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11개
-
급성호흡부전(ARF) 급성호흡곤란증후군(ARDS) - 가스교환장애2025.05.071. 급성호흡부전(Acute respiratory failure, ARF) 또는 급성호흡곤란증후군(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 심각한 폐 질환으로 인해 폐나 다른 부위가 심하게 손상되면서 발생합니다. 체액이 폐의 작은 혈관에서 폐포로 흘러 들어가, 그 결과로 산소 전달량이 줄어들고 폐가 충분히 펴지지 않습니다. 이는 곧 신장이나 간 같은 다른 장기의 기능 부전을 유발합니다. 성인 호흡곤란 증후군은 응급 처치가 필요한,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입니다. 2. 폐엽절제술(Lobectomy) 폐...2025.05.07
-
급성신우신염 응급간호 케이스스터디2025.11.151. 급성신우신염(Acute Pyelonephritis) 급성신우신염은 신장이나 신우 등 상부 요로계가 감염된 질환으로, 대개 세균 감염이 원인이다. 방광에서 신장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감염이 대부분이며 대장균 감염이 많다. 증상으로는 열, 늑골척추각 압통, 배뇨곤란, 빈뇨, 요통, 오한, 오심, 구토 등이 나타난다. 진단은 소변검사, 소변균배양검사, 혈액검사로 이루어지며, 치료는 안정과 충분한 수분섭취, 항생제 투여로 7~14일간 진행된다. 합병증으로 신장농양, 패혈증이 발생할 수 있고 반복적 감염 시 만성신부전으로 진행할 수 있다...2025.11.15
-
급성 췌장염(Acute Pancreatitis) 질병보고서2025.11.171. 급성 췌장염의 정의 및 병태생리 급성 췌장염은 췌장 세포 내의 소화 효소를 포함한 췌장액이 십이지장이 아닌 췌장 밖으로 빠져나가는 질환이다. 병태생리적으로 지방분해, 단백분해, 혈관 및 췌관의 탄력섬유 용해, 염증의 4가지 주요 과정이 일어난다. 경미한 경우 췌장이 붓는 정도이지만, 심한 경우 가성낭종 형성, 출혈, 농양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괴사성 출혈성 췌장염까지 진행될 수 있다. 2. 급성 췌장염의 원인 및 증상 가장 빈번한 원인은 담석(30~75%)과 알코올(30~60%)이며, 이 둘이 급성 췌장염 원인의 ...2025.11.17
-
아동 요로감염 질환보고서 및 간호진단2025.11.121. 아동 요로감염(UTI)의 원인 및 병인 아동의 요로감염은 주로 그람음성 장내세균인 대장균(Escherichia coli)에 의해 발생한다. 요정체, 방광요관역류, 위생 불량, 배변 후 불충분한 씻기 등이 주요 원인이다. 여아는 짧은 요도(2cm)로 인해 항문과 질에 가까워 대변의 세균 오염 위험이 증가하며, 생후 1년간 포경수술을 받지 않은 남아도 감염 위험이 높다. 신경성 방광, 구조적 폐쇄, 상부요로감염의 재발 등도 유발요인이다. 2. 아동 요로감염의 임상증상 및 진단 신생아는 설명할 수 없는 열, 저체온증, 성장장애, 구...2025.11.12
-
충수돌기염 수술사례보고서2025.05.101. 충수돌기염 충수돌기는 맹장 끝에 달린 가느다란 관 모양의 기관으로, 소아에게는 B림프구의 성숙을 돕는 면역 기관으로서 역할을 하지만 성인들에게는 특별한 기능이 없다. 이러한 충수돌기에 염증이 생긴 경우에 복강경이나 개복을 통해 이를 제거할 수 있는데, 이를 충수절제술(Appendectomy)이라고 한다. 충수절제술은 충수염의 외과적 치료법으로 병적충수를 기저부에서 절제하는 수술을 말한다. 충수돌기의 염증, 파열 시 충수돌기를 절제하기 위해 시행하며 급성 충수염, 간결기충수염, 만성충수염 등, 특히 급성충수염의 치료에 행한다. ...2025.05.10
