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폐소생술
본 내용은
"
심폐소생술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6.09
문서 내 토픽
-
1. 심폐소생술의 목적심정지 혹은 호흡정지가 초래된 환자에게 즉각적으로 행해지는 소생술로서 뇌손상을 방지하고 정상적인 심장기능과 호흡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
2. 심폐소생술 준비물품Emergency cart, EKG Monitor, Defibrillator, 산소공급기구, 흡인기(Emergency cart내: Ambu bag, Fitting mask, Endotracheal tube(성인의 경우 ID 7.5-8Fr), Laryngoscope, Stylet, Air way, 반창고, 멸균장갑, 1L 생리식염수, O2 line, Electrode, Suction cath, IV cannula, 주사기, Cardiac board, 응급약품 등)
-
3. 심폐소생술 간호수행1) 심정지는 대게 갑자기 발생하며, 심정지 후 4-6 분 이내에 뇌손상을 입기 때문에 즉각적인 처치가 필요하다. 2) 의식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환자를 가볍게 두드리거나 조용히 어깨를 흔들며, "괜찮습니까?"라고 물어본다. 3) 의식이 없음이 확인되면 도움을 청한 후 환자의 머리를 뒤로 젖히고 턱을 올려서 (Head Tilt- Chin Lift) 기도를 열어준다. (만일 척추 손상이 의심될 경우 Jaw thrust법으로 기도를 유지한다) 4) 기도내의 이물질은 제거하여 기도를 확보한다. 5) 기도를 열어준 채로 유지하며, 호흡을 확인하기 위해 환자의 입 위에 귀를 대고 눈으로는 가슴을 보면서 소리를 들어보고 공기의 흐름을 느껴본다. 6) 호흡이 없는 경우 환자의 입에 구조자의 입을 밀착시켜(Mouth to Mouth) 두 번의 구조 호흡을 실시하면 가슴이 올라가는지 확인한다. ambu bag을 사용할 경우에는 마스크로 환자의 입과 코를 덮어 공기가 새지 않도록 주의한다. 7) 환자의 기도를 유지한 채로 경동맥을 짚어보아 맥박이 뛰는지 확인한다. 맥박이 없는 경우에는 흉부 압박을 시작한다. 8) 가능한 빨리 생리식염수로 정맥 주입로를 확보하고, 지시된 응급약물을 투여한다. 9) 심전도 모니터링 상 심실성부정맥이 나타나면 제세동을 실시한다. : 적절한 에너지의 양은 처음에는 200J, 두 번 째는 200-300 J, 360J이며 소아는 2J/Kg을 권장한다. 패들 표면에 젤리를 묻힌 후 흉골 오른쪽의 3-4 번째 늑간 부위와 왼쪽 전액와선 5번째 늑간 부위에 댄다. 환자로부터 모든 기구가 떨어져 있는지 다시 확인하고 모든 사람이 침대에서 떨어져 선다. 실시 후 환자의 호흡수를 자세히 관찰하고, 심전도상의리듬변화를 관찰한다. 10) Air way를 삽입하거나 필요시 기관내 삽관을 한다. 기관내 삽관의 시행절차는 다음과 같다. ① 적절한 크기의 튜브를 선택한다. (보통 성인의 경우 ID 7.5-8Fr) ② Laryngoscope 에 불이 들어오는지 확인한다. ③ 1L 생리식염수에 튜브를 넣고 커프를 팽창시켜 공기가 새는지 확인하다.(주사기로 공기를 넣었다 빼본다. 생리식염수가 윤활제의 역할을 한다.) ④ 튜브에 Stylet을 넣는다. ⑤ 환자를 앙와위로 취하고 목이 과신전 되지 않도록 머리를 고여 준다. ⑥ 튜브가 삽입되면 stylet을 빼고 Ambu bagging을 하면서 좌우 폐음을 청진해 기도내 삽입여부를 사정한다. ⑦ 주사기를 이용해 커프에 적절한 공기를 넣는다.(튜브와 기도 사이로 공기가 새지 않도록) ⑧ 반창고로 튜브를 고정시킨다. ⑨ 차게 되면 구토를 할 수 있고, 토물이 기도로 들어 갈 수 있으므로 L-tube를 삽입하기 전까지는 구강흡인을 자주 하도록 한다. ⑩ 적어도 5분마다 의식상태, 동공반사, 활력징후 등 환자의 상태를 사정한다. ⑪ 심폐 소생술이 효과적이면 경동맥이 촉지되며, 동공반응이 돌아온다. ⑫ 심폐소생술이 끝나면 심폐정지 시간, 심폐정지 상황, 심폐소생술의 시작과 종료시간, 투여약물, 사용된 중재 및 각종시술의 효과 등을 자세히 기록한다.
