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업의 사회적 책임, 무책임, 그리고 기업성과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rresponsibility, and Firm Performance: Empirical Investigation of Validity of Theories and Measurement)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5.06
35P 미리보기
기업의 사회적 책임, 무책임, 그리고 기업성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경영학회
    · 수록지 정보 : 경영학연구 / 44권 / 3호 / 677 ~ 711페이지
    · 저자명 : 이수열, 홍미경

    초록

    기업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사회 구성원의 기대가 커져가면서 기업은 자연스럽게 사회적 책임활동을 경영의 중요한 고려 사항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에 관한 경영학 문헌은 대다수가 기업성과의 관련성을 입증하는데 집중해 왔다. 그러나 기업의 사회적 책임 못지않게 무책임한 사건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바람직한 일과 바람직하지 못한 일이 동일한 기업에게서 동시에 일어나는 현상이 자주 목격된다. 기업의 사회적 무책임(CSiR)에 대한 관심이 증가 되는 배경이다. 이 연구는 사회적 무책임 개념을 연구모형에 도입하여 사회적 책임, 무책임, 기업성과 사이의 관계에 대 한 실증분석을 시도하였다. 세부적인 연구목적은 CSR이 기업 가치를 높이는가, CSR이 사회적 무책임을 줄이는지 분석 하는 것이다. 연구는 이 세 가지 변수사이에 유의한 관계가 존재한다는 가설을 제시하였고 이를 토대로 CSR의 측정도구 인 KEJI의 예측 타당성을 논증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하여 KEJI 지수를 CSR의 대리변수로, 자체 수집한 기업의 부정적 사건 사고 건수를 무책임 대리변수로, Tobin's Q를 기업 가치의 대리변수로 활용하였다. 한국거래소 상장기업의 종단적 패널자료를 이용한 실증분석을 통해 두 가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CSR 성과는 기업 가치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며 KEJI는 재무적 측면의 예측 타당성이 유의한 도구이다. 둘째, CSR성과와 기업의 무책임은 유의한 영향관계를 발견 할수없었고결과적으로KEJI의사회적성과측면의예측타당성은유의하지않다. 이연구는CSR이기업가치에미 치는 긍정적 영향을 재확인해 주는 동시에 CSR 성과와 사회적 무책임이 공존하는 현상을 실증함으로써 사회적 무책임과 CSR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고려한 새로운 도전과 연구주제를 제공하고 있다.

    영어초록

    Firms have adopte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as one of important managerial and strategic considerations with the increasing pressure and expectation of society in which they operate. A number of scholarly work on CSR has been conducted mainly by identifying its elements and validating the effects of CSR on firm performance. However, several important aspects have received relatively little attention. First, to date, little academic research has explored an aspect of corporate irresponsibility, particularly in Korea. The last decade have witnessed that firms can be simultaneously responsible and irresponsible. Second, most previous studies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SR and firm value have provided mixed results. Moreover, CSR effects vary depending on the explored each specific element of CSR. Third, most previous studies conducted in Korea have utilized the KEJI index as a proxy of CSR performance. However, little attention have addressed the validity of KEJI as a proxy of CSR performance.
    Given this gap, this paper explores two questions. Does CSR performance lead to higher firm value? And, does CSR performance reduce corporate social irresponsibility(CSiR)? First, this study suggested a comprehensive framework to better understand CSR by simultaneously considering CSiR and firm value. Second, this study provoked discussion on the validity of CSR measurement. Third, this paper provided empirical evidence of the effects of CSR on CSiR and firm value.


    Consistent with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tudy utilized three proxy measures for CSR, CSiR, and firm value. First, a six-year panel of the KEJI index from year 2005 through year 2011 (except 2008) was used for CSR performance. Second, the study collected data regarding corporate irresponsibility activities by searching daily newspaper articles and Fair Trade Commission's database of resolution for prosecution with 48 keywords representing corporate scandals from 2005 through 2012. Third, this study used Tobin's Q for measuring firm valu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ith time-lag models were used to test the effects of CSR on CSiR and firm value, respectively.
    Overall, the research results provide mixed results regarding the effects of CSR. First, CSR, measured by the KEJI index, has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 on firm value. The effects of CSR differ depending on specific dimensions of CSR. However, overall CSR performance is found to contribute to higher firm value. This result well illustrates that the CSR effect is consistent with the previous studies so that the financial aspect of predictive validity of the CSR measure, the KEJI index, is significant. Second, the result confirms that there is no signifiant positive or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CSR and CSiR.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commonly used measure for CSR performance in Korea might have shortcomings in terms of validity to predict the possibilities of corporate irresponsible incidents in near future. Coll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s that the effect of CSR performance and predictive validity of the KEJI index on firm value are significant whereas they are not significant on corporate irresponsibility.
    Through a comprehensive model and empirical evidence, this study provides a better understanding of CSR and its measurement. This study provokes an open discussion about CSR by suggesting a controversial result to the conventional expectation on the effects of CS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경영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판매자 설정표지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