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42개
-
성인간호학- 급성관상동맥증후군 간호과정, 심근 허혈과 관련된 급성 통증2025.01.241. 급성 심근경색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은 좌전하행지와 좌회선지, 우관상동맥으로 이루어지는데 이 혈관에 콜레스테롤이 쌓여 죽상경화증이 진행되면 혈관벽이 좁아지다 혈전이 생긴다. 이것이 관상동맥을 막을 경우 심장근육이 죽어가는 급성 심근경색이 발병된다. 2. 동맥경화증 나이를 먹거나 고혈압, 당뇨 등이 있을 때 혈관 안쪽에 콜레스테롤과 같은 지방 물질이 쌓이게 되고 이것이 점차 혈관벽을 딱딱하게 만들어 동맥경화를 유발시킨다. 방치하면 심장으로 가는 혈류가 좁아져 심장의 기능이 떨어지는 협심증이 발생하고, 심각해지면 급사의 ...2025.01.24
-
CPR 교육자료2025.05.081.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심폐소생술은 심정지 또는 호흡정지가 발생한 환자에게 뇌 손상을 방지하고 심장기능과 호흡을 유지하기 위해 즉시 실시하는 소생술입니다. 기본 소생술(BLS)에는 반응 확인, 119 신고, 가슴압박, 인공호흡 등의 순서로 진행되며, 전문 소생술(ACLS)에는 약물 투여, 전문기도유지술 등이 포함됩니다. 심정지 상황에서 신속한 대응과 체계적인 소생술 수행이 중요합니다. 2. 기본 소생술(BLS) 기본 소생술의 주요 내용은 반응 확인, 119 신고, 가슴압박, 기도유지, 인공호흡 등...2025.05.08
-
CPR (Cardiopulmonary Resusitation) [BLS, ALS, PLS, 약물요법, 제세동, endotracheal intubation, Ambu bagging] [레포트, 지침서, 보고서, 과제, 응급실, ER, 실습]2025.05.081. 기본 생명소생술(BLS) 기본 생명소생술은 심정지 환자를 소생시키기 위한 첫 번째 단계이며, 심정지의 발생을 인지하고 환자의 생명을 유지하기 위한 응급조치이다. 현장에서 인공호흡과 흉부압박을 시행하여 정지된 혈액 순환 및 호흡기능을 유지시켜 조직으로의 산소공급을 유지하는 기본소생술이다. 2. 전문생명소생술(ALS) 전문 생명소생술은 심장박동을 회복시키기 위해 전문 기도유지, 약물투여(에피네프린)와 심전도 감시 및 심전도에 바탕을 둔 전기적 제세동 등의 장비를 사용하는 전문적인 치료를 제공하는 단계이다. 3. 소생 후 치료(PL...2025.05.08
-
신규간호사 교육 매뉴얼_도움 및 제세동기 요청2025.05.101. 도움 및 제세동기 요청 반응이 없으면서, 호흡이 없거나 비정상적인 호흡 (심정지 호흡)을 하는 사람을 발견했다면, 즉시 119에 신고한다. 심정지 환자를 목격한 경우에는 주변에 큰 소리로 구조를 요청하여 다른 사람에게 119에 신고하도록 하는 등의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주변에 아무도 없는 경우에는 직접 119에 신고한다. 호흡반응을 확인할 때는 숨을 쉬고 있는지 호흡이 정상인지 비정상적인 호흡 (심정지 호흡:gasping)인지 확인 한다. 2. 전화우선(call first) 나이에 관계없이 전화우선(call first...2025.05.10
-
핵심기본간호술 사례 환자 보고서_수혈요법_유치도뇨_기본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적용2025.01.211. 수혈요법 대상자는 66세 남성으로 가슴통증과 어지러움, 호흡곤란을 느끼고 쓰러져 응급센터에 내원하였다. 혈액 검사 결과 Hemoglobin 수치가 8.6으로 낮아 농축 적혈구 수혈을 진행하였다. 수혈 전후 활력징후를 확인하고 수혈 부작용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하였다. 2. 유치도뇨 대상자는 퇴근 후 도로에서 가슴통증과 어지러움, 호흡곤란으로 쓰러졌다. 내원 후 혼란스러워하고 있어 배설량 측정을 위해 유치도뇨관을 삽입하였다. 무균술을 적용하여 도뇨관을 삽입하고 소변 배출 상태를 확인하였다. 3. 기본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적용 ...2025.01.21
