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존재와 시간』에 나타난 세 가지 실존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9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6.07 최종저작일 2016.02
39P 미리보기
『존재와 시간』에 나타난 세 가지 실존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철학논집 / 44권
    · 저자명 : 김창래

    목차

    I. 하이데거보다 『존재와 시간』을 더 잘 이해하기
    II. 『존재와 시간』 - 이원적 또는 삼원적 구성?
    III. 현상적 출발점으로서의 일상적 실존
    IV. 일상적 실존에서 학문적 실존에로의 변양
    V. 일상적 실존에서 철학적 실존에로의 변양
    VI. 이원적 구성의 테제를 거부하고 삼원적 구성의 테제를 수용해야 하는 이유
    VII. 『존재와 시간』이 걷는 두 가지 길
    참고문헌

    초록

    사람들은 『존재와 시간』이 본래적, 비본래적 실존이라는 두 실존 방식을
    대비시키고, 그 1편은 후 자를 2편은 전자를 다룬다고 말한다. 전자는 존재자에 몰
    입하는 실존이고 후자는 자신을 존재 앞에 세우는 실존이다. 따라서 이원적으로 구
    성된 이 책은 비본래적 실존에서 본래적 실존에로의 이행을 촉구한다. 나는 이러한
    해석에 반대하여 『존재와 시간』은 일상적, 학문적, 철학적 실존이라는 세 실존 방
    식을 다루고 따라서 삼원적 구성을 가진다고 주장한다. 일상적 실존은 현존재의 무
    차별적인 ‘우선 대개’를 뜻한다. 우선 대개 현존재는 손안 존재자 곁에 있고 다른
    현존재와 더불어 있다. 이 있음의 방식에서 출발해서 두 가지 실존론적 변양이 이
    루어진다. 한편 둘러보며 배려하던 손안 존재자와 뒤돌아보고 심려하던 다른 현존
    재가 오직 바라보는 관찰의 대상이 되어 눈앞에 세워지면서 일상적 세계는 탈세계
    화된다. 그 결과 모든 존재자를 오직 바라보는 관찰의 대상, 눈앞의 사물로 발견하
    는 학문적 실존이 시작된다. 다른 한편 세계 안에, 존재자 곁에 머물던 현존재가
    그 ‘안’과 ‘곁’에서 떨어져 나와 자신을 존재자가 아닌 존재 앞에 세우면, 존재자만
    을 긍정하던 세계는 존재자가 아닌 것만을 긍정하는 세계로 전도된다. 그 결과 존
    재자에서 시선을 떼고 존재 앞에 개별화된 자신만을 보되, 모든 존재자적 관련을
    꿰뚫고 보는 투명한 봄이 가능해진다. 이렇게 자신을 대함이 이른바 본래적 또는
    철학적 실존이다. 『존재와 시간』의 과제는 이중적이다. 우선 실체 형이상학과 근대
    과학의, 존재의 의미는 눈앞에 있음이라는 존재 이해를 비판하고 구성된 자연에 대
    한 일상적 생활 세계의 존재론적 우위를 증명하고, 나아가 존재자에 빠져 있는 일
    상적, 학문적 실존의 비본래성과 스스로를 존재 앞에 세우는 본래적 실존에로의 전
    향의 필요성을 증명해야 한다. 이 두 과제의 수행을 위해 세 가지 실존을 인정하
    고, 『존재와 시간』을 삼원적 구성의 관점에서 읽는 것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In der Regel pflegt man zu sagen, dass Sein und Zeit die uneigentliche und
    eigentliche Existenz einander gegenüberstelle und jede von beiden je das
    Hauptthema des ersten und zweiten Abschnitts des Buches ausmache. Das
    uneigentlich existierende Dasein sei in die Seienden verfallen und das eigentlich
    existierende stelle sich hingegen vor dem Sein als vor seinem Grunde. Demnach
    sagt man weiter, das Sein und Zeit habe eine zweier Komposition und verlange
    daher von seinem Leser einen Übergang von der uneigentlichen zur eigentlichen
    Existenz. Man pflegt das Sein und Zeit so zu lesen und auszulegen. Gegen
    diese übliche Deutung des Buches einwendend stellt die vorliegende Arbeit ihre
    These: das Sein und Zeit handle von drei Existenzweisen, d.h. von der
    alltäglichen, wissenschaftlichen und philosophischen und habe daher eine dreier
    Komposition. Die alltägliche Existenz bedeutet das indifferente ‘Zunächst und
    Zumeist’. Zunächst und zumeist ist das Dasein bei dem Zuhandenen und mit
    dem Mitdasein. Von dieser Alltäglichkeit ausgehend finden zwei existenzielle
    Modifikationen derselben statt. Einerseits werden das umsichtig zu besorgende
    Zuhandene und das rücksichtig zu fürsorgende Mitdasein in ein hinsichtig zu
    betrachtendes Vorhandes umgestellt und danach wird die alltägliche Welt
    sozusagen entweltlicht. So existiert jetzt das Dasein wissenschaflich, d.i. entdeckt
    jedes Seiende nur als vorhandenes Ding. Andererseits läßt sich das Dasein, das
    bei und in den Seienden blieb, diesem Bei und In entfernen und vor dem Sein
    stehen, das selbst nicht ein Seiendes ist. Dann tritt an die Stelle der alltäglichen
    Welt, in welcher nur das Seiende etwas ist und das, was nicht ein Seiendes ist,
    nichts ist, die sog. verkehrte Welt des Philosophen, in welcher das Seiende
    nichts ist und das, was nicht ein Seiendes ist, das Nichts ist. Wer in dieser
    verkehrten Welt sich selbst sieht und zwar mit der von den Seienden
    ungetrübten Durchsicht, existiert als eigentliches Selbst, d.h. philosophisch. Die
    Aufgabe des Sein und Zeit ist zweierlei. Einerseits hat es das
    substanzontologische und wissenschaftliche Seinsverständnis, nach dem der Sinn
    von Sein nichts als Vorhandenheit ist, zu kritisieren und den ontologischen
    Vorrang der alltäglichen Lebenswelt gegenüber der substanzmetaphysisch und
    wissenschaftlich konstruierten Natur-Welt zum Beweise zu bringen. Andererseits
    hat es alle Existenzweise, nur in den Seienden aufzugehen, sei es die alltägliche
    oder die wissenschaftliche, als uneigentlich zu beurtelen und den Weg zur
    eigentlichen und philosophischen zu öffnen. Um der Ausmachung dieser
    zweifachen Aufgabe gerecht zu werden, hat man die drei Existenzweisen
    anzuerkennen, obzwar nicht als gleichberechtigte, und das Sein und Zeit aus der
    Perspektiv der dreier Komposition zu lesen und auszulegen.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주제가 흥미롭고, 내용이 충실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감사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