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후변화 협상은 성공할 것인가? (Will the Climate Change Negotiations Succeed?)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2.09
27P 미리보기
기후변화 협상은 성공할 것인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제정치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정치논총 / 52권 / 3호 / 473 ~ 499페이지
    · 저자명 : 오경택

    초록

    유엔을 중심으로 진행된 국가들 간의 기후변화 협상은 과거 20년 간 심한 부침을 겪어 왔다. 그런데 가장 최근의 더반 당사국총회에서는 2020년 이후 선진국들과 개도국들 모두 온실가스 의무감축에 동참하는 단일 체제를 수립하기로 약속함으로써 다시 한 번 기후 거버넌스의 긍정적 전망을 가능케 하고 있다. 본 논문은 그와 같은 국가 간 합의는 보다 큰 기후 거버넌스 장기적 상승 추세의 반영이며, 그와 같은 추세는 여러 차원의 국가적, 비국가적 변화 요인에 따라 진행되고 있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 장기적 추세를 이끌고 있는 첫 번째의 요인은 과학적 합의가 지속적으로 강화되어 왔다는 점이며, 그 결과 현재의 논의는 감축을 위한 보다 구체적 사안으로 좁혀지게 되었다. 다음의 요인은 기후 거버넌스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두 나라인 미국과 중국의 국내정책이 변화하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중국이 최근에 보여준 전향적 입장은 국내적으로 추진 중인 신재생에너지 정책과 온실가스 감축 정책에서 나온 자신감이 반영된 변화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NGO, 기업, 지자체 등이 개별적 또는 융합적으로 기후 거버넌스를 강화해 나가는 현상 역시 기후 거버넌스의 상승 곡선을 이끌고 있는 중요한 동력이다. 단기적 문제점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필자는 이와 같은 이유들로 인해 기후 거버넌스의 장기적 상승 추세는 되돌리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한다.

    영어초록

    The climate negotiation process among the states in the UN has experienced serious fluctuation for about 20 years. However, the latest agreements on the post-2020 climate regime at the Durban COP rejuvenated our hope for the future of climate governance. I argue that such agreements between the conflicting states reflect a long-term trend of the upward curve of the climate governance which has been influenced by various changes. The first factor which has led the long-term positive trend of climate governance is the strengthening of the scientific evidences about the causes and seriousness of global warming. The second factor is domestic policy changes i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Especially, the recent new position of China on its possible commitment of emissions reduction reflects its confidence, stemming from successfully implementing policy on the renewable energy and greenhouse gases. Finally, NGOs, firms, and sub-national authorities, independently or through partnerships, play important roles in strengthening climate governance. Despite the existence of short-term problems, I prospect that the long-term upward direction of climate governance cannot be set backwar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제정치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