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 한자 교재의 구성 방법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2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01.01
22P 미리보기
조선시대 한자 교재의 구성 방법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초등국어교육 / 19호
    · 저자명 : 허왕욱

    목차

    1. 서 론
    2. 한자 교재의 구성 방법
    1) 문자와 실물의 관계를 고려한 교재 구성
    2) 문자와 문장의 관계를 고려한 교재 구성
    3) 문자의 의미관계를 고려한 교재 구성
    4) 다양한 언어 체계의 관계를 고려한 교재 구성
    3. 결 론

    초록

    한 사회의 문화를 형성․발전시키기 위한 목적에서 문자 교육은 매우 중요하게 인식되어 왔
    다. 조선 시대에 한자는 일상적인 상황에서 쓰이는 우리말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있었지만, 고급
    문화를 향유하고 이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한자를 익혀야 했다. 이런 까닭에 조선 시
    대의 초급 교육 기관에서는 문자 교육이 모든 교육에 우선되었다.
    이처럼 조선 시대의 초급 교육 기관에서 이루어진 문자 교육은 한글보다 한자가 중심이었는
    데, 한자 학습은 주로 한문 학습에 선행하여 실시되었다. 따라서 한자 교육의 주요 내용은 문장
    학습에 필요한 문자와 기초적인 문법을 익히는 것이었다. 이 때 사용된 대표적인 교재는 <천자
    문>이었다. <천자문>은 중국으로부터 수입된 교재로 약 1,000자를 4자를 기본 단위로 학습하도
    록 되어 있는데, 4자는 독립적인 의미를 지닌 문장 형식이었다. 따라서 문자 습득 과정에 있던
    학습자들은 반드시 <천자문>을 암기해야 했다.
    <천자문>이 한자 학습 교재로 널리 사용되던 상황에서 조선의 지식인들은 유합, 훈몽자
    회, 신증유합, 아학편 등 여러 차례에 걸쳐 새로운 한자 학습 교재를 개발하였다. 이들의
    교재 구성 방법은 서로 달랐으나, 대체적으로 공유 가능한 지점은 조선인의 일상적 생활과 정서
    를 표현할 수 있는 문자를 중심으로 가르침으로써 학습자에게 의미 있는 언어 학습을 제시하고
    자 한 것이었다. 최세진은 심성(心性)을 위주로 하는 추상적인 개념보다는 구체적인 사물을 가리
    키는 명사(名詞) 중심으로 교재를 구성하였고, 유희춘은 실질적인 의미를 지닌 글자를 선정하여
    이를 문장 교육과 연계 지어 교재를 재구성하였다. 또한 다산 정약용은 문자와 문자 사이의 의
    미 연관을 고려하여 교재를 만들었다. 다산의 <아학편>은 20 세기 초에 재편되어 영어와 일어
    를 학습하기 위한 교재로 재구성되기도 하였다.
    불행히도 여러 가지 이유로 말미암아 이상과 같이 주체적으로 개발한 교재들이 실제 초급 교
    육 기관에서 문자 학습 교재로 거의 활용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교재들이 지속적으로 개
    발되는 과정에서 보여준 문자 및 문자 학습에 대한 이상(理想) 가운데에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하게 활용될 시사점을 제공해 주고 있다. 이 글은 이러한 점에 주목하면서 교재 구성에 작
    용한 개발자들의 생각을 더듬어 보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A class of literacy(reading and writing) has been regarded as an elementary
    instruction. We can communicate with others, and form social culture through a
    Letter. Among several letters, the chinese letter(Han-Ja;漢字) had strong effect on
    the high-class culture of Jo-Sun dynasty. Though the Han-Ja was kept apart
    from our spoken language(Korean), in those days, the Han-Ja class was included
    in the essential curriculum. The Han-Ja was taught by conventional method in
    order to become a consumer(or producer) of the quality culture.
    A class of the Han-Ja was composed of two levels, the study of letter and the
    study of sentence, or acquiring vocabulary words and using fundamental grammar.
    The <Cheonjamun; 千字文> was a common teaching materials in the Han-Ja
    class. The <Cheonjamun> is composed of 250 phrases. Each phrase made by 4
    words has concrete meaning. As a beginner, student learn the <Cheonjamun> by
    heart essentially.
    In those situation, scholars of Jo-Sun dynasty developed new text for studying
    the Han-Ja repeatedly. Choi, Se-Jin(崔世珍) developed the <Hunmongjahoi; 訓蒙字
    會> with words centered norms indicate definitive affairs. Yu, Hei-Chun(柳希春)
    reform the <Yuhap; 類合>, and made up the <Sinjeungyuhap; 新增類合>. He
    selected ordinary words, and related that to the mode of chinese sentences(漢文).
    And Jeong, Yak-yong(丁若鏞) made teaching aids, the <Ahakpyen; 兒學編> by
    considering relationship of words' meaning. The <Ahakpyen> was reproduced as a
    learning language book to study English and Japanese at the tuning of 20 century.
    The methods of composing text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s. But we can
    find a common factor that they made efforts to teach their students meaningful
    words by convenient method. we can seek desirable ideas to literacy instruction nowadays through inventors' thinking. In this article, I can arrive at the conclusion
    that we have to revalue those texts above mentioned and apply it to develope
    various language texts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판매자가 제공한 자료는 체계적인 구성으로 되어 있어 복잡한 내용을 과제에 쉽게 활용 할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좋은 자료들이 많이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초등국어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