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예술로서의 삶 – 다원주의 시대의 ‘시민됨’ (Life as an Art - ‘Being Citizen’ in an Age of Pluralism)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18.02
33P 미리보기
예술로서의 삶 – 다원주의 시대의 ‘시민됨’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공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공공사회연구 / 8권 / 1호 / 205 ~ 237페이지
    · 저자명 : 이승훈

    초록

    이 글은 예술가와 비평가의 역할을 통해서 다원주의 시대의 바람직한 시민의 모델이 무엇인지를 분석하고 있다. 다원주의 사회에서 개인의 자율성과 차이는 그 자체로 존중되어야 할 최고의 가치이다. 하지만 차이와 다름에 대한 강조는 타자와의 협력과 연대를 추구하는 ‘시민됨’의 가치와 충돌하기도 한다. 다원주의 시대에 ‘시민됨’은 ‘차이의 연대’, 곧 차이를 바탕으로 한 연대의 실현이라는 이중의 과제를 안고 있다. 이 글은 예술이 다원주의 시대의 ‘시민됨’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예술과 ‘시민됨’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서, 한나 아렌트, 존 듀이, 그리고 게오르그 짐멜의 사상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있다. 먼저 예술가로서 시민은 기존의 획일적이고 고착화된 관습과 질서를 극복하고, 새로운 의미와 가치를 창출하는 존재이다. 예술가가 자신만의 독창적인 작품을 창조하듯이, 다원주의 시대의 시민도 자신의 개성과 독자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다원주의 시대의 시민은 관객과 비평가로서의 역할도 수행해야 한다. 관객과 비평가가 예술 작품의 미적 특성을 판단하고 유지하는 것처럼, 관찰자로서의 시민들 또한 정치적 경험과 행위를 판단하고 기억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시민들이 예술가이자 비평가로서의 이러한 역할을 행할 때, 다원주의 시대의 과제인 ‘차이의 연대’라는 가치도 실현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s what a desirable citizen model is in the pluralistic era through the role of an artist and a critic. In a pluralistic society, individual autonomy and differences are the highest value to be respected in itself. However, the emphasis on differences may conflict with the value of ‘being citizen’ pursuing cooperation and solidarity with others. In the age of pluralism, citizen has the dual task of ‘solidarity of difference’, that is, realization of solidarity based on the difference. This article argues that art can be an alternative to solve the citizen’s task of pluralism age. In order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being citizen’, I focus on the ideas of Hannah Arendt, John Dewey and Georg Simmel. First, as an artist, a citizen overcomes conventional, fixed customs and order, and creates new meaning and value. Just as artists create their own original works, citizens of the pluralism age must be able to create new values ​​based on their individuality and identity. In addition, citizens of pluralism age should also play a role as audience and critic. Just as audiences and critics judge and maintain works of art from an aesthetic point of view, citizens as observers must also play a role in judging and remembering political experiences and behaviors. When citizens play this role as an artist and a critic, the value of 'the solidarity of difference' which is the task of citizenship can be realiz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