from mystical knowledge to empirical science, from despotic monarchy to people-oriented politics, and from Sinocentrism to unique Koreanness―this research argues that what modern Korean historiography has highlighted as sprouts of early Korean modernity that emerged from Korea’s own soil, is in fact the modern invention of Korean historiography which has been modeled after the historical models found in Western and Japanese historiography.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이間SAI”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