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29개
-
신규간호사 교육 매뉴얼_유치도뇨(Foley catheterization)2025.05.091. 유치도뇨(Foley catheterization) 유치도뇨는 소변 배출 통로가 폐쇄된 경우 소변을 배출시키기 위해, 지속적인 소변 배출을 위해, 시간당 소변 배설량을 측정하기 위해, 실금 대상자의 피부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약물 주입이나 지속적인 방광 세척을 위해, 수술 대상자의 방광 손상을 예방하고 수술 부위의 오염을 막기 위해, 무의식이나 척추 손상 환자의 요정체를 예방하기 위해 실시한다. 유치도뇨 시 준비물품, 방법, 주의사항 등이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2. 유치도뇨 준비물품 유치도뇨 시 필요한 준비물품으로는 유치도뇨...2025.05.09
-
[성인간호학] 감염관리 정리 <의료관련감염>2025.01.101. 의료관련감염의 정의 의료관련 감염이란 의료와 관련된 모든 감염이다. 과거에는 원내감염 또는 병원감염이라는 용어를 사용했으나, 의료행위와 관련된 감염이 병원에 국한된 것만이 아니며, 퇴원한 이후 요양시설이나 기타 의료관련기관 그리고 지역사회까지 파급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포괄적인 의미로 의료관련감염이라는 용어로 그 범위를 확대하였다. 2. 의료관련감염의 기전과 경로 1) 내인성 감염: 환자 자신의 구강, 장 등에 정착하고 있는 상주균에 의해서 유발되는 감염→ 환자 자신의 감염에 대한 저항력 저하로 발생 2) 외인성 감염: 외부...2025.01.10
-
수술실, 회복실 Daily2025.05.131. 수술실 실습 실습하면서 배웠던 것, 느낀 점 등을 작성한 자료입니다. 수술실 실습이 제일 재밌었고 실습 전 걱정이 많이 되었었습니다. 일반 병동과 달리 정보도 없고 많이 생소했기 때문이에요. 수술실 실습에 대한 꿀팁을 몇 가지 적어보고자 합니다. 2. 마취과 실습 마취과 실습할 때는 오전에는 수술방 들어가서 마취과 간호사의 수술실 루틴을 보고 한타임 보고 나면 회복실 들어와서 회복실 업무를 도왔습니다. 3. 수술 전 준비 수술을 참관하기 전 해당 방 선생님께 참관해도 되는지 예의상이라도 여쭤보자!! 점심식사 식당 관련해서도 확...2025.05.13
-
[A+] 성인간호학실습 (GS) CaseStudy 게실염 (Sigmoid Colon Diverticulitis)2025.01.201. 게실염 게실(diverticulum)은 근육막을 통하여 장 점막층이 탈장되거나 바깥으로 돌출되어 나온 것으로 구불창자(S자결장)에서 흔히 발생한다. 게실질환은 45세 이상의 비만한 사람에게 많이 발생하며 60세 이상의 환자가 전체 발병률의 약 1/3을 차지한다. 게실염은 게실에 있는 음식 및 박테리아가 감염이나 염증을 일으킨 것이다. 저섬유소 식이는 변비를 일으키며 약한 장근육 부분에 압력이 증가하여 게실을 초래할 수 있다. 게실염은 급성 또는 만성으로 발생하며, 증상으로는 좌하복부에 미열이 동반되는 경련성 통증, 오심, 구토...2025.01.20
-
노인간호학실습_질환보고서_대퇴부 경부 골절(Femur Neck Fracture)2025.04.301. 대퇴골 경부골절의 정의와 원인 대퇴골 경부 골절이란 대퇴골의 위쪽에서 대퇴골 골두 아랫부분인 대퇴골 경부에 금이 가거나 부러진 상태를 말한다. 이들은 모두 노인들에서 주로 발생하는데 노인성 혹은 폐경기성 골다공증으로 인해 단순한 낙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일종의 병적 골절이라 할 수 있다. 2. 대퇴골 경부골절의 증상 가벼운 외상에 의한 것이라도 대퇴 경부 골절이 일어나면 하지를 움직일 수 없게 되고, 골절이 전위되면 하지는 단축, 외회전 및 외전되며 고관절을 움직이면 심한 통증을 호소한다. 또한 고관절부에 종창과 피하 출혈을 ...2025.04.30