-
1. 심폐소생술의 목적심폐소생술의 목적은 심장이 멈추거나 호흡이 정지된 응급상황에서 환자의 생명을 구하는 것입니다. 심폐소생술은 산소 공급과 혈액 순환을 유지하여 뇌와 다른 중요 장기에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환자의 생명을 구하고 장기 손상을 예방하는 것이 핵심 목적입니다. 심폐소생술은 신속하고 체계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환자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심폐소생술은 응급 상황에서 환자와 가족에게 심리적 지지를 제공하는 역할도 합니다.
-
2. 심폐소생술 준비물품심폐소생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준비물품이 필요합니다. 먼저 마스크, 장갑, 가운 등의 개인보호장비가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감염 예방이 가능합니다. 또한 기도 유지를 위한 기구(기도 기구, 산소 마스크 등), 흉부 압박을 위한 도구(흉부 압박판 등), 제세동기 등이 필요합니다. 이 외에도 생리식염수, 붕대, 가위 등의 응급처치 물품도 준비해야 합니다. 이러한 준비물품들은 신속하고 효과적인 심폐소생술 수행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
3. 심폐소생술 간호수행심폐소생술 간호수행은 매우 중요한 역할입니다. 간호사는 심폐소생술 상황에서 신속하고 체계적인 대응을 해야 합니다. 먼저 환자의 의식 수준, 호흡, 맥박 등을 신속히 사정하고, 필요 시 119에 신고하여 응급의료진의 도움을 요청해야 합니다. 그 다음으로 기도 확보, 인공호흡, 흉부 압박 등의 심폐소생술 술기를 정확히 수행해야 합니다. 또한 제세동기 사용, 약물 투여 등의 의료행위도 의사의 지시에 따라 수행해야 합니다. 이 외에도 환자와 보호자에게 심리적 지지를 제공하고, 응급의료진과 효과적으로 협력하는 것도 중요한 역할입니다. 간호사의 전문성과 신속한 대응이 심폐소생술 성공의 핵심 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심폐소생술1. 심폐소생술의 정의 심폐소생술이란 심장과 폐의 활동이 갑자기 멈추었을 때 실시하는 응급조치로서 심장마비가 발생하였을때 인공적으로 혈액을 순환시키고 호흡을 돕는 응급치료이다. 이러한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는 목적은 심정지 환자의 멈추어진 심장의 자발순환을 회복시켜 환자의 사망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2. 심폐소생술의 유형 심폐소생술에는 기본 소생술(BLS: B...2025.01.09 · 의학/약학
-
심폐소생술1. CPR의 정의 심폐소생술이란 심정지 환자의 멈추어진 심장의 자발순환을 회복시켜 환자의 사망을 방지하는 일련의 응급처치 과정을 말합니다. 2. CPR의 목적 심폐소생술의 주된 목적은 우리 몸에 가장 기본이 되는 장기인 심장, 뇌, 그리고 그외의 장기에 산소를 공급하자는 데 있습니다. 심장마비가 발생하면 온몸에서의 혈액순환이 중단되기 때문에, 바로 조치를...2025.01.23 · 의학/약학
-
[성인간호학] 심폐소생술(CPR) 정리1. 심폐소생술(CPR) 심폐소생술은 심장 마비가 발생했을 때 혈액 순환과 호흡을 돕는 응급 치료법입니다. 심정지 발생 후 4분 이내에 기본 심폐소생술을, 8분 이내에 전문 심폐소생술을 시작하면 높은 소생률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심폐소생술의 주요 단계는 반응 확인, 응급의료체계 신고, 호흡과 맥박 확인, 가슴 압박, 인공 호흡, 자동 제세동기 사용, 그리...2025.01.04 · 의학/약학
-
심폐소생술 수업자료 ppt1. 심폐소생술 (CPR) 심폐소생술은 심정지 환자에서 멈추어진 심장의 자발순환을 회복시키려는 일련의 응급처치 과정입니다. 성인, 소아, 영아에 따라 심폐소생술 시행방법이 다릅니다. 심폐소생술에는 기본 소생술과 전문 심장 소생술이 있습니다. 심폐소생술이 미흡하면 선진국보다 생존 및 뇌기능 회복률이 낮아, 100명 중 5명만 살아서 나온다고 합니다. 심폐소생...2025.05.15 · 의학/약학
-
