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약용의 인성론과 도덕과 교육 시사점 (Jeong Yak Yong’s Theory of Human Nature and the Implications for Moral Education)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9.11
27P 미리보기
정약용의 인성론과 도덕과 교육 시사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19권 / 21호 / 903 ~ 929페이지
    · 저자명 : 박창식, 박균열

    초록

    본 연구는 정약용의 인성론이 도덕과 교육에 줄 수 있는 시사점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다산 인성론 이해의 밑그림으로서 여말선초의 주자학 수용 상황, 사단칠정론, 인물성동이론은 각각 인간의 도덕적 본성에 대한 확고한 정초, 성과 심리 현상과의 관계에 대한 논의, 인간의 본성과 실천의 문제로 심화되었다.
    다산은 자신의 인성론 확립과정에서 본연지성이 가지는 영원성이 인간에게 적용 가능한 것인가에 대한 문제를 비롯해 인성과 물성의 동이에 대한 문제, 생명 탄생의 첫 지점에 선을 배속하는 기존의 성선설에도 문제를 제기한다. 그 결과 그는 성을 기호로 읽음으로써 성이 명사가 아니라 동사임을 제시한다. 동시에 욕구가 갖는 도덕적 추동력으로서의 의미를 부각시켰다. 뿐만 아니라 상제는 종교적 감시자가 아니라 도덕적 감시자로서 등장한다.
    이상의 인성론적 특징을 바탕으로 도덕과 교육에 관해 몇 가지 제언하였다. 현재의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고전과 윤리에서 다산의 성기호설이 성선설과 모순되는 인성론이 아님을 반영해야 할 것이고, 성기호설의 설명에도 좀 더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또 상제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도 도덕적 감시자의 이미지가 더 부각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는 점도 언급하였다. 이 몇 가지 제언은 차후 개정될 교육과정이나 교수학습 장면에서 유의해야 할 부분으로 언급하였다. 동시에 다산의 인성론에서 읽어낼 수 있는 의도된 칭찬의 유의미함을 제기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inquire the implications of Jeong Yak-yong's theory of human nature on moral education. As a sketch for understanding Dasan's theory of human nature, the situation of acceptance of Jujahak(朱子學, the Learning of Master Zhu), Sadan chiljeongnon (四端七情論, also known as the Four-Seven Debate) and Inmulseong dongi debate(人物性同異論, debate on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nature of humans and things) show meaningful progress. These debates, in turn, began with a firm metaphysical foundation of human nature, and discu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nature and psychological phenomenon, and deepen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nature and moral behavior.
    The previous debates on human nature have been systematically incorporated into Dasan's theory of human nature. He had raised the question of whether eternity of bonyeon ji seong(本然之性) is applicable to human beings, as well as the question of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nature of humans and things, and the existing thoery of human nature that assigns goodness to the first point of life.
    As a result, he suggested that Seong(性) is a verb, not a noun, by defining it as a Giho(嗜好, inclining). At the same time, He took a step further and emerged the meaning as the moral driving force of desire in the conflict of human nature and desire. In addition, he highlighted that Sangje(上帝) is not a religious watcher but a moral watcher who monitors morality in our daily lives.
    Based on the above Dasan's theory of human nature, some suggestions were made for moral education. First of all, in the textbooks such as Life and Ethics, Ethics and thoughts, and Classics and Ethics, this study tries to make importance that Dasan’s Seonggihoseol(性嗜好說) is not a contradiction with Seongseonseol(性善說). The explanation of Seonggihoseol need to very careful approach. And this study shows that the image of the moral watcher should be made more prominent in the description of Sangje. Finally, this study raises the significance of the intended compliment, which can be read in the proof of Seongseon(性善, Inclination to goodn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