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생활체육 진흥을 위한 법적 연구 (A Legal Study on the Promotion of Sport for All)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16.05
19P 미리보기
생활체육 진흥을 위한 법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 / 19권 / 2호 / 1 ~ 19페이지
    · 저자명 : 김상겸, 김은자

    초록

    스포츠의 대중화와 생활화로 인한 스포츠의 저변확대는 스포츠산업의 발전과 팽창을 가져오고 있다. 2000년대 오면서 스포츠산업은 시설에서 용품에 이르기까지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특히 방송ㆍ통신분야에서는 스포츠만 방송하는 전문채널이 생겨날 정도로 장족의 발전을 하였다. 더구나 IT기술이 스포츠에 접목되면서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뿐만 아니라 스포츠용품이나 용구의 발전을 가져와 스포츠의 발전은 가속되고 있다.
    이렇게 오늘날 스포츠는 국민의 삶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더구나 참여하여 즐기는 스포츠의 시대가 도래하면서, 스포츠는 국민의 건강한 생활을 위한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다. 이는 사람의 수명 100세의 시대인 초고령화 사회로 가고 있는 우리 사회에서 볼 수 있다. 언론사가 주최하는 국제마라톤대회에 일반국민을 위한 코스가 운영되고 있으며, 지방자치단체별로 주민의 건강증진을 위한 다양한 스포츠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
    그런데 생활체육과 관련하여 국민의 참가율은 2012년 34.9%로 그리 높은 편은 아니며, 생활체육을 위한 공공스포츠시설도 선진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지 않다. 이는 국가의 스포츠정책이 그동안 올림픽경기나 월드컵 축구경기 등 주로 국가경쟁력을 중심으로 한 전문스포츠에 중점을 두고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국가는 여가생활의 향유와 건강증진을 통한 국민 삶의 질을 제고하기 위한 방법으로 생활체육 정책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2017년까지 국민의 생활체육 참가율 60%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제 생활체육은 대한체육회가 관장하게 되었다. 생활체육은 국민의 건강증진에 기여함으로써 국가의 사회복지 실현에 있어서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다. 이런 관점에서 국민을 위한 생활체육의 활성화는 중요한 국가의 과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스포츠는 그 특성상 국가가 직접 행정조직을 통하여 규율하고 집행하기가 쉽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국민체육진흥법을 개정하여 2016년 3월 대한체육회와 국민생활체육회가 통합하여 통합체육체로서 대한체육회가 새롭게 출범하였다. 새로운 대한체육회는 생활체육을 관장함으로써, 생활체육은 엘리트체육인 전문체육 및 학교체육과 더불어 국가스포츠의 한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 대한체육회는 생활체육의 진흥을 위한 단체로서 역할을 적극적으로 수행하여야 한다.

    영어초록

    The popularization of sports has given rise to the expansion of the sports industry. The industry experienced such an exponential growth especially in the 2000s that sports channels with a sole focus on broadcasting sports were created. Furthermore, Information Technology (IT) is accelerating the development of sports as it contributes not only to the performance of the athletes, but also to the improvement of sports equipments.
    Sports is an integral port of people’s lives nowadays as it is an important means for health in a country headed towards a super-aged society. International marathons hosted by media have courses for ordinary people, and local autonomous entities operate a variety of sports program to promote health of their people.
    Nevertheless, not many people do daily sports and the public sports facilities are relatively scarce than in other advanced countries. According to a statistics in 2012, only a 34.9% of the population engage in the so-called sport for all. One of the reasons would be that the public policies so far have been focusing on the promotion of professional sports which aim to increase the competitiveness of the state like in the Olympics or in the World Cups. Against this backdrop, the government is establishing public policies to promote sports for all and enhance the health and quality of lives of people. The aim is to have 60% of the population participate in sport for all by 2017.
    From March 2016, newly the Korean Olympic Committee (KSOC) takes charge of sports for all in addition to elite sports. Sports for all is an important means for the realization of social welfare by contributing to the promotion of health, making the vitalizations of sports for all an integral state task. However, there are difficulties for the government to regulate and implement policies directly through state organizations due to the autonomous characteristics of sports. This is why the National Sports Promotion Act was amended in March 2016 to integrate the Korean Olympic Committee (KOC) and the Korea Council of Sport for All into the Korean Olympic Committee (KOC). With the new Committee taking charge of sports for all, sports for ordinary people was granted a parallel importance along with elite sports and educational sports. The new Committee should play an active role keeping its mission in mind to promote sports for al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