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독일 통일의 교훈과 한반도 통일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6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12.01
26P 미리보기
독일 통일의 교훈과 한반도 통일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보훈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보훈논총 / 11권 / 2호
    · 저자명 : 염돈재

    목차

    Ⅰ. 서 론
    Ⅱ. 독일 통일의 과정과 배경
    Ⅲ. 독일 통일과 관련된 쟁점들
    Ⅳ. 독일 통일이 한반도 통일에 주는 교훈과 시사점
    참고문헌

    초록

    독일 통일은 우리에게는 하나의 재앙이었다. 독일 통일 과정과 교훈을 잘못 이해하여
    정부정책과 국민들의 통일의식에 매우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독
    일 통일이 브란트의 동방정책, 화해‧협력 정책 때문이라고 생각해 왔으나 독일 통일은
    ‘힘의 우위 정책’이 거둔 성과였다. 우리는 흡수통일은 회피해야 할 모델이라고 생각
    했으나 불가피할 선택일 가능성이 많다. 우리는 통일비용 절감을 위해 북한경제 발전을
    지원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북한체제 하에서 경제회생이 어려울 뿐 아니라 통일
    에도 도움이 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는 통일과정에서 독일정부의 실책이
    많았다고 생각하여 독일의 실패사례에서 교훈을 얻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독
    일이 저지른 대부분의 ‘실책’은 어쩔 수 없이 선택한 차선책이었다. 우리는 독일 통
    일 후유증 때문에 통일을 두려워하고 있으나 독일은 이미 통일후유증에서 완전히
    벗어나 세계경제의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다. 우리는 통일비용 때문에 통일을 두려
    워하고 있으나 우리는 한국민의 역동성 등 독일보다 유리한 점도 많아 독일에 비해
    통일비용을 훨씬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우리가 향유할 통일의 편익은 독일
    보다 훨씬 클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통일의 두려움에서 벗어나 적극적인 통일노
    력을 해 나갈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e misunderstanding of the process and lessons from the German
    unification negatively influenced both Korean government policy and people’s
    consciousness of the Peninsula’s unification. One of the key misconceived
    perceptions of the Korean people is that the German unification was possible
    thanks to West Germany's policy of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the so-called
    Willy Brandt's New Ostpolitik. In reality, the German unification was the
    outcome of the “Policy of Superior Power” with West Germany, exerting
    power over the East. In addition, Korean people have thought that the German
    unification model, the so-called “absorbed unification”, is the model which
    should be avoided, but there is much possibility that the German model would
    be an inevitable choice for Korea’s unification. Also, Korean people think that
    South Korea should support the development of North Korean economy to
    reduce unification cost. However, the North Korean economy cannot recover due
    to its deficient political and economic systems. And while the Korean people
    think that the German government has committed many mistakes in the
    unification process. Nevertheless, most of the “mistakes” were inevitable
    second choices which the German government could not avoid. Finally, Korean
    people are afraid of unification costs. However, unified Germany has overcome
    most of the aftermath of the unification, and has solidified its position as the
    “Engine of the World Economy”. Moreover, Korean people can enjoy more
    benefits of unification than German people. Korean people, therefore, should
    hopefully exert efforts for unification without being afraid of unification cost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매우 유익하고, 주제가 잘 정리되어 있어 학습에 큰 도움이 됩니다. 특히 자료의 품질이 높고, 내용이 풍부하여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유익한 자료가 계속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보훈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