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부동산 유치권 제도의 개선을 위한 민법 등개정법률안에 대하여-등기 부동산에 대한 유치권 폐지(안) 등의 재고를 기대하며 (A Suggestion on the Revised Bills of the Civil Act and the like to Improve the Current System of Right of Retention or Possessory Lien on Real Estate -Anticipating for Reconsideration of (Proposed) Re)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14.02
20P 미리보기
부동산 유치권 제도의 개선을 위한 민법 등개정법률안에 대하여-등기 부동산에 대한 유치권 폐지(안) 등의 재고를 기대하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외법논집 / 38권 / 1호 / 189 ~ 208페이지
    · 저자명 : 성민섭

    초록

    현행 부동산 유치권 제도의 간과할 수 없는 폐해와 개선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는 1990년대말부터 법학계와 법조실무계 전반에 폭넓게 형성되어왔다.1) 법무부도 이런 현실을 직시하여 2009년부터 민법개정위원회 제5분과위원회에서 부동산 유치권 제도의 개선방안을 연구하였고,2) 2012년 4월 23일 민법개정위원회 전체회의를 거쳐 ‘등기부동산에 대한 유치권 폐지 등’ 유치권 제도의개선을 위한 민법, 부동산등기법, 민사집행법 개정안을 확정하였다3)(이하, 위 개정법률안들을 총칭할 경우 그냥 ‘개정안’이라고만 하고, 개별 개정법률안을 호칭할 경우 ‘oo법개정안’이라 함).
    그리고 그에 대한 찬반논란4)도 꽤 있었지만, 위개정안은 법제처 심사를 거쳐 2013년 7월 17일정부안으로 국회에 상정되어(의안번호 1906017∼1906019) 소관 상임위원회(법제사법위원회, 이하‘법사위’라고만 함)에 회부되었고, 2013년 12월 13일 법사위에서의 제안설명 및 검토보고를 거쳐소위원회에 회부되었다.5)그런데 위 개정안에 대하여 법사위에 제출된전문위원 검토보고서(이하 ‘법사위 검토보고서’라고 함)6)는, 등기 부동산에 대한 유치권 폐지의 찬반론을 외국의 입법례와 함께 비교적 상세히 소개하면서 “개정안의 취지인 ‘등기 부동산 유치권제도 폐지’에 대하여는 찬반론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음. 유치권 제도의 폐해에 대하여는 모두가 공감하고 있는 부분이지만, 제도의 부작용을막기 위하여 제도 자체를 폐지하는 것이 적절한것인지 아니면 기존의 제도를 유지한 채 제도적인 보완을 하는 것이 더 적절한 방안인지에 대하여는 찬반론의 근거가 모두 일리가 있는 만큼,이러한 찬반론의 논거를 종합적으로 검토한 뒤입법정책적으로 결정할 사항으로 판단됨”이라는매우 유보적 결론을 내리고 있다.7) 따라서 현재로서는, 과연 개정안 원안대로의 부동산 유치권제도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을지 여부를 단정하기 어렵고, 법무부의 2004년도 민법개정안의 전례에 비추어 볼 때, 가까운 시일 내의 제도 개선은 오히려 쉽지 않을 전망이다.8)필자도 1990년대말 이후 급증한9) 부동산 유치권 관련 분쟁과 오⋅남용 및 그로 인한 폐해를수없이 목도하였으므로, 현행 부동산 유치권 제도의 개선 필요성에 대하여는 전적으로 공감한다. 그러나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인 민법개정안처럼 ‘등기 부동산에 대한 유치권을 폐지’하고 그보완책으로 ‘저당권설정청구권을 신설’하는 방안은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법적 안정성 차원에서 보더라도, 어떤 제도의 폐지나 새로운 제도의 창설은 달리 문제를 해결할 방법이 없을 때선택하는 최후의 수단이어야 한다.10) 그런데 부동산 유치권으로 인한 많은 폐해들은 현행법의올바른 해석⋅적용만으로도 상당 부분 합리적 해결이 가능하고, 현재 학설⋅판례도 그런 방향으로 꽤 진척되어 왔다. 그런데, 굳이 이제 와서 새로운 논란을 불러일으킬 극단적 선택을 할 필요가 있는지, 필자로서는 심히 의문이다.11)물론 완벽한 법⋅제도란 현실적으로 존재할 수없음을 필자도 잘 알고 있다. 더구나 개정안은그간 제시되어 온 여러 가지 개선방안을 놓고 담보법 분야의 많은 전문가들이 장시간 연구와 진지한 논의 및 일정 수준의 합의를 거쳐 확정한것이다.12) 그러나 현재 개정안에 대한 재논의를피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보이므로, 이제라도 필자의 우견을 더하여 논의 자체를 활성화하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 같아 본고를 시작하게 되었다.
    필자는 먼저, 부동산 유치권으로 인해서 실제로 발생하는 폐해가 무엇인지, 또 현행 부동산유치권 제도의 어떤 내용이 그런 폐해를 발생시키는지를, 등기 부동산에 대한 유치권 폐지의 합목적성이라는 관점에서 분석⋅검토해보고 싶다.
    왜냐하면, 현 상황이 잘못되었다는 인식과 그 개선필요성에 아무리 공감한다 하더라도, 무엇이잘못되었는지, 그러한 잘못을 야기하는 원인이무엇인지에 대한 인식과 판단을 달리한다면, 그해법 내지 개선방안에 대한 견해도 달라질 수밖에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13) 그 후에 등기부동산에 대한 유치권 폐지 등을 규정한 개정안을 간략하게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필자가 생각하는 바람직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 revised bills of the Civil Act and the like to improve the current system of right of retention orpossessory lien on real estate have been presented to and pending at the National Assembly for passing.
    The author agrees on the necessity of improvement of the system. However, the author disagrees to therevised bill of Civil Act as to “repeal of the right of retention or possessory lien on the registered realestate” and “introduction of the right to demand to establish mortgage”. If the right of retention orpossessory lien on the registered real estate is repealed, it is evident that even claim right, which is properto be protected under the principle of fairness and equality and is also rightful to be protected under thecurrent system as the right of retention or possessory lien, will be excluded from protection, and thus it iscontrary to the essential purport for introduction of the system of right of retention or possessory lien onreal estate. Even though pursuant to the revised bill of Civil Act, the third party cannot avoid fully anyunpredictable damages (i.e. problems of any counter party against the right of demand to create mortgagerecognized for the holder of right of retention or possessory lien on non-registered real estate; and anyretroactive effect). In particular, any harms incurred from the system of right of retention or possessory lienon real estate have been actually incurred from “abuse or faulty use of the right of retention or possessorylien in the auction proceeding of real estate”, and thus it is reasonable and appropriate to supplement andadjust the system to prevent such problems and harms rather than to repeal the right of retention orpossessory lien of real estate. For example, it is recommended and advisable to be reflected as revisedrespectively of the purport of (i) revised bill of Civil Act (Draft Article 320.1) as to specifically settingforth the scope of secured right of right of retention or possessory lien and (ii) revised bill of CivilExecution Act (Draft Article 91.2; and Repeal Article 91.5 of current Act) as to applying the principle ofextinction of right of retention or possessory lien in the auction proceeding of real estate. It is necessary tocreate the system for registration of the right of retention or possessory lien of real estate; to recognize thepreferential satisfaction in the auction proceeding; and to supplement to any deficient or insufficient part in themandatory enforcement proceeding. It is also necessary to implement the systematic supplement to set forthseparately effectiveness of substantial law to meet the elements of formation and purports of introduction as tothe types of the right of retention or possessory li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외법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