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의료안전과 형사법의 역할 (Medical Safety and the Role of Criminal Law)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14.03
26P 미리보기
의료안전과 형사법의 역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법학회
    · 수록지 정보 : 법학연구 / 53호 / 1 ~ 26페이지
    · 저자명 : 이재석

    초록

    본고에서는 의료사고가 발생한 경우, 의료인의 과실유무의 판단과정에서 제기되어지는 문제, 특히의료안전과 관련한 형사책임 추급의 당부에 대해 우리나라와 일본의 논의상황을 중심으로 검토한 다음, 최근 시행된 의료분쟁조정법상의 의료분쟁해결제도에 대해 고찰하였다.
    첫째 의료사고가 발생한 경우, 우리의 의료인들이 진료과정의 은폐본질을 완전하게 불식하지 않으면 영원히 의료과오소송에서 헤어나지 못한다는 것을 자각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의료안전과 신뢰를구축하기 위한 법적 기반으로 의료기관의 감시가 감독관청의 감시밖에 없는 법체계는 시대의 조류에부합하지 않는 것으로, 사회에 개방된 의료전문직의 자율적 질서형성을 핵심으로 한 의료조직법의 정비가 필요하다.
    둘째 의료사고의 진상규명과 관련하여 중립적인 제3의 합의제 조사위원회의 설치가 요청되어진다.
    의료인들이 직면하고 있는 의료과오소송의 격증은 의료인과 환자사이의 신뢰관계의 붕괴에 기인하고있음은 부인할 수 없으며, 이러한 위기현상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상호간의 공정한 감정만 보장된다면크게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해 의료분쟁조정법상의 조정중재원이 이러한 역할수행의대행자가 될 수 있는가에 대해서도 진지한 검토가 필요하다.
    셋째 의료인들의 의료과오에 대한 형사책임을 어느 범위에서 추급할 것인가의 여부는 궁극적으로개별국가에 있어 법질서의 선택의 문제이다. 그러나 환자의 건강회복이라는 의료행위의 구명성, 선의* 이 논문은 2012학년도 대구대학교 학술연구비지원에 의한 논문임. 본 논문은 2013년도 한국법학회 ․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동계공동학술대회(2013.12.13)에서 발표한 내용을 수정 ․ 보완한 것임.
    ** 대구대학교 법학부 교수 ․ 법학박사2 法學硏究 第53輯 2014성, 강제성 등을 고려할 때 형사책임의 추급에 있어 부당하게 의료인에게 관대한 것이 아닌 유보는가능하며, 여기에서 의료과오가 경미한 과실에 의하여 발생한 경우에는 책임보험법적 통제에 만족해야 한다. 그리고 이것은 압도적 다수의 의료사고가 민사사건으로 해결되는 지금까지의 실무의 동향과도 기본적으로 일치한다.
    넷째 최근 시행된 의료분쟁조정법의 조정 ․ 중재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피신청인의 참여확대방안으로 해당 법안의 발의에 주도적 역할을 한 의료계가 가지는 제도내용에 대한 반감이나 불신원인의 당부를 검토한 후, 이를 해소할 제도적 보완이 요청되어진다. 특히 피신청인의 소극적인 참여율 제고를위해서는 실무 기구들에 있어 의료인의 구성 비율이 소수라는 견해에 대해서는 경청할 필요가 있다.
    이외에도 동법이 규정하고 있는 형사처벌특례규정은 피해자에 대한 신속하고 공정한 구제에 기여할수 있는 점에서 일반인의 이익은 물론, 최근 강조되어지는 회복적 사법의 이념과도 부합한다 하겠다.

    영어초록

    In the vast majority of situations, health care providers offer professional and invaluableservices to their patients. But mistakes happen, good intentions aside. Medical malpracticeoccurs when a hospital, doctor or other health care professional, through a negligent act oromission, causes an injury to a patient. The negligence might be the result of errors indiagnosis, treatment, aftercare or health management. To be considered medical malpracticeunder the law, the claim must have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A violation of the standardof care, An injury was caused by the negligence, The injury resulted in significant damages.
    Medical malpractice cases often share two characteristics: on the practical side they comecharged with emotion and stress, and on the legal side they are extremely complex andchallenging. The patient must prove that the negligence caused the injury. To pursue amedical malpractice claim, the patient must show that the injury resulted in disability, lossof income, unusual pain, suffering and hardship, or significant past and future medical bills.
    Therefore, malpractice suits are often complex and costly to win.
    Most experts would agree that the current medical malpractice system in the UnitedStates does not work effectively either to compensate victims fairly or prevent injuriescaused by medical errors. In our case, after many twists and turns, the National Assemblyfinally passed the Bill on MalpracticerelatedDamage Relief and Medical Dispute Resolutionon March 11, 2011. And the Korea Medical Dispute Mediation and Arbitration Agency(KMDMAA) was established on April 8, 2012. This act aims to secure just, speedy andinexpensive resolution of medical disputes, focusing on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ADR)procedures.
    This thesis considers ‘Medical Safety and the Role of Criminal Law’ and explores severalsolutions to the problem. This thesis consists of six main parts. Ⅰ. Introduction, Ⅱ. Anoverview of the judicial management about medical malpractice, Ⅲ. The role of theCriminal Law about the medical safety, Ⅳ. Medical Safety and Accident Investigation, Ⅴ.
    Medical dispute settlement system in the Medical Dispute Mediation Act, Ⅵ. Conclus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