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디어 교육의 새로운 해석과 접근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7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00.08
27P 미리보기
미디어 교육의 새로운 해석과 접근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공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공학연구 / 16권 / 2호
    · 저자명 : 한정선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Ⅲ. 결 론
    참고문헌

    초록

    그동안 선진국을 중심으로 실시되어온 미디어 교육에는 언어 리터러시를 비롯하여 시각 리터러시, 텔레비전 리터러시, 컴퓨터 리터러시, 넷트웹 리터러시, 정보 리터러시, 테크놀로지 리터러시, 문화 리터러시 등이 있다. 멀티미디어 시대, 특히 인터넷으로 세계가 연결되고 텍스트뿐만아니라 동영상까지도 컴퓨터 상에서 받아 볼 수 있고 Web-TV나 Internet-TV가 상용화 단계에 있는 이 때에, 이들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도 통합적이며 총체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필요성을 인식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 논문에서는 멀티리터러시(muliliteracy)라는 이름아래 다중 미디어(multiple media)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지기를 제안한다.우리나라에서는 언어 리터러시와 컴퓨터 리터러시가 진행되어 왔을 뿐, 다른 리터러시 교육이 실시되지 않았으며 현재 단계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제7차 교육과정에도 포함되어 있지 않다. 미디어 교육이란 단순히 미디어를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사고의 도구, 탐구의 도구, 커뮤니케이션의 도구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교육시키는 것이다. 미디어 교육을 실시할 때에는 미디어, 테크놀로지, 그리고 교수법을 고려하여야 한다. 접근 방법에 있어서는 탐구 기저 교육, 학습자 중심 학습, 협동 학습, 문제 해결 학습, 표준 학력 검사와는 다른 방법의 평가, 그리고 통합교과과정으로서의 운영이 필요하다.미디어 교육이 중요한 이유는 비판적 사고력을 길러 줄 수 있으며, 다각적인 견해에 접할 수 있어 민주주의 사회에 필수적인 다원주의와 합리성, 그리고 통찰력을 기르는 요체가 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미디어 교육은 학교, 가정, 사회 등 어느 곳에서나 평생동안 계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영어초록

    Media Education has been conducted since 1960s under virous names: visual literacy, television Iiteracy, computer literacy, network literacy, informat.ion literacy, and technology literacy. In the past, it has been carried out mostly in conjunction with language education or arts education. It was neither an independent subject nor a core subject. Today, however,there is a new, compelling need for media literacy, need for a new interpretation, and need for a charge in approaching to media education. A possible response to these needs is integrating several literacies as “multiliteracies, " since some literacies are closely ∞mpatibleand provide common foundation for research and practice.There is an increasing evidence that educators, parents, and policy makers have at last begun to recognize the role that media plays and the impact that media gives in shaping the way young people think, act, and learn. Educators began to respond to media education by providing instructior intervention including critical and creative thinking, viewing, and listening skills. As media education gains momentum in the United States, Canada, Australia and many other countries, media education has been mandat때 K-12 in many leading ∞m띠es around the world. However, in Korea, media education is not included in the 7th Curriculum that started to be implemented this year and will be completed in the year of 2004.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ful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scope and the domain of meclia education. The “mainstream" of media education used consist of mass media based communication and pedagogy. Due to reænt developments of technolqgy and their proliferation as new technology tooIs in our society, the identìfied thee mapjor, components of media OOucation are media, technology, and peclagogy. Media literacy is defin어 as “the ability to acæss, analyze, evaluate, and communicate messages in a variety of fonns." A media literate person should be able to use the media as a tool as well as a rep­resentational vehicle. our “communication" society, characterized as networked, knowledge-based, committed to life-Iong learning, is a good pedagogical environment for media educatlon.Some basic characteristics of media education include inquiry based educatlon, student centered learning, problem solving in cooperative terms, altematives to standardized testing, and the development of interrelating curriculum. It should also take interdisciplinary and multidisciplinary approaches interrelating the areas of culture, sociology, education, psychology, philosophy, and technology.Media education is not simply on how to use the media or the computer but is expanded into the areas of analysis, interpretation, adaptation, and application. Media ooucation is es­sential in developing a democratic society that en∞urages diversified ideas and approaches for improve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제공하는 자료는 질이 매우 높고,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이 인상적입니다. 이해하기 쉬운 설명과 다양한 예시 덕분에 활용하기 편했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공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