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페이스북을 활용한 미디어 기업의뉴스 콘텐츠 제공 전략과 소비자 반응 (The Strategies of News Contents Diffusion through Facebook of Media Companies and the Responses of the Facebook User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14.12
26P 미리보기
페이스북을 활용한 미디어 기업의뉴스 콘텐츠 제공 전략과 소비자 반응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경영학회
    · 수록지 정보 : 경영학연구 / 43권 / 6호 / 2091 ~ 2116페이지
    · 저자명 : 황유선

    초록

    본 연구는 미디어 기업들이 페이스북을 통해 자사의 뉴스 콘텐츠를 제공하는 양상을 살펴보고 해당 뉴스 콘텐츠를 소비하는 사람들의 반응을 함께 확인함으로써 SNS가 보편화된 현재의 환경에서 미디어 기업의 SNS 활용 전략 및 향후 대응방안에 대한 함의를 찾고자 했다. 특히 신문사와 방송사로 대표되는 전통 미디어 기업의 산업적 입지가 과거와 같지 않은상황에서 새로운 소통 채널로 인식되고 있는 SNS 소비자들은 어떠한 콘텐츠에 대해 적극적으로 반응하며 콘텐츠 소비방식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실증 데이터를 바탕으로 밝히고자 했다. 이에, SNS의 등장과 확산, 그리고 활용과 관련된선행연구를 검토함으로써 SNS의 사회적 위치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SNS 상에서의 구전효과가 어떻게 드러나는지를 주로 그 효과적 측면에서 논의했다. 미디어 콘텐츠와 같은 경험재에 대한 구전효과 및 SNS 상에서 미디어 콘텐츠의 구전에 대해서도 함께 논의했다. 분석 자료 수집을 위해 언론사 10개의 공식 뉴스 페이스북 페이지에 게시된 콘텐츠와 소비자들의 댓글, 좋아요, 그리고 공유하기 빈도 및 댓글의 내용을 모두 모을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했다. 총 6개월의 기간 동안 게시된 자료를 모두 수집했고 신문사 뉴스 콘텐츠 12,135개와 방송사 뉴스 콘텐츠 22,777개로 총 34,912개의뉴스 콘텐츠를 수집했다. 그런 다음, 수집된 콘텐츠를 유형별, 장르별, 문체별로 나누어 내용 분석(content analysis)을수행했으며 댓글 반응과 댓글 감정 역시 구체적으로 분류했다. 분석 결과, 시각적 콘텐츠 유형에 대한 소비자들의 반응이더 적극적 이었으며 정치 장르의 뉴스 콘텐츠에 대한 반응이 가장 빈번했고 대화체로 이루어진 콘텐츠에 대해서 긍정적이면서도 활발하게 반응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신문사와 방송사의 뉴스 콘텐츠 게시 전략에 있어서도 차이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했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미디어 기업의 SNS 활용 전략에 관련한 함의를 도출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explore the patterns of the news contents diffusion ofmedia companies through the official news facebook pages and to examine the responses of thefacebook users. This study also expected to find strategic implications in the utilization of SNSwhich now have been widely provided among contents consumers. Since the industrial status ofthe traditional old media such as newspaper companies and broadcasting companies has beenchanged, the SNS is considered as to be another channel for the contents diffusion. Especially,under this competitive media environment, to make good use of SNS have become more importantfor media companies. Therefore, the focus of this study was made to verify the various aspectsof news contents and the consumers’ reactions to those news contents on facebook. In the partof theoretical background, the historical background from the appearance to the evolution ofvarious SNSs was first mentioned. By investigating the previous studies regarding SNS, thecurrent social status of SNS was considered. Then, the effects of word-of-mouth on SNS wasdiscussed. To obtain data, a software program which could mechanically gather all the uploadedcontents, the replies, and the number of “like” and “share” on facebook was devised. Ten mediacompanies (three broadcasting companies and seven newspaper companies) were selected andtheir contents on their official news facebook pages were gathered by the software program.
    The software program obtained 12,135 contents of newspaper companies and 22,777 contentsof broadcasting companies for six months. Before analyzing the gathered contents, the types,the genres, the styles of writings of contents were first classified. The kinds of replies and the emotions of replies were also classified. The results revealed that consumers’responses werestronger for the visual types of contents. The political issues were found to receive more frequentreactions from the consumers. Among the styles of writings, the conversational style was paidmore attention and received more positive responses than other styles. Moreover, newspapercompanies and broadcasting companies showed the different strategies in the pattern of providingcontents on facebook.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regarding the strategies of usingSNS were discuss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경영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