를 모르면 정도(正道)를 부정하고 사도(邪道)를 긍정할 수 있다고 했다.순자는 허일정(虛壹靜)의 방법으로 도를 인식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기성관념이 새로운 사태에 대한 인식을 방해 ... 하지 않도록 심을 청소하여 비우는 것이 허(虛)이다. 일(一)은 심지(心志)를 분산시키지 않고 집중시키는 것이다. 상상과 허튼 생각 등 심의 움직임을 평정하게 하여 심의 작용을 있 ... 적으로 보려는 것이다.순자는 심을 허일정하게 하면 심이 크게 청명해져, 인간의 지혜와 능력이 놀라울 정도로 비약할 수 있다고 보았다. 순자는 이러한 지혜와 능력을 갖춘 사람을 이상
을 모두 판별할 수 있고, 식별될 수 있는 일체가 유(類)에 귀속되고, 순서대로 배열된다. 여기에서 유(類)는 유형별 파악이라고 이해하면 될 듯하다.위와 같은 허일정(虛壹靜 ... 사태파악을 위한 판단기준이 도(道)로써, 심(心)이 도(道)를 알고 기준을 정하는 것이 판단의 표준인 것이다.도(道)의 인식방법은 허(虛), 일(壹), 정(靜)으로, 순자의 인식 ... 는 것이고, 정(靜)의 수양을 통해 한쪽에 치우치지 않는 판단을 하는 것이다. 또한 심(心)이 허(虛)일(壹)정(靜)하게 되는 것을 대청명(大淸明)이라고 하는데, 이는 만물의 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