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동학대로 인한 분리조치 아동들의 경험 (Experiences of Children Separated due to Child Abus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23.09
38P 미리보기
아동학대로 인한 분리조치 아동들의 경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치안정책연구 / 37권 / 3호 / 129 ~ 166페이지
    · 저자명 : 황옥경, 김형태, 송미령

    초록

    본 연구는 아동학대로 인해 분리된 아동이 경험하는 학대와 학대 이후의 분리과정, 분리 보호 환경 등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학대로 인해 분리 되어 아동보호시설에서 보호되고 있는 아동 3명과 아동의 보호자 3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분리보호 전, 분리보호 과정, 분리보호 이후로 분석하였다. 아동이 가정에서 분리되기 전의 아동은 부모와의 애착관계 회복이 어려울 정도로 부모로부터 심각한 학대를 받고 있었다. 분리되는 과정에서 아동은 기대나 희망을 잃고 버림받았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아동을 분리하고 보호체계를 결정하는 과정에 아동이나 가족의 의사를 묻지만, 여전히 아동에게 필요한 보호체계를 결정하는 과정에 제대로 참여하지 못하고 있다. 한편, 최적의 아동 보호체계를 결정하기에는 보호 인프라가 미흡하고, 아동을 담당하는 담당자에 따라 보호체계 결정에 격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리된 아동은 원가정뿐만 아니라 다니던 학교, 친구, 친인척들로부터 단절되어 있으며, 가정 외 보호로 인해 교육적, 물리적, 문화적 연속성이 유지될 수 없었다. 처음 아동이 보호체계에 편입되면 기본적인 생활조차 힘들지만, 일정 기간이 지나면 아동은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 아동의 원가족 복귀를 위해 소통 및 교류 등의 기회를 지원하지만, 부모의 형편상 아동과 소통 및 교류는 원활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가족지원 서비스 체계 구축, 아동분리조치 과정과 보호 과정에서 아동의견 표현과 청취 등의 참여권이 보장, 아동분리조치 이후 아동의 생활환경 유지 관련 규정 마련, 원가족 복귀를 위해 아동분리보호 직후 부모 및 가족과의 관계 프로그램 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아동보호서비스 인프라 구축하고, 분리보호체계에 아동을 보호하는 것이 아니라 아동 상황에 맞춰 아동을 보호할 수 있는 지원이 이루어 질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separation process after abuse and abuse experienced by children separated by child abuse, and the separation protection environment.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ree children separated by abuse and protected in child protection facilities and three guardians of the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nalyzed before separation protection, after separation protection process, and after separation protection. Before the child was separated from the family, the child was seriously abused by the parents to the extent that it was difficult to restore the attachment relationship with the parents. In the process of separation, children lost their expectations or hopes and came to think that they were abandoned. The child or family's intention is asked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children and determining the protection system, but they are still not properly participating in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protection system necessary for children.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protection infrastructure was insufficient to determine the optimal child protection system, and there was a gap in the decision of the protection system depending on the person in charge of the child. Separated children are disconnected from schools, friends, and relatives who attended as well as Won Won-jeong, and educational, physical, and cultural continuity could not be maintained due to non-family protection. When a child is first incorporated into the protection system, even a basic life is difficult, but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child has changed positively. Opportunities such as communication and exchange are supported for children's return to the original family, but communication and exchange with children were not smooth due to parents' circumstanc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right to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family support service system, expressing and listening to children's opinions, and preparing regulations on maintaining the living environment after child sepa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