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주경험과 사회적 문제해결, 의존성 및 독립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13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10.01
13P 미리보기
사주경험과 사회적 문제해결, 의존성 및 독립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서정신과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동서정신과학회지 / 13권 / 2호
    · 저자명 : 김미라, 백용매

    목차

    방 법
    결 과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초록

    본 연구는 사주 경험과 사주에 대한 태도, 사회적 문제해결과 의존성 및 독립성과의 관계와 사주경험에 대한 남·녀 간의 태도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사회적 문제해결척도는 Maydeu-Olivares와 D'Zurilla(1996)가 제작한 개정판 사회적 문제해결
    척도(Social Problem Solving Inventory Revised: SPSI-R)를 최이순(2002)이 우리말로 번안하여 재표준화한 것을 사용
    하였고, 독립성과 의존성척도는 Singelis(1994)가 개발한 아동용 척도를 성인에 맞게 수정·변경하여 사용하였다.
    사주의 경험정도, 사주에 대한 태도, 사회적 문제해결, 의존성 및 독립성 간의 상관분석과 사주경험 빈도에 따른 사주태도, 사회
    적 문제해결, 의존성 및 독립성과의 차이는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사주경험에 대한 남·녀 간의 태도차이는 독립집단 t검증
    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212명중 최근 5년간 사주경험 1~3회는 96명으로 45.3%, 사주경험
    4~9회는 29명으로 13.7%, 사주경험이 전혀 없는 경우 87명으로 41%를 차지하여, 사주경험의 유·무는 약 6대 4의 비율로
    나타났다. 사주경험과 심리적 특성변인인 사회적 문제해결의 각 하위요인과 의존성 및 독립성과는 유의미한 상관이 없었으며,
    사주경험과 사주태도와의 관계는 중등도의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이는 심리적 특성변인인 사회적 문제해결과 의존성
    및 독립성과 사주경험 간에는 관련이 없고, 사주에 대한 긍정적 태도가 사주를 보는 행동으로 이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사주태도에 있어 남·녀 간의 차이는 없었다. 이는 사주명리학이 남·녀 모두에게 무속이나 미신이 아닌 우리 사회의 보편적인
    문제해결의 한 방식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사주경험은 심리적 특성변인보다는 사주에 대한 태도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고, 특히 심리적 특성변인인 독립성 및 의존성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사주감정행동은 개인이
    일상생활을 유리하게 이끌어가기 위한 일종의 정보로써 우리 사회의 보편적인 현상이며, 문화적으로 친숙한 행동으로 상담이나
    심리학 분야에서 재조명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시사되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look into the relation among Saju experiences, Saju attitudes, social problem-solving, reliance,
    independence, and the attitude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s experiences about Saju. For social problem-solving
    scale, Maydeu-Olivares and D'Zurilla(1996)’s Social Problem Solving Inventory Revised(SPSI-R) that Choi Lee-sun
    re-standardizes as Korean version was used. In addition, for the reliance and independence scales, Singelis(1994)’s sale
    for children was revised and changed for adults. The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relations among
    the degree of Saju experiences, attitudes about Saju experiences, social problem-solving, reliance, independence, while
    one-way ANOVA on the differences attitudes about Saju, social problem-solving, reliance, and independence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Saju experiences were conducted. In addition, as to the differences between women and men’s
    attitudes about Saju, the independence group T-test were perform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212 respondents, 96 had one time to three times Saju experiences(45.3%) in recent five years, 29 had four times
    to nine times Saju experiences(13.7%), and 87 had no Saju experience(41%), which shows the ratio of six to four about
    existence of the Saju experience. There were no significant relation among Saju experiences, sub-areas of social
    problem-solving, reliance, independence that is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variables, but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aju experiences and Saju attitudes. It means that there are no relationship among Saju experiences,
    social problem-solving, reliance, independence, and positive attitudes about Saju lead to Saju experiences.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in terms of Saju attitude. This means that men and women consider
    Saju-myungrihak as a problem-solving method, not a shamanism or a superstition in society. This study suggest that
    attitudes about Saju affect Saju experiences more than variables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there are
    no relation among Saju experiences and independence, reliance that ar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variables. Therefore,
    as a kind of information to lead individuals’ daily life profitably, Saju behaviors is the universal phenomenon in Korean society and it needs to reconsider it as a culturally familiar behavior in counseling and psychology.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주제가 흥미롭고, 내용이 충실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동서정신과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