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신분석학 관점에서 본 인간의 역할과 학습에 대한 관계 연구 (A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the Role of Human and their Learning from Psychoanalytical Viewpoint)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23.12
23P 미리보기
정신분석학 관점에서 본 인간의 역할과 학습에 대한 관계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 62권 / 4호 / 171 ~ 193페이지
    · 저자명 : 황소연

    초록

    인간이 자기 존재를 지키고자 무의식적으로 생성되는 본능은 모든 만물의 출발점이 된다. 삶의 본능과 죽음의 본능의 소용돌이 속에서 삶을 영위하는 일종의 학습 방법을 기억한다. 이처럼 인간은 사회적 동물로서 사회적 세계라는 무대에서 할당된 역할(Role)로 생각하고 행동한다. 그렇다면 인간의 역할 수행은 타고난 본능인가? 아니면 학습인가? 인간의 욕망은 오롯이 삶의 무대에서 존재하며 그 정체성의 원천은 끊임없는 의문으로 되풀이된다. 20세기 중반에 등장한 미국의 연극치료사 로버트 랜디에 의해 역할은 삶의 극적이라는 관점에서 재정립된다. 그는 역할이 세분화된 인간 정체성의 조각들로 구성된 인성의 기본 단위로써 현실과 극적 세계 속에서 자아와 타자가 가지는 생각과 감정의 그릇이라 설명한다. 역할은 무대 위 주어진 인물로 수행하는데 그치지 않고 인간에게 태생적이고 사회적으로 맡게 된 배역(Casting)으로 대체 가능하다. 인간은 살아가는 동안 그 시기의 할당된 배역을 수행하며 살아가게 된다. 인간에게 배역의 가치는 Freud가 언급한 삶의 본능(Eros)과 죽음의 본능(Thanatos) 간극 어디쯤 꽃피운 가장 자연스러운 상징물로 인식된다. 그리고 인간의 내재된 욕망은 태어나서 죽는 순간까지 선명하게 기억되고 자생적인 치유과정을 통해 승화를 시도한다. 연구자는 새로운 주체로 탄생한 인간의 욕망이 어떻게 역할로 연결되고 역할의 존재가 무엇인지에 대한 반복된 성찰은 인간의 무의식이자 기본적인 행동의 척도가 되는 학습으로 해석한다. 본 연구는 역할과 학습의 개념의 접점을 살펴본 선행연구가 없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인간의 삶, 심층에 존재하는 무의식과 욕망에 초점을 둔 Freud와 Lacan의 정신분석 이론에 접근하여 역할의 의미와 속성을 전문적인 문헌을 참고하여 고찰하고 규명한다. 나아가 정신분석학 측면에서 인간의 정체성이 어떻게 구성되는지 나아가 삶의 놀이터에서 인간이 수행하는 역할의 본질과 학습의 관계에 대해 논증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human drive, created by the unconscious mind to protect the self, is the starting point of all things. Amid the whirlpool of life and death drives, humans acquire certain learning methods for leading their lives. The human, as a social being, thinks and acts within their assigned role on the societal stage. Then, the question becomes whether the human performance of a role is an innate instinct or the result of learning. Human desire exists only on this stage called life, and human identity originates from ceaseless questioning. In the mid-20th century, Robert Landy, an American drama therapist, reestablished the definition of role from the perspective of life’s dramatic nature. He explains that role, as a basic unit of personality that consists of the fragmented pieces of identity, is a container of the ego and alter egos’ thoughts and feelings in reality and the drama world. Roles are not limited to characters played on the stage, but also include those that humans are cast in by nature and society. In their lifetimes, humans are destined to play different roles in the various stages of life. Humans value roles as the most natural symbol of existence roles blossom somewhere between the life drive (Eros) and the death drive (Thanatos) as mentioned by Freud. In addition, from birth to the moment of death, a human’s inner drive is constantly urging them and attempts sublimation through spontaneous healing. This researcher analyzes how the human drive, which is new when one is born, leads to diverse roles upon repeated reflection, and how the roles lead to learning, which is an unconscious process affecting a person’s behavior.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no previous study has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s and learning. It also discusses and discerns the meaning and attributes of roles by referring to literature and using Freud’s and Lacan’s psychoanalysis theories, which focus on unconsciousness and the desire of human life. Further from the viewpoint of psychoanalysis, this study examines how human identity is configured, highlights the essence of roles performed by humans in the playground of life, and discusses the roles’relationship with learn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