-
부산대 본원, 양산 필기 복원 (2020-2023)2025.05.151. 보호대 사용 시 간호중재 보호대 사용 시 간호중재로는 적절한 것이 억제대는 최대한 꽉 끼게 적용하지 않고, 섬망 환자는 즉시 보호대를 적용하지 않으며, 적용부위는 30분마다 감각 등을 사정하고, 환자의 안전을 위해 일정 시간 동안 적용해야 하며, 흥분한 환자는 퇴원 시까지 보호대를 적용하지 않는다. 2. 활동성 결핵환자의 격리지침 활동성 결핵환자의 격리지침으로는 병실에 들어가기 전 접촉 주의에 맞는 가운 등을 착용하고, 병실 문을 닫아두고 양압이 유지되는 1인실을 이용하며, 병실 들어갈 때 간호사는 N95마스크를 착용한다. 3...2025.05.15
-
각막궤양 간호과정 케이스 21page2025.01.101. 각막궤양 각막은 안구의 가장 앞부분에 위치하며 빛을 통한 상이 눈에 맺힐 때 일차적으로 통과하는 창문과 같은 역할을 한다. 각막궤양은 눈의 각막에 손상이 있을 때 세균이나 바이러스, 진균 또는 여러 가지 원인 등에 의해서 염증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각막의 일부가 움푹 파이는 것이다. 각막궤양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지만, 각막 중심부는 주로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의 감염으로 발생하고 흰자와 가까운 부위는 세균에 대한 면역반응으로 발생하기도 하고 뚜렷한 원인없이 발생하기도 한다. 각막의 감각을 담당하는 신경의 마비가 있을 때에...2025.01.10
-
급성췌장염(Acute Pancreatitis) 케이스2025.05.081. 췌장의 구조와 기능 췌장은 위장의 뒤에 있는 길이 20cm정도의 길쭉한 장기로서, 우측은 십이지장에 둘러 싸여 있으며 왼쪽 끝은 비장과 접하고 있다. 췌장의 주된 역할은 소화액을 만드는 것(외분비)과 혈당을 조절하는 인슐린 등 여러 호르몬을 만드는 것(내분비)이다. 췌장에서 만들어지는 소화효소는 소화 작용이 없는 상태로 분비되어 작은창자에서 소화 작용을 하게 되므로 작은창자에서만 작용할 뿐 췌장 자체에서는 작용하지 않고 췌장에서는 스스로 소화되는 것을 막는 물질을 분비하여 췌장을 소화시키지는 않는다. 2. 급성췌장염의 정의 급...2025.05.08
-
장루 간호 교육 PPT (성인 간호학)2025.01.171. 장루 장루는 신경이 없어서 만져도 아프지는 않으며, 자극을 주면 약간의 출혈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인공항문이라고 불리는 장루는 자연 그대로의 항문이 아니기 때문에 괄약근의 조절을 받을 수가 없다. 따라서 장루에 주머니를 부착해 변을 모으고, 많은 경우 6개월 정도가 지나면 적응이 되기 때문에 큰 불편 없이 정상인과 같이 생활할 수 있다. 2. 장루 간호 장루 간호에는 장루 주머니 교환, 분비물 비우기, 주머니의 가스제거 등이 포함된다. 장루 주머니 교환 시 장루의 크기보다 1-2mm 정도 크게 오려내고, 피부를 닦고 피부 ...2025.01.17
-
성인간호학 실습 수술실 실습전 과제2025.05.101. Scrubbing Scrubbing의 목적은 미생물의 확산을 예방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손의 더러움이나 일시균을 제거하여 상주균이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내과적 손씻기는 물과 비누를 사용하여 손과 손목부위를 씻는 방법이며, 외과적 손씻기는 소독비누와 멸균수건을 사용하여 손, 손가락, 전박을 씻는 방법이다. 주의점으로는 여러번 사용하는 타월 사용 금지, 비누 용기 오염 주의, 충분한 마찰 시간 등이 있다. 2. Gloving and Gowning Gloving의 목적은 시술자의 손의 피부 미생물로부터 기구나 시...2025.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