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시각장애학교 중등과정 국악교육 실태 (The Stat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for Secondary Students at Schools for the Visually Impaired)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15.03
22P 미리보기
시각장애학교 중등과정 국악교육 실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 수록지 정보 : 시각장애연구 / 31권 / 1호 / 19 ~ 40페이지
    · 저자명 : 정고운, 이해균

    초록

    본 연구는 시각장애학교 중등과정의 국악교육 활성화와 효율성을 도모하기 위해 담당 음악당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국악교육의 실태를 조사하였다. 그 내용을 분석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악에 대한 음악교사의 인식이 높았고, 음악수업에서 국악과 서양음악의 비율을 같아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높고 보유악기는 장구가, 국악교육의 제반 여건이 불충분한 이유는 교사의 지도능력과 교수․학습 자료 부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시급히 요구되는 사항은 국악 전문인력 초빙과 교수․학습 자료 확충이었다. 둘째, 국악교육의 목적은 우리 전통문화의식 고찰과 중점 지도 영역은 가창이며, 지도방법은 장구 등 국악기 반주지도로 나타났다. 교사들의 자신 있는 지도 분야는 장구와 단소이며, 국악을 지도하기 위한 준비로는 연수 또는 실기 레슨을 받으며, 학생은 국악수업을 대부분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국악교육이 학생에게 가장 이바지 하는 부분은 국악 인식 개선이며, 진로탐색에도 영향을 보통이상으로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악교육의 저해요인으로는 현대사회의 대중문화 팽배현상이며, 발전 개선 방안은 전문성 갖춘 교사 지원과 특기적성 및 방과 후 활동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하여 후속 연구에 필요한 사항을 제언하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urther prosper and raise educational effect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for the secondary students at schools for the visually impaired. To achieve the purpose, music teachers from schools for the visually impaired have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to answer a questionnaire designed to show the state of Korean music education in their school. Analysis and consideration over answers on the questionnaire led to following results.
    First, participants were well aware of the value of teaching Korean traditional music as more than half of them agreed that Korean traditional music should be given with equal ratio in the curriculum as western music. They also had common idea that poor educational environments mainly cause from teachers' low proficiency and lack of educational tools for teaching Korean traditional music. Therefore, it seems urgent to enhance teachers' skill and to raise professionalism of the lesson through a solution like inviting professional Korean traditional musicians to school. Moreover, it is also highly recommended that schools have a separated classroom to teach and practice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be prepared with a wide variety of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considering the fact that schools mostly have very limited choices for the instruments except Janggu(Korean drum).
    Second, according to participants' answer about curriculum, they comparatively seemed to be satisfied with the quota that Korean traditional music has in the curriculum and they generally thought the purpos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should be helping students to better understand Korean traditional culture, to gain higher creativity and to develop their talent. For the ways to perform more effective tutoring, teachers wanted to improve their skill in advance of teaching Korean classical music to students by joining workshop or practical lesson, and they also said teaching and evaluation to students must be done individually by one-to-one tutoring system for the sake of practical skills.
    Third, Korean traditional music lesson helps students to gain more favorable impression about classical Korean music, to better understand overall music education, and also sometimes does remarkable role for letting students find their talent that may lead to professional level. Still, there were factors that rein in normal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Current Korean society excessively favors pop culture over it's cultural heritage, and policy supports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re generally less than expected. As for valuable suggestions, participants in the study asked for appropriate extra music lessons, after-school activities, and more professionalized personne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