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내러티브 탐구를 통한 유치원 초임교사들의 교직 생활 이해 - 네 교사의 교직 첫해 이야기 -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9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4.08 최종저작일 2005.01
29P 미리보기
내러티브 탐구를 통한 유치원 초임교사들의 교직 생활 이해 - 네 교사의 교직 첫해 이야기 -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 / 22권 / 2호
    · 저자명 : 김혜선

    목차

    I. 서론
    II. 연구방법
    1. 내러티브 탐구
    2. 연구 참여자
    3. 자료수집과 분석
    IV. 연구결과 및 해석 : 네 교사 이야기
    1. 김 다시 교사 : 책임으로부터의 이탈
    2. 나 다움 교사 : 교직에 대한 정체성의 표류
    3. 정 수용 교사 : 교사가 되기 위한 외로운 도전
    4. 고 이상 교사 : 당당함에서 무능함으로의 전이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초록

    본 연구는 유치원 초임교사들의 1년간 교직생활을 심층적으로 알아봄으로써 초임교사들의 성공적인 교사입문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연구자와 2003년 3월에 임용 된 유치원 초임교사 4명의 협력적인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진행하였으며,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그들의 삶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초임교사들은 자신의 성향과 유치원 환경에 따라 서로 다른 교직사회 입문과정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 명의 교사 중 ‘김 교사’는 갈등 속에서 1년의 교직생활을 마치고 교사로서의 책임으로부터 이탈하여 임용고시 공부를 시작하였으며, ‘나 교사’는 1년간 교직에 대한 끊임없는 혼란으로 자신의 정체성을 찾기 위해 표류하고 있었다. 또한, ‘정 교사’는 1년간 계속해서 낮아지는 자존감으로 우울한 상황이었으나 좋은 수업을 하는 교사가 되기 위해 외로운 도전을 지속적으로 시도 하였으며, 고 교사는 부속유치원에 취업하여 당당한 초임교사의 생활을 시작하였으나 강도 높은 훈련과 수동적인 교육체제에서 자신을 점차 무능한 존재로 인식하며 힘겨운 성장을 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로 볼 때, 현대사회의 초임교사들에게 개인의 성향과 유치원의 특성을 고려한 공동의 협력적인 교사입문지원이 필요하며, 초임교사들이 성공적인 교사직을 수행하고자하는 실천적 의지를 지닐 수 있도록 대학교육방법의 개선이 요구된다. 끝으로 교사들의 삶을 이해하는 것이 유치원교육과정의 성공적인 변화에 중심이 되는 것을 고려해 볼 때, 앞으로 교사연구의 한 분야에서는 연구자와 교사가 협력적으로 참여하는 상호작용적 연구방법을 통해 교사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

    영어초록

    This thesis tries to examine the first teaching years of the newly appointed preschool teachers profoundly in order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ir successful teaching lives in the future. Therefore this study concerns mainly on the cooperative interactions between the four preschool teachers who were appointed in March 2003 and the researchers and narrative inquiry to analyze their teaching lives qualitatively.
    As a result, the newly appointed teachers turned out to go through different first lives according to their dispositions and their preschool environments. One of the four teachers, 'Ms. Kim' went through hard times for one year, started to study for the qualifying exams for teachers when she got out of the responsibilities as a teacher. In a mean time, teacher 'Ms. Na' was finding her self-identity after having gone through constant internal disorders while teaching. Also, teacher 'Ms. Chung' was disappointed at her lowering self-esteem for a year, but she tried to challenge herself ceaselessly in order to be a good skilled teacher, and teacher 'Ms. Ko' worked for the preschool affiliated to the university, started her career as a new teacher only to put herself into the difficult position to develop feeling herself incompetent gradually after going through harsh training and being in a passive education system.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re is a strong need for cooperative supports considering each teacher's personality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 of each preschool for the newly appointed teachers nowadays and improving university teaching curriculums are required in order to encourage teachers-to-be to have strong wills to carry out successful teaching lives. Finally, considering understanding teachers' lives as a key to the successful shift in preschool curriculums, at least one field of the future studies should focus on listening to teachers' voices through interactive research methods demanding teachers' active participa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콘텐츠는 다양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어 지루할 틈이 없습니다. 매번 새로운 인사이트를 제공해 주어 학습이 즐거워지고 있습니다. 학습 후 실제로 과제나 레포트에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용할 예정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교원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