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荀子의 空心治癒에서 “是察非” “非察是”의 문제 (A Study on Xun Zi’s Sichalbi and Bichalsi in Kongxin Therapy)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6 최종저작일 2019.08
14P 미리보기
荀子의 空心治癒에서 “是察非” “非察是”의 문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문사회 21
    · 수록지 정보 : 인문사회 21 / 10권 / 4호 / 393 ~ 406페이지
    · 저자명 : 김여진

    초록

    지금까지 국내의 중국철학에 기반한 철학상담치료 연구에서는 주로 심성론을 토대로 한 공맹의 사상이 활용되었다. 본토의 철학상담 이론을 정립하고자하는 중국의 경우도 유가사상 가운데 순자의 것은 다뤄진 적이 없다. 이러한 연구 동향 가운데 이 글은 순자의 이론이 철학상담에서 활용될 수 있는 지점을 발견하고 검토하는 것을 시도해보았다. 특히 이 글은 공심(空心)이 일으키는 특정 증세에 대해 순자철학의 치심론과 변증법적 사유방식을 들어 그 완화의 방법을 제시하고 있는데, 먼저 도입 부분에서는 순자의 허일정(虛壹靜)이란 개념을 통하여 이들이 공심과는 어떠한 관계에 있으며 어떠한 작용을 일으키는지 밝혔다. 그 다음 장에서는 경계의 이행을 위한 추동의 원리로써 순자의 “종시(終始)”철학을 근거로 내세웠다. 마지막으로, 순자의 상답법인 “시찰비(是察非)”, “비찰시(非察是)”가 상호 어떠한 구조, 함의, 성격, 가치, 접근법을 지니는지 구체적으로 논의해보았다. 이 글은 순자의 논리학적인 측면 내지는 변증법적 사유를 통해 철학상담의 치료적 접근을 시도하고 있는데 특정 내담자 및 병리적 증세의 사례들을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국철학을 기반으로 한 철학상담 연구에서 좀처럼 다루지 않았던 각론의 성격을 지닌다.

    영어초록

    In Korea, most research on philosophical counseling and therapy based on Chinese philosophy has drawn from philosophy of Confucius and Mencius based on the theory of mind. Even in China where efforts are underway to establish mainland theory of philosophical counseling, philosophy of Xun Zi has not been tapped.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and assess how theory of Xun Zi can be applied to philosophical counseling. In particular, we explore therapeutic aspect of philosophical counseling regarding peculiar symptoms of Kongxin that based on the mind-governing theory and dialectic thinking of Xun Zi philosophy, in terms of how to mitigate such symptoms. In the introductory part, we introduce the Emptiness, Unity and Stillness and elucidate their relationship with Kongxin, and how Xun Zi’s ask-and-reply method affects these different kinds of mind. Next, we introduce Xun Zi’s end and beginning philosophy as the motive power for transition of stage. Lastly, we develop an in-depth discussion on the interactive structure, implications, nature, value, and approach of Xun Zi’s counseling method of through the right to discern the wrong and though the wrong to discern the right. This study attempts to approach philosophical counseling from a therapeutic angle based on logical aspects and dialectic thinking found in Xun Zi’s philosophy, and as such, can be seen as an itemized discussion, rare among research on philosophical counseling based on Chinese philosophy, for it contains specific cases of their pathological symptom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사회 21”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