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개인의미도법 : - 박물관교육을 위한 질적 연구·조사방법 -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2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10.06
22P 미리보기
개인의미도법 : - 박물관교육을 위한 질적 연구·조사방법 -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박물관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박물관교육연구 / 4호
    · 저자명 : 서원주

    목차

    Ⅰ. 질적 연구방법으로서 개인의미도법(PMM)
    II. 개인의미도법(PMM)의 개요와 절차
    Ⅲ. 박물관교육을 위한 연구·조사방법으로서 개인의미도법(PMM)
    Ⅳ. 결론

    초록

    질적 연구는 현재 서구에서 왕성하게 이루어지고 있고 우리나라 교육학계에서도 연
    구방법으로 자리를 잡았다. 국내외 박물관교육 분야에서도 질적 연구가 활발히 이루
    어지고 있으나 박물관 관람자를 대상으로 하는 현장연구에서는 아직 질적 연구방법을
    이용한 심층 연구가 부족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논문에서는 박물관교육을 위한 질
    적 연구조사방법으로 ‘개인의미도법(Personal Meaning Mapping: PMM)’을 소개
    하고 그 이론적 배경과 사용방법 및 장단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PMM은 1998년에 존 포크와 그의 동료들에 의해 학습경험이 개인 학습자의 의미
    형성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다. 포크는 조셉 노박이 고안한
    개념도법(Concept Mapping)의 장점을 인정하면서도 그 사용에 복잡하고 질적 연
    구 수행에 적합하지 않다고 주장하며 이를 개선하여 PMM을 개발하였다. 포크는 구
    성주의적 인식론에 기초하여 개인의 학습경험이 특정 지식에 대한 이해의 근본적 구
    도를 변화시킨다고 보고 그 경험이 개인의 개념, 태도, 감정적인 이해에 어떠한 영향
    을 미치는지를 측정하기 위하여 PMM을 고안하였다.
    개인의미도법의 자료수집 방법은 학습경험 전과 후의 두 단계를 거친다. 참여자는
    학습경험(예, 박물관 관람)을 하기 전에 핵심주제어(prompt)가 적힌 빈 종이를 받는
    다. 참여자는 핵심개념과 관계있다고 생각되는 단어나 생각 또는 그림을 응답지 빈 칸
    에 기입하고 응답내용에 대해 개방면담을 통해 설명한다. 학습경험을 마치고 돌아온
    참여자는 이미 기재한 응답지를 돌려받고 다시 응답 및 면담을 한다. 분석상의 편의를
    위하여 각 단계의 응답은 다른 색의 펜으로 기재한다. 참여자의 관람전과 관람후 응답
    은 다음의 4단계로 분석되어 비교된다. 지식의 정도(Extent), 지식의 폭(Breadth),
    지식의 깊이(Depth) 및 지식에 대한 통달도(Mastery).
    이렇게 개인의미도에 나타난 지식의 변화를 비교하여 개개인이 특정 경험을 통하여
    어떻게 학습하는지 이해할 수 있다. 또한, PMM 자료는 참여자 개인 사이의 비교를
    위해서도 분석될 수 있고 PMM을 통한 종단연구(longitudinal study)도 가능하다.
    PMM의 장점으로는 자료수집의 용이성, 연구조사 수행방법의 유연성과 윤리성, 참여
    자에 대한 풍부한 자료를 들 수 있다. PMM은 여러 비판에도 불구하고 매우 유용한
    연구조사 방법이며 이를 이용한 연구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PMM을 연구자
    자신의 필요에 맞도록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영어초록

    Qualitative research in education has been widely conducted in the West and settled as
    a research method in Korea. There has been a lot of qualitative research in museum
    education; however, only a little has been done in the field of museum education. Hence,
    this paper introduces ‘Personal Meaning Mapping (PMM)‘ a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for museum education, and endeavours to discuss its theoretical background and
    its strengths and weaknesses. PMM was developed by John F. Falk and his colleagues in
    1998 in order to assess the impact of educational experiences on individual learning.
    Originally, PMM was derived from Concept Mapping devised by Joseph Novak in 1970s,
    which was critised by Falk for its complexity and positivism.
    The data collection process of PMM involves two open-ended interviews,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al experience. Participants are given a blank paper with a prompt (a key
    word) written on it, and invited to write or draw anything the word reminds them of. Once
    completed, they are asked to make amendments to the responses or add more information.
    PMM analyses the responses along with four semi-independent dimensions: Extent, Breadth,
    Depth and Mastery. First three dimensions are an independent measure and the last
    dimension is a holistic analysis.
    PMM data can be interpreted within and across individuals. This analysis is useful to
    illustrate the learning outcomes from the same educational experiences across the different
    learners. PMM is also applicable to longitudinal studies. The strengths of PMM are easiness,
    flexibility, ethicality and abundancy of data. Given the short history of PMM, this method
    is still under development and has weakness to amend.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each researcher adapt the method according to their own needs for further develop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매우 유익하고, 주제가 잘 정리되어 있어 학습에 큰 도움이 됩니다. 특히 자료의 품질이 높고, 내용이 풍부하여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유익한 자료가 계속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박물관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