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간호사 교육 매뉴얼_도움 및 제세동기 요청
본 내용은
"
신규간호사 교육 매뉴얼_도움 및 제세동기 요청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7.04
문서 내 토픽
  • 1. 도움 및 제세동기 요청
    반응이 없으면서, 호흡이 없거나 비정상적인 호흡 (심정지 호흡)을 하는 사람을 발견했다면, 즉시 119에 신고한다. 심정지 환자를 목격한 경우에는 주변에 큰 소리로 구조를 요청하여 다른 사람에게 119에 신고하도록 하는 등의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주변에 아무도 없는 경우에는 직접 119에 신고한다. 호흡반응을 확인할 때는 숨을 쉬고 있는지 호흡이 정상인지 비정상적인 호흡 (심정지 호흡:gasping)인지 확인 한다.
  • 2. 전화우선(call first)
    나이에 관계없이 전화우선(call first)을 하도록 권장한다. 성인에서 발생하는 비외상성 심정지의 주요원인은 심실세동이며, 심실세동의 가장 효과적인 치료는 제세동이다. 반면, 영아와 소아에서는 기도나 환기의 문제로 인한 일차성 호흡정지가 심정지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소아 심정지의 목격자는 2분간 심폐소생술을 먼저 한 다음 응급의료체계에 신고하도록 권장(심폐소생술 우선)하는 국가가 많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심정지 환자의 연령에 관계없이 목격자는 119에 전화신고를 먼저 한 후에 심폐소생술을 시작하는 '전화우선'을 하도록 권장한다.
  • 3. 119 신고
    119에 신고할 때는 1) 응급 상황이 발생한 위치 (가능하면 사무실 이름, 방의 호수, 도로나 거리이름), 2) 응급상황의 내용 (심장발작, 자동차사고 등), 3) 도움이 필요한 환자의 수, 4) 환자의 상태, 5) 환자에게 시행한 응급처치 내용 (심폐소생술, 자동제세동기 사용 등)을 알려야 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도움 및 제세동기 요청
    도움 및 제세동기 요청은 응급 상황에서 매우 중요한 조치입니다. 심정지 환자의 생명을 구하기 위해서는 신속한 심폐소생술과 제세동기 사용이 필수적입니다. 주변에 있는 사람들이 119에 신고하고 제세동기를 찾아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제세동기는 심정지 환자의 심장리듬을 정상화시켜 생존율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응급 상황에서 반드시 필요한 장비입니다. 따라서 도움 및 제세동기 요청은 응급 상황에서 생명을 구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2. 전화우선(call first)
    전화우선(call first) 원칙은 응급 상황에서 가장 먼저 119에 신고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심정지 환자의 경우 신속한 심폐소생술과 제세동기 사용이 필요하지만, 이에 앞서 119에 신고하여 구조대의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구조대가 도착하기 전까지 주변 사람들이 심폐소생술을 실시하고 제세동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생존율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전화우선(call first) 원칙은 응급 상황에서 가장 먼저 해야 할 조치를 명확히 제시하고 있습니다.
  • 3. 119 신고
    119 신고는 응급 상황에서 가장 중요한 조치 중 하나입니다. 심정지, 화재, 교통사고 등 다양한 응급 상황에서 119에 신고하면 구조대와 소방대가 신속하게 출동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119 신고를 통해 전문적인 구조와 응급 처치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응급 상황 발생 시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119에 신고하는 것입니다. 또한 119 신고 시 정확한 상황 전달과 신속한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침착하게 대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119 신고는 응급 상황에서 생명을 구하는 데 필수적인 조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