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세계화(globalization)와 안보 연구 (Globalization and the Study of Securit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02 최종저작일 2008.12
24P 미리보기
세계화(globalization)와 안보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제정치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정치논총 / 48권 / 4호 / 117 ~ 140페이지
    · 저자명 : 류재현

    초록

    세계화가 과연 하나의 독립변수로 사용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그 의미가 명확하게 규
    명된 과학적 개념인가의 여부는 학계의 지속적인 의문으로 남아 있다. 특히 최근에는
    현저하게 드러나고 있는 각종 반세계화 현상을 바탕으로 세계화에 대한 반론이 거세지
    고 있으며 일부 세계화론 주창자들조차‘현실’로서 세계화 현상에 대한 회의적 시각을
    표출하고 있어 그 의문은 더욱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세계화를 설명 변수로 삼는 모든
    연구 영역에서 세계화의 의미와 세계화와 관련된 연구 성과를 반추해 볼 필요성도 커지
    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세계화의 의미 분석을 바탕으로 세계화를 안보환경 변화의
    독립변수로 삼는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세계화는 그 설명적 가치와 규범적 판단을 둘러싸고 논란이 계속되고 있는 개념이다.
    세계화는 세계화론자를 중심으로 발전되어 온 개념이지만 이들 사이에서도 개념에 대한
    합의는 존재하지 않는다. 세계화는 가장 단순하게는 하나의 현상 혹은 사건으로 간주되
    기도 하지만, 세계화의 본질을 규명하려는 입장에서는 세계화의 원인과 영향에 대한 인
    과관계는 물론 사회관계 본질이나 권력관계 변화를 적시하는 개념으로 취급하여 왔다.
    그러나 세계화를 개념화하려는 노력은 수많은 하부 현상을 단일 요소로 설명해야 하며,
    역으로 개념 속에 혼재되어 있는 세계화의 원인, 결과, 설명 및 규범적 판단 요소를 단순화해야 한다는 과제를 안고 있다. 특히 원인과 결과가 혼재되어 있는 세계화 개념은
    현상 분석을 위한 설명체계 구성에 가장 큰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
    세계화와 안보와의 관계를 다루는 연구는 대체로 세계화에 관한 중도론적 입장에서
    안보에 관한 낙관론을 피하고 새로운 위협을 제시하는데 초점을 맞추는데, 이러한 경향
    은 안보연구에서 세계화를 가장 단순한 수준에서 정의하는 데에서 비롯된다. 그러나 지
    나치게 단순한 세계화 개념을 적용하는 안보연구는 질적으로 새로운 현상인 세계화를
    여전히 국가중심적 시각에서 다루고 모든 안보위협을 테러리즘의 문제로 축소하려는 환
    원주의의 문제를 야기한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세계화 개념의 불완전성
    을 염두에 둔 세계화 개념에 대한 접근과 일관된 세계화 개념 적용이 요구된다. 또한 세
    계화 현상으로부터 직접적인 안보 사안을 도출하는 노력에서 한 차원 더 나아가 안보연
    구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는 안보환경 변화의 전체적 특성을 분석하는 포괄
    적 연구가 요구된다.

    영어초록

    Whether the concept of globalization is defined enough to be utiliz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in the study of globalization’s effects still remains unsolved. Especially, with the
    increasing challenges to globalization itself and the sceptical evaluation of globalization even
    among hyper-globalizers, the value of the concept of globalization as a variable has been greatly
    challenged. This study examines the trend of security studies related to globalization and
    suggests new directions for the studies of globalization’s security implications.
    There has been competing assessment of globalization in terms of its explanatory value and
    normative positions. The concept of globalization has been developed by hyper-globalizers, but
    there has never been a consensus on what it really means. At the lowest level, globalization is
    defined as an event or phenomena, but to those who believe that it means more than that, it is a
    concept which explains causes and consequences of globalization, and the nature of future
    society and power relations. Conceptualization of globalization faces two problems. One is to
    explain many diverse phenomena by one driving force. The other is to simplify many parameters
    of the concepts, such as causes, consequences, explanations, normative judgement, etc. The
    confusion of explanans and explanandum becomes the greatest obstacle to develop the
    explanatory scheme of globalization.
    Security studies on globalization are characterized by tendencies to take the middle position
    between hyper-globalizers and sceptics and, to adopt the simplest version of globalization
    concept, and by reductionism. These cause logical contradictions in the course of finding
    globalization’s security implications. All the characteristics are attributed to difficulties of
    conceptualization of globalization and incompleteness of the concept. From the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new directions for security studies: First, with recognition of incompleteness of
    the concept, security studies should be cautious in utilizing the concept of globalization. Second,
    well-defined conceptualization and coherent application of globalization are required. Finally,
    security studies should expand its research area from finding new threats from globalization on
    security to finding comprehensive security implications of globalization which can help
    overcome logical contradictions in security studies related to globaliz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제정치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