심폐소생술 교육1. 심폐소생술 심폐소생술은 심장이 멈추거나 호흡이 정지된 사람의 생명을 구하기 위해 실시하는 응급 처치 방법입니다. 심폐소생술을 통해 산소를 공급하고 심장 박동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소중한 생명을 구할 수 있습니다. 심폐소생술 교육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이 기술을 익히고 응급 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응급 처치 심...2025.01.03 · 보건
-
영아 심폐소생술 및 하임리히법1. 영아 심폐소생술 영아 심폐소생술은 심폐의 기능이 정지하거나 호흡이 멎었을 때 사용하는 응급처치법입니다. 질식, 교통사고, 기타 외상으로 인해 영아의 심정지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절차에 따라 실시해야 합니다. 영아 심폐소생술 순서와 성인과의 차이점, 자동제세동기 부착 위치 등을 교육하고 직접 실습해봄으로써 응급상황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2025.01.29 · 보건
-
심폐소생술 6페이지
심폐소생술 중요성,순서,방법연구 및 심폐소생술의 법적인 측면과 적용대상,효과적인 심폐소생술을 위한 환자의 자세연구 및 느낀점(목차)1. 심폐소생술 정의2. 심폐소생술의 중요성3. 심폐소생술의 법적인 측면(1) 선의의 응급의료에 대한 면책 (선한 사마리아인 법)(2) 일반인의 경우4. 심폐소생술 적용대상5. 효과적인 심폐소생술을 위한 환자의 자세6. 심폐소생술의 순서7. 심폐소생술 방법(1) 성인 심폐소생술 방법(2) 유아 심폐소생술 방법8. 느낀점1. 심폐소생술 정의심폐소생술이란 심장과 폐의 활동이 갑자기 멈추어 숨을 쉬지 않는 사...2024.06.11· 6페이지 -
심폐소생술 19페이지
심폐소생술Cardio-Pulmonary Resuscitation목차 -Ⅰ. 서론1. 심폐소생술의 정의2. 심폐소생술의 목적3. 심폐소생술의 적응증4. 코로나19와 관련된 고려사항과 법적인 측면Ⅱ. 본론 : 심폐소생술의 순서와 실시단계1. 1차 소생술(Basic life support : A, B, C)1) 기도 확보 및 유지관리(Airway, A)2) 인공 호흡(Breathing, B)3) 순환소생(Circulatory support, C)2. 2차 소생술(Advanced life support : D, E, F)1) 약물 및 수액...2025.01.13· 19페이지 -
심폐소생술 7페이지
심폐소생술 기본원리,필요성,유형 분석심폐소생술 성인,소아 실행방법INDEX1. 심폐소생술 이란?2. 심폐소생술의 유형3. 심폐소생술의 필요성4. 심폐소생술 기본원리5. 심폐소생술의 CPR법칙6. 심폐소생술 실행방법 (성인과 소아)7. AED 자동심장충격기 (자동제세동기) 사용방법1. 심폐소생술 이란?심폐소생술이란 심장과 폐의 활동이 갑자기 멈추었을 때 실시하는 응급조치로서 심장마비가 발생하였을때 인공적으로 혈액을 순환시키고 호흡을 돕는 응급치료이다.이러한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는 목적은 심정지 환자의 멈추어진 심장의 자발순환을 회복시켜...2024.01.18· 7페이지 -
심폐소생술 8페이지
심폐소생술원리.기본요소중요성과 주의사항순서와 방법자동 제세동기 사용법@목차1. 심폐소생술 정의2. 심폐소생술의 원리3. 심폐소생술 기본 3요소4. 심폐소생술의 중요성5. 심폐소생술시 주의사항6. 기본 심폐소생술 순서와 방법(1) 반응 확인 및 응급의료체계 활성화(2) 맥박과 호흡 확인(3) 가슴압박(4) 기도유지(5) 인공호흡(6) 가슴압박7. 자동 제세동기의 사용법1. 심폐소생술 정의심폐소생술이란 사람이 호흡이나 심장박동이 멈추어 맥박이 뛰지 않을 때 인공적인 호흡으로 혈액순환을 도와 인위적으로 몸속에 산소공급을 유지시켜서 사망을...2023.03.13· 8페이지 -
심폐소생술 9페이지
심폐소생술중요성과 순서,방법#목차1. 심폐소생술 이란?2. 심폐소생술의 핵심 3요소3. 심폐소생술의 종류(1) 기본소생술(2) 전문 심장소생술4. 심폐소생술의 중요성5. 심폐소생술 순서6. 자동제세동기 중요성과 사용법7. 연령에 따른 심폐소생술 방법(1) 신생아(2) 영아 (1세미만)(3) 소아(1~8세)(4) 성인(8세 이상)8. 심폐소생술 성공기준9. 심폐소생술 부작용과 예방법1. 심폐소생술 이란?심폐소생술이란 갑작스런 심장마비나 사고로 인해 폐와 심장의 활동이 멈출 때 환자의 생명을 소생시키기 위한 기본적 구명처치술로서 호흡이...2022.08.16· 9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