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문학사 기술 방법과 문학사 교육의 방향 (System For The Description of And The Direction of Teaching The History of Literature)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2.03
24P 미리보기
문학사 기술 방법과 문학사 교육의 방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현대문학이론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이론연구 / 48호 / 301 ~ 324페이지
    · 저자명 : 노철

    초록

    문학사 교육이 배경 지식에 그치지 않고 세계에 대한 주체적 이해와 대응 능력을 기르는 것이라는 원론적 견해는 합의 하고 있지만 실제 문학사 교육은 년대 순으로 작품을 배치하고 그 배경지식을 이해하는 학습에서 자유롭다고 하기가 어렵다. 이에 문학사를 문제해결 과정으로서 인식하도록 하여야 한다는 지적들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문학사 교육의 고유한 영역과 일반적인 수용과 생산 교육과 범주의 차이를 분명히 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학습자가 문제를 인식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으로 문학사를 학습하기 위해서는 문학사 교육의 측면에서 문학사를 새롭게 접근하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했다.
    첫째, 문학사를 문제의식을 가지고 살필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했다. 이를 위해서는 당시 사람들이 부딪치던 문제를 살피기 위해서 작가뿐만 아니라 독자를 고려한 소통과정을 살피는 것의 문학사 교육적 가치를 살폈다. 구체적으로 설화의 수용과 소통과정을 통해 당시 사람들의 문제의식에 공감해 갈 수 있는 방법을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역사적으로 특정한 문학 방식이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이라는 것을 파악함으로써 문학사적 안목을 습득하고, 이것이 현재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제시하였다.
    둘째, 문제 해결과정을 살필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했다. 이를 위해서 오래 동안 지속된 특정한 글쓰기 양식인 역사적 장르가 수행한 역할과 변이를 살피기 위해 구체적으로 「황조가」, 「가시리」, 「진달래꽃」의 장르적 가치와 그 가치들이 오늘날 문제를 해결하는 데 어떤 도움이 되는 지를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역사적 장르는 당시 주체가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이자 결과물로, 각 장르의 차이를 계보학적으로 살핌으로써 장르를 문제를 해결하는 한 방식으로 이해할 수 있다는 사실을 제시하였다.
    셋째, 당시 문제를 해결하는 현장의 고민을 살필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했다. 이를 위해서 당시 창작과 소통의 현장성을 고려해 장르의 경계를 넘어서 상호텍스트적 성격을 살피기 위해, 구체적으로 『홍길동전』이 건국신화, 구전 설화의 흔적을 어떻게 간직하고 있으며, 어떻게 소통되었는가를 통해 장르 간 상호텍스트적 현상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의 탐구에 어떻게 도움이 될지를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실제로 작품이 창작되고 유통되는 과정은 특정 장르에 갇혀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장르를 넘나들거나 장르를 결합시켜 새로운 장르를 탄생시키는 현장성의 이해가 지금 현재 우리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을 탐구하고 해결하는 방법을 찾아가는 힘을 키워줄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Though the principle is agreed upon that the teaching of the history of literature is, instead of accumulating background knowledge, developing ability to subjectively understand and cope with the world, it is hard to say practically the teaching of the history of literature is free from chronologically arranging literary works and understanding background knowledge. Upon this, it is pointed out that the history of literature should be perceived as a problem solving process. But, the distinct domain of the teaching of the history of literature and the general education of reception and production and the category are not clearly differentiated. Therefore, in order for the learner to recognize the problem and study the history of literature as a process of solving the problem, the writer attempted to explore a method to freshly approach the history of literature in terms of the teaching of the history of literature.
    Firstly, a method to study the history of literature with the awareness of problem is pursued. To achieve this, the writer considered the educational value of inquiring into the communicating process that considers not just the writer but also the reader in order to survey the problems that the people of the time had to face. In detail, through the reception of narratives and communicating process, the writer overlooked the way to sympathize with the thoughts of the people of the time. In this course, it is suggested that insight into the history of literature is acquired by realizing that a historically peculiar literary method is a process of solving the problem, and such insight helps to solve today’s problems.
    Secondly, the writer tried to seek for a way to examine the process of solving the problem. With this in mind, to look through the roles and the variations of the long lasting particular style of writing, the historical genre, the genre values of ‘Hwangjoga,’ ‘Gasiri,’ ‘Azelea,’ and the way such values helped solve today’s problems are investigated. In the process, it is suggested that the historical genre is the method for the subjects of the time to solve their problems and its result and so, by genealogically considering the differences between genres, one can understand genres as ways of solving problems.
    Thirdly, the writer tried to find ways to know the concerns of the scen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time. With with intention, to get hold of the inter-textuality beyond the genre boundaries in consideration of the reality of the literary creation and communication of the time, by examining how ‘Honggildongjun’ keeps hold of the traces of the Foundation of the Nation Myth as well as orally handed down narrative tales, and how they are communicated, it is overlooked how the phenomenon of inter-textuality between genres helped solve the problem. In this process, it is suggested that the understanding that the process where practically literary works are created and distributed is not just confined to a particular genre, but moves among different genres or by combining genres produces a new genre can enable one to investigate ways to solve today’s problem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이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