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단시간근로자의 보호제도에 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 (A Study on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of Protection of Part-time Worker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9 최종저작일 2017.08
28P 미리보기
단시간근로자의 보호제도에 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회법연구 / 32호 / 161 ~ 188페이지
    · 저자명 : 이지원

    초록

    정규직을 중심으로 고용시장이 형성되어 온 우리나라에서 단시간근로는 임시직ㆍ아르바이트 등 일시적인 고용에 그친다는 인식이 지배적이었으며, 이에 따라 단시간근로자를 둘러싼 사회적ㆍ법적 문제 역시 노동법 분야에서 주된 논의의 대상은 아니었다. 그러나 최근 고용형태 유연화에 따른 단시간근로자의 지속적인 증가와 함께 단시간근로를 통하여 고용률을 제고하고자 하는 정책적인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으며, 과거와는 달리 정기적이고 일반적인 고용형태로 변모해 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시간근로자를 둘러싼 법적규율이 시작된 이후로 몇 가지 쟁점을 제외하고 많은 문제점들을 내포하고 있다. 무엇보다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고용보호의 적용대상에서 제외되고 있는 ‘단시간근로자’와 관련한 사항으로, 현행 법령상 단시간근로자는 유급주휴일, 연차유급휴가, 퇴직급여제도가 적용되지 않으며, 기간제근로자 사용기간 제한의 예외로 규정되어 있다. 또한 사회보험관계법령상 건강보험, 국민연금, 고용보험의 적용대상에서 제외되어 있으며, 이를 이유로 하는 차별시정 신청의 당사자 적격은 부인된다. 현행 법체계에서 단시간근로자의 초과근로 문제는 많은 불합리성이 내포되어 있으며, 이를 정당화하기 위한 사유 역시 명확하지 않다. 최근 단시간근로자의 사회보험 포섭 문제는 현실적인 적용 가능성을 고려하여, 생업 기준, 복수의 사업장에서 일하는 단시간근로자 등 개별적 접근법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단시간근로자가 증가할수록 실질적인 사회보험의 필요성라는 측면에서 소득 기준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단시간근로가 정기적이고 일반적인 하나의 고용형태로 변모해가고 또 이를 정책적으로 확대하고자 하는 현 시점에서, 단시간근로가 양질의 일자리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제도적ㆍ입법적 개선이 선행되어야 한다.

    영어초록

    Korea government has adopted the policy of employment flexibility since the Asian financial crisis and the companies have also strengthened the structural reorganization and the flexible employment system. But, due to the adoption of flexible employment system, the number of non-regular workers have increased a lot, thus bringing about the social issues such as unstable employment, and discriminatory treatment in terms of wages. So, Korean Government enacted or revised the so-called non-regular workers protection act such as Fixed-term Workers Act, Temporary Agency Workers Act and Labor Relations Commission Act in Nov. 2006. But, though it has been almost 10 years since the adoption of Fixed-term Worker Act, it does not look like that the purpose of the laws has achieved their goals. Especially, the Fixed-term Workers Act regulates the work relation for fixed-term workers and part-time workers who make up most of the non-regular workers. Though it may look like that the Act has achieved some goals through several revisions, it has not solved the critical problems and has not led the public to reach a public agreement. In case of part-time workers, we have to focus on the new type of approach proper for the demand of labor in the changing circumstances and the stable employment. It means that we have to take the total approach to the issue of ‘the possible voluntary conversion to the part-time work system from the regular worker system’ and ‘the conversion from the part-time work to the regular type of work’. In addition, we have to check the issues in the conditions of work which happens in proportion to the working time in the part-time work relation. So, as there is the demand for enacting a single law regulating the part-time work relation, it is time to consider the enactment of a single law for it. On the other hand, as for the judgment on the discriminatory treatment against the fixed-term workers and part-time workers, the current law on the fixed-term workers has problems as it has the decision process which is too complicated to use and has the unclear and unprepared provisions. Accordingly, in this study, the focus will be made on the current situation for fixed-term workers and part-time workers, the problems in the forms of labors under current legal system and the problems concerned with discriminatory treatment to find out the method for the protection of workers in terms of improvements and legal processes for law mak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회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