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가경쟁력 증진을 위한 전략과인적자원개발정책에 대한 비교연구 (A Study on the Strategies for Increased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Policies)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0 최종저작일 2005.02
45P 미리보기
국가경쟁력 증진을 위한 전략과인적자원개발정책에 대한 비교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성인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Andragogy Today: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IJACE) / 8권 / 1호 / 121 ~ 165페이지
    · 저자명 : 이만표

    초록

    이 연구는 하락하고 있는 한국의 국가경쟁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서 국가경쟁력 평가모델들의 특성비교와 주요선진국들의 국가경쟁력 증진을 위한 전략과 실태를 파악했다. 또한, 주요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국가발전전략과 인적자원개발정책을 비교 ․ 분석하여 시사점 및 개인, 기업, 정부의 역할을 제언했다. 결론은 첫째, 국가경쟁력 평가에서 정보화와 인적자원에 대한 평가비중이 높아진다. 둘째, 선진국은 국가경쟁력 증진을 위하여 혁신주도형전략을 선택한다. 셋째, 선진국은 국가발전전략 및 인적자원개발정책을 위해서 지식기반경제 환경과 자국의 역량을 고려하여 선택과 집중을 한다. 넷째, 우리나라는 국가발전전략과 인적자원개발정책에 있어서 핵심이 모호하며 추진 시 급진적 변화전략으로 인하여 많은 위험이 따른다. 시사점은 첫째, 교육인적자원부의 명칭을 바꿀 필요가 있다. 둘째, 교육행정권한을 중앙에 집중하기보다는 지역 및 단위학교에 이양해야 한다. 셋째, 국가발전전략 및 인적자원개발정책은 정권교체에 관계없이 장기적 ․ 종합적 계획 하에 일관되게 추진되어야 한다. 제언은 첫째, 개인의 역할은 선진시민의식함양과 역량을 위하여 적극적인 사회참여 및 평생학습이 필요하다. 둘째, 기업의 역할은 CEO의 인적자원개발에 대한 비전과 철학이 있어야 한다. 셋째, 정부의 역할은 정치인과 관료집단의 자세변화가 필요하며, 인적자원정책에서는 ‘평준화정책’에서 ‘경쟁우위정책’으로 바뀌어야 하며, 각종 규제를 철폐 또는 완화해야 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s part of an effort to stop the undermining of Korea's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instead promote it, compares the evaluation models for assessing national competitiveness around the world and looks at where major advanced countries stand in terms of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which strategies they apply to move ahead. The study also includes a comparative study and analysis on the national development strategies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policies of Korea and major industrialized countries, and draws on the comparison to identify what issues are at hand as well as suggest how individuals, corporate entities and the government can contribute to increased national competitiveness. The conclusion of the study boils down to the following: first, information technology penetration rates and human resources have become a bigger factor in assessing national competitiveness than the past; second, major industrialized countries adopt an innovation-driven strategy; third, advanced countries selects a number of fields based on where their knowledge-based economy stands and concentrates their resources to those selected fields to maximize results; fourth, Korea lacks a core field in its strategies for increased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policies while at the same time aiming to embrace drastic change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exposing itself to many risks. The issues the study identified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need to change the name of the current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cond, the authority for education administration should not be concentrated in the central government but handed down to local governments and schools; third, strategies for increased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policies should remain consistent and long-term based, regardless of a change of governmental administration. To tackle the above-mentioned issues, the following are suggested: first, individuals must actively participate in social developments as members of the society and commit themselves to life-long education; second, corporate entities, and CEOs in particular must have a vision for and philosophy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third, for the government's part, politicians and governmental organizations should adopt change in their mindsets, while shifting the 'level-ground policies' towards 'competition-based policies' in education and carrying out deregul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