-
응급처치의 목적과 필요성, 심폐소생술 6단계 응급처치방법과 영유아의 안전에 대한 중요성2025.01.291. 응급처치의 목적과 필요성 응급처치는 위급한 상황에서 즉각적으로 제공되는 의료적 조치로, 환자의 생명을 구하고 상태를 안정화하며, 전문적인 의료 지원을 받을 때까지 시간을 벌기 위한 목적이 있다. 응급처치는 위급한 상황에서 환자의 생명을 구하는 데 중점을 두며, 환자의 상태를 안정화하여 더 이상의 악화를 방지하고, 합병증을 예방하며, 환자의 통증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응급처치는 상황을 평가하고 적절하게 대처하는 과정이다. 응급처치의 필요성은 현대 사회의 각종 사고와 급성 질환 증가로 인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2. 심폐...2025.01.29
-
CPR (ACLS - Cardiac Arrest Algorithm)2025.01.031. 생존 사슬 (Chain of Survival) 생존 사슬(Chain of Survival)은 급성 심정지 환자의 생존 가능성과 긍정적인 결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일련의 중요한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는 대상자 발견, 즉시 CPR 실시, 주변 의료진에게 도움 요청, code blue 방송, 산소 공급, 모니터링, 제세동기 부착, CPR 실시 등이 포함됩니다. 2. CPR 실시 CPR 실시 시 최소 5cm의 깊이로 분당 100~120회의 속도로 빠르고 강하게 가슴을 압박해야 합니다. 압박과 인공호흡의 비율은 Advanced Airwa...2025.01.03
-
심폐소생술2025.01.161. 심폐소생술의 목적 심정지 혹은 호흡정지가 초래된 환자에게 즉각적으로 행해지는 소생술로서 뇌손상을 방지하고 정상적인 심장기능과 호흡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2. 심폐소생술 준비물품 Emergency cart, EKG Monitor, Defibrillator, 산소공급기구, 흡인기(Emergency cart내: Ambu bag, Fitting mask, Endotracheal tube(성인의 경우 ID 7.5-8Fr), Laryngoscope, Stylet, Air way, 반창고, 멸균장갑, 1L 생리식염수, O2 line, El...2025.01.16
-
성인간호학 ER 응급실 실습 사전학습2025.05.051. 응급실 실습 준비 응급실 실습을 위해 응급 카트의 구성과 약품 위치, 응급 환자 분류 체계인 KTAS 등을 학습하였습니다. 응급 카트에는 응급 약물, 기도 관리 기구, 주사 및 채혈 물품 등이 구비되어 있으며, KTAS는 응급실 내원 환자를 신속하게 분류하여 치료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체계입니다. 2. 출혈 및 쇼크 관리 외출혈과 내출혈의 특징과 처치 방법을 학습하였습니다. 외출혈은 직접 압박, 지압법, 지혈대 사용 등으로 지혈하며, 내출혈은 기도 유지, 지혈, 수액 공급 등으로 관리합니다. 쇼크는 심장성, 저혈량성, 신경성, ...2025.05.05
-
부정맥(arrythmia) 문헌고찰2025.01.121. 부정맥의 원인 부정맥은 자극형성장애나 자극전도장애로 인해 심장의 리듬이 불규칙하거나 심장박동수가 비정상적인 상태입니다. 부정맥의 원인으로는 선천성 및 후천성 심질환, 비정상적인 전도경로, 전도장애, 심근비대, 심근세포 손상, 폐질환, 산-염기 불균형, 약물 부작용, 전해질 불균형, 정서적 불안정, 저산소증, 쇼크, 대사성 질환 등이 있습니다. 2. 부정맥의 병태생리 부정맥은 자극형성장애, 자극전도장애, 혼합장애로 인해 발생합니다. 자극형성장애에는 이소성 박동과 이탈 박동이 있으며, 자극전도장애에는 빠른 전도로와 느린 전도로의 ...2025.0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