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적 말하기의 쟁점과 교육 방안 (An Necessity of Public Speech Education and its Educational Issue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18.06
25P 미리보기
공적 말하기의 쟁점과 교육 방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연구 / 96권 / 309 ~ 333페이지
    · 저자명 : 강연임

    초록

    이 논문은 대학생들의 수업발표를 중심으로 공적 말하기의 개념에 대한 이해와 교육의 필요성 및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고등학교까지의 입시교육은 학생들의 사고력과 의사소통 능력의 배양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다고 볼 수 있다. 특히 학생들이 공적인 상황에 대해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생각나는 대로 어휘와 문장을 구사하고, 그에 수반되는 비언어적인 행위를 일삼는 것도 큰 문제라 아니할 수 없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학생들의 공적 말하기에 나타나는 문제점을 언어적 관점과 비언어적 관점으로 나누어 살피고자 했다.
    언어적 관점에서는 어휘구사와 문장표현을, 그리고 비언어적 관점에서는 말하기의 자세와 태도, 목소리 등의 습관에 대해 살펴보았다. 공적 말하기에서의 어휘구사 문제는 어휘의 정확한 의미를 파악하지 못하고 발화하거나, 상황에 맞지 않는 부적합한 어휘를 발화하는 것이라 하겠다. 문장표현의 문제는 비문이나 적절하지 못한 표현을 구사하는 것이라 하겠다. 그리고 비언어적 관점에서의 문제로는 말하기의 자세나 태도, 목소리의 크기 및 높낮이, 그리고 얼굴표정, 발화습관 등을 들 수 있다.
    언어적 관점에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읽기의 활성화, 요약의 구체화를 제시했다. 이를 바탕으로 어휘와 문장교육의 내실화를 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비언어적 훈련을 통해서는 의사소통 능력을 제고해야 하겠다. 실제로 읽기활동의 활성화를 통해 상황에 맞는 어휘를 효과적으로 익힐 수 있다. 요약의 구체화를 통해서는 읽거나 들은 내용을 정리하면서 문장 구성 능력을 배양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맥락에 맞는 말하기 능력이 신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으로 비언어적 요소에 대한 훈련을 통해 적절한 자세, 태도 그리고 목소리의 크기, 발화습관 등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면 공적 말하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thesis is studied about the problem of public speech and seek a concept and necessity of public speech, its concrete educational method. To allow for social demand of speech ability, the public speech education is important subject of education for studen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the ability of should be taught in college is communication ability. Good communication is needed necessary in modern society for everyone. Through an improve speaking ability in public situation, it can help making the most of his ability and living in harmonious organization. To summarize the discussions until now as a conclusion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it is studied about the concept of public speech and its necessity. A public speech is defined a utterance scene, a relationship of speaker and listener, and utterance aim. That is to say, public speech is a speaking of utterance scene to the masses, objective relationship of speaker and listener, utterance to first public purpose. After understanding of these concept accurately, speech activity of special genre(announce, discuss, debate, presentation, and interview etc.) should be educated.
    Second, the problem of public speech is classified into vocabulary choice, sentence expression, and the others. And the each problem analyzes basis of student’s announcement. In vocabulary choice, an embarrassing word that speaks in public situation utters without constraint, and a word of improper means is spoken wrong. In sentence expression, there are often to speak faulty sentence. And the others, it is considered the problem of nonverbal communication. These problems disturb a good communication and it is the biggest obstacle to deliver speaker’s message, it needs positive action.
    Third, a educational method of public speech seek for solution in four types, reading activation, summary concrete, word education substantiality, and nonverbal communication education. Through reading activities, a necessary concept for speaking can be prepared. Through summary of reading, an ability of picking out the important contents can be developed. And through a substantial of word education, it can help to convey the message. Finally a nonverbal communication about a good position and attitude, height of the voice, and pronunciation for public speech should be educate, a speaking attitude for public speech can achie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