-
급성담낭염 case 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3개(급성통증, 감염위험성, 낙상위험성)2025.04.281. 급성 담낭염 급성 담낭염은 쓸개에 발생하는 가장 흔한 문제로, 보통 담석증과 함께 나타나지만 결석이 없이도 발생할 수 있다. 결석성 담낭염은 담석이 쓸개관을 막아 담즙이 정체되어 일어나며, 비결석성 담낭염은 쓸개 혈류 저하나 해부학적 문제, 세균 침입으로 발생한다. 증상으로는 오른쪽 어깨나 어깨뼈로 방사되는 통증, 구역, 구토, 발열 등이 나타나며, 복부 초음파 검사로 진단한다. 치료는 내과적 치료와 외과적 시술(쓸개 절제술)을 병행한다. 2. PTGBD PTGBD(경피적 간 담낭 배액술)은 담낭에 배액관을 삽입하여 담즙을 배...2025.04.28
-
[성인간호학실습] SICU case study (담관암, 간절제술, 담낭절제술)2025.05.071. Hilar cholangiocarcinoma Hilar cholangiocarcinoma는 담관 상피세포에서 기원하는 선암으로, 간 내 담관암과 간 외 담관암으로 분류된다. 간 내 담관암은 다시 주변부 담관암과 간문부 담관암으로 나뉘며, 간문부 담관암은 간 내 담도 분지의 침윤 정도에 따라 Bismuth I형에서 IV형까지 분류된다. 담관, 간동맥 및 문맥이 집중적으로 병주하는 협소한 간문부에서 발생하는 해부학적 특성 때문에 쉽게 간동맥이나 문맥에 침윤이 발생하며, 담도의 점막하 침윤을 통하여 말초 담도로 암 침윤이 진행하는 ...2025.05.07
-
충수돌기염 케이스스터디2025.05.071. 선천성 거대결장 선천성 거대결장증(Hirschsprung disease [HD], congenital agunglionic megacolon)은 장 일부분이 부적절한 운동성으로 기계적인 폐쇄를 초래하는 선천성 기형이다. 모든 신생아 장폐색의 1/4정도에 해당된다. 이 질병은 영아 후기나 그 이후에는 진단되지 않는다. 발생빈도는 생존 신생아 5,000명 중 1명이고, 남아보다 여아보다 4배가 많으며 일부 가족적 소인이 있다. 선천성 거대결장 아동에게 RET 프로토종양유전자의 돌연변이가 발견되었다. 2. 급성 충수염 충수염은 충수...2025.05.07
-
담관염의 간호과정 및 임상적 관리2025.11.151. 담관염의 정의 및 병태생리 담관염은 담도에 발생한 감염으로, 담즙의 흐름이 결석이나 암 등으로 정체될 때 세균 감염이 발생한다. 급성 담관염은 담관이 혈류가 많은 간장과 직접 연결되어 있어 세균이 혈류를 타고 전신에 퍼져 패혈증으로 진행될 수 있는 위험한 질환이다. 담낭염과 담관염이 합병되기도 하며, 염증으로 인해 담낭에 천공이 발생할 수도 있다. 2. 담관염의 임상적 특성 및 증상 담관염의 주요 증상은 상복부 또는 우측 상복부의 심한 통증으로 발작적이거나 지속적으로 나타난다. 담도산통이라 불리는 극심한 복통, 오한, 고열, ...2025.11.15
-
담석증, 담낭염, 췌장암 정리2025.01.231. 담석증 담석증은 담즙의 고형물질에 의해 담낭에서 형성됩니다. 주요 원인으로는 담즙 성분의 변화, 담낭의 정체, 장기간 완전비경구영양, 다이어트 시 적은 지방 섭취 등이 있습니다. 병태생리는 콜레스테롤 담석, 색소성 담석, 혼합형 담석 등이 있으며, 합병증으로는 복막염, 담낭 주위 농양, 누관 형성 등이 있습니다. 증상으로는 무증상, 명치통증, 불편감, 복부 팽만, 우상복부 경미한 통증 등이 있습니다. 진단은 복부초음파, 컴퓨터 단층촬영술, MRCP, EUS, ERCP 등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내과적 관리로는 진통제 투여, 구토...2025.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