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구비문학을 통한 문화연구 방법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0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01.01
20P 미리보기
구비문학을 통한 문화연구 방법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비문학연구 / 13호
    · 저자명 : 함한희

    목차

    Ⅰ. 머리말
    II. 구비문학과 인류학
    III. 역사․문화연구자료로서 구비문학
    IV. 이야기의 구성틀과 문화적 내용
    V. 맺는말

    초록

    인류학에서는 신화, 설화, 전설, 민담, 서사시, 칭송시, 애송시, 격언, 수수께끼, 민요 등과 같은 구비문학(oral literature)으로 분류되는 구전자료들이 문화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자료로 이용된다. 초기 인류학자들의 경우는 주로 문자가 없는 원시부족사회를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기에 구전자료와 구술은 더욱 중요해질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학문적인 전통을 따라서 현재에도 인류학자의 연구대상이 문자사회이건 비문자사회이건을 막론하고 구술과 구전자료의 중요성은 강조되고 있다. 한국, 중국, 일본, 또는 서유럽 등지의 오랜 역사를 가진 문자사회를 연구할 때도 인류학에서는 여전히 구술자료와 구전을 중시한다. 여기에서는 현지인들과의 이야기를 통해서 듣는 민담, 전설, 옛날이야기를 포함하여 개인들의 면담자료, 생애사, 또는 구술사의 형태로 전해지는 특정한 마을과 집단의 역사 따위를 폭넓게 포함한다.

    영어초록

    My article discusses the importance and usefulness of oral literature in the study of cultures. Oral literature includes many different unwritten literary and poetic forms such as myths, narratives, folktales, epics, lyrics, songs, proverbs, and riddles. Some were collected and kept in written forms. My study is focused on these collected materials in various source books. Oral literature that remains today either in written or verbal form is considered to have been made in the middle and late Choson period. It is evidently an important data to study the folk literary forms of Choson. In addition, I have focused on the folk literary forms as historical and cultural source material. In this respect, oral literature contributes to the study of culture by allowing an exploration of the folk people's social background and psychology of their thoughts, values and consciousness through the time period.
    I have examined two categories of popular folk stories. One is a category of stories about pious sons, daughters, and daughters-in-law which exist in many versions. The narratives based on filial piety are considered the most popular theme in the Korean oral literature. During the period of mid-Choson a new family system emphasizing the exclusive succession to the eldest son and the corporation of patrilineal kin groups were established along with the adoption of Neo-Confucian ideology by the State and the Yangban elites.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folk people also began being educated and learned the new values, morals and virtue about family relationships and life. These different stories about dedicated and faithless sons, daughters-in-law, and daughters tell us that the folk people of the period were ambivalent about the new system of family relationships and patrilineal kinship. While many people appreciated and praised such new familial ideology, some resented and spoke out against it.
    The other category of stories is about a baby warrior with mythical power. This story also exists in many versions. However, the common theme in the baby warrior narratives is that the powerless should obey authority without resistance. These stories also taught the powerless survival strategy for existing in a stratified society without much difficulty. The folk people tended towards protecting themselves rather than resisting or defying authority and risking their lives.
    The two categories of folk stories deserve special attention because they reveal the folk people's understanding of the world, values, and their psychology. Even though the stories do not specifically address changes in structures of family relationships and social stratification, oral literature clarifies the folk people's belief in family relationships and political relationships between authority and the powerles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해당 자료는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고, 내용이 풍부하여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정말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