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상 텍스트로 읽는 우리 문학 (The Korean Literature As Image Text)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09.12
34P 미리보기
영상 텍스트로 읽는 우리 문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예비평연구 / 30호 / 297 ~ 330페이지
    · 저자명 : 박민영

    초록

    문학의 표현매체는 시대상황을 적극적으로 반영한다. 말로 표현된 구비문학은 글로 표현된 문자문학으로 전환되었다. 이제, 문자문학은 영화와 같은 영상문학으로 거듭나고 있다. 이 논문은 영상 텍스트로 우리문학을 읽어보고자 하는 시도에서 시작한다.
    먼저 구비문학의 한 갈래인 판소리가 영상화된 양상을 살펴보았다. 영화 <춘향뎐> <서편제>등은 구비문학이 문자문학으로 정착하는 과정에서 버려진 시청각적 요소를 스크린 위에 성공적으로 재현하였다.
    또한, 설화와 소설이 영상화된 양상을 영화 <꿈>과 <은마는 오지 않는다>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영화 <꿈>의 원작은 조신 설화와 이광수의 소설 『꿈』이다. 영화 <꿈>의 주인공들은 설화와 소설에 비하여 매우 다면적인 성격을 가진 것으로 그려진다. 이 영화는 한 인간이 내면에 잠재되었던 욕망의 그림자를 만나고, 마침내 진정한 자기를 실현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영화 <은마는 오지 않는다>는 장군 설화에서 모티브를 차용한 원작소설을 성공적으로 영상화시키면서, 원 설화의 주제의식을 한층 더 심도 있게 해석하였다.
    끝으로, 시를 영상화한 양상을 살펴보았다. 시를 원작으로 한 영화는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보다 상대적으로 매우 적다. 시를 영화로 각색 할 때 다의적이고 함축적인 시의 특성을 일정 부분 포기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것은 한 편으로 모호함을 특성으로 하는 시가 영화가 되면서 서사적인 명료성을 획득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영화 <301 302> <바람부는 날이면 압구정동에 가야한다>등과 같이 시가 각색된 영화는 보다 친근하게 대중들에게 다가설 수 있었다. 다만, 영화 <편지>에서는 시의 의미를 잘못 해석한 오독의 가능성이 제기된다. 문학작품을 영화로 만들 때는 원작의 의미를 훼손하지 않는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다.
    문학과 영화의 상호텍스트성을 연구하는 것은 영상시대에 문학을 풍요롭게 향유하기 위해서다. 영상문학 연구의 활성화가 기존의 문학연구의 위축을 의미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그것은 대립의 의미가 아닌, 공존과 확장의 의미로 인식되어야 한다. 영상문학은 우리 문학의 외연을 넓힌 또 하나의 문학영역으로서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expressive medium of literature actively reflects the contemporary situation of the times. The oral literature expressed in voice changed into the written literature expressed with the letter. Now, the written literature is being changed into the image literature like film. I'll examine Korean literary works as image texts in this article.
    Firstly, I'll examine the aspect of the Pansori, one type of oral literature, being filmed. <Chun-hyang Dyeun> <Seupyeuje> are reusing successfully the audiovisual element which was once thrown away. The audiovisual element was thrown away when the oral literature became the written one.
    Also, the process of filming narrative and novel will be also examined in the case of <Dream> and <The Silver Stallion Will Never Come>. <Dream> is based on Cho-Shin Tale and Lee Kwang-soo's Dream. The heroes of <Dream> have many complicated sides compared with those of the original tale and the novel. This movie shows the process in which a hero confronts the shadow of the desire latent in his inside and finally reveals the process in which the hero fulfills his own self. <The Silver Stallion Will Never Come> was successfully filmed from the original novel which borrows its motive from the General Tale. And the subject of original narrative was interpreted seriously.
    Lastly, I'll examine the aspect in which poems are filmed. Films based on poems are rarer than films based on novels. When dramatizing a poem to a film, the polysemous and implicative quality of the poem should be abandoned. On the other hand, when a ambiguous poem becomes a film, it acquires the clarity as a narrative. Films like <301 302> and <We Must Go To Apgujung-Dong on Windy Days> that are based on poems appealed so intimately to the mass. However, in the film like <The Letter>, the original meaning of the poem was misinterpreted. When dramatizing the literary work into film, the prudent care should be taken not to damage the meaning of the original work.
    Studies on the intertextuality of literature and movie aim at letting the reader enjoy literature more in the times of image. The activation of image literary researches does not mean the atrophy of letter literary researches. It is not meant for the opposition, but meant for co-existence and expansion. The image literature should be seen as widening the scope of our literary territory and must be researched continuous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예비평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