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신우신염 응급간호 케이스스터디
본 내용은
"
응급간호학 급성신우신염(acute pylonephritis) 케이스스터디 - 간호진단 5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1.10
문서 내 토픽
-
1. 급성신우신염(Acute Pyelonephritis)급성신우신염은 신장이나 신우 등 상부 요로계가 감염된 질환으로, 대개 세균 감염이 원인이다. 방광에서 신장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감염이 대부분이며 대장균 감염이 많다. 증상으로는 열, 늑골척추각 압통, 배뇨곤란, 빈뇨, 요통, 오한, 오심, 구토 등이 나타난다. 진단은 소변검사, 소변균배양검사, 혈액검사로 이루어지며, 치료는 안정과 충분한 수분섭취, 항생제 투여로 7~14일간 진행된다. 합병증으로 신장농양, 패혈증이 발생할 수 있고 반복적 감염 시 만성신부전으로 진행할 수 있다.
-
2. 응급환자 사정(Primary & Secondary Assessment)응급환자 사정은 1차 사정과 2차 사정으로 나뉜다. 1차 사정은 생명의 위협이 되는 상황을 즉각 인식하고 처치하는 것으로 반응성, 척추, 기도유지, 호흡, 순환, 노출부위를 확인한다. 2차 사정은 병원단계에서 시행하며 활력징후, 신체검진, 신경학적 검사를 포함한다. 의식수준은 GCS, LOC로 평가하고 병력, 손상기전, 주호소, 현재질병, 알러지, 투약, 과거병력 등을 사정한다.
-
3. 간호진단 및 간호중재본 케이스에서 도출된 5가지 간호진단은 요로감염과 관련된 고체온, 신장부종과 관련된 급성통증, 복합적 요인과 관련된 낙상위험성, 치료적 금식과 관련된 체액부족 위험성, 갑작스럽고 심한 통증과 관련된 불안이다. 각 진단에 대해 기대되는 결과를 설정하고 활력징후 감시, 투약, 수분전해질 관리, 환경관리, 교육 등의 중재를 시행한다. 평가를 통해 중재의 효과성을 확인하고 필요시 계획을 수정한다.
-
4. 진단검사 및 영상검사 해석요검사에서 색깔 strawberry, 탁도 light, pH 9.0, 혈액±, 단백질±, RBC 2/HPF, WBC 30-50/HPF, 박테리아 Moderate/HPF로 감염을 시사한다. 혈액검사에서 WBC 14.17, 호중구 89.7%, 림프구 3.9%, ESR 64, CRP 9.7로 급성감염을 나타낸다. 전해질 검사에서 Na 129, Ca 9.0, 포도당 115로 이상을 보인다. CT 검사에서 왼쪽 신장의 다초점 저밀도 병변으로 급성신우신염을 확진한다.
-
1. 급성신우신염(Acute Pyelonephritis)급성신우신염은 신장의 실질과 신우에 발생하는 세균성 감염으로, 요로감염 중 가장 심각한 형태입니다. 임상적으로 고열, 옆구리 통증, 배뇨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적절한 항생제 치료가 필수적입니다. 특히 임산부나 면역저하자에서는 합병증 위험이 높으므로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합니다. 요배양검사를 통한 원인균 동정과 항생제 감수성 검사는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 필수적입니다. 재발 방지를 위해 근본적인 요로계 이상 여부를 파악하고, 환자 교육을 통해 충분한 수분섭취와 개인위생 관리를 강조해야 합니다.
-
2. 응급환자 사정(Primary & Secondary Assessment)응급환자 사정은 생명을 위협하는 상황을 신속하게 파악하고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체계적인 과정입니다. 1차 사정에서는 기도, 호흡, 순환 상태를 즉시 평가하여 생명 위협 요소를 제거하는 것이 최우선입니다. 2차 사정에서는 전신 신체검진과 병력청취를 통해 손상 정도를 파악합니다. 이러한 체계적 접근은 응급상황에서 의료진의 판단 오류를 줄이고 환자 예후를 크게 개선합니다. 특히 다중손상 환자에서는 명백한 손상에만 집중하여 숨겨진 손상을 놓치는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전체적 관점이 필수적입니다.
-
3. 간호진단 및 간호중재간호진단은 환자의 건강 문제를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간호중재의 방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객관적 자료와 주관적 자료를 종합적으로 분석해야 합니다. 간호중재는 진단에 기반하여 독립적, 협력적, 의존적 중재로 구분되며, 각각의 효과성을 평가하고 수정해야 합니다. 특히 환자 중심의 개별화된 중재 계획 수립이 치료 결과와 환자 만족도를 높입니다. 간호기록을 통한 지속적인 평가와 피드백은 간호의 질을 보장하는 필수 요소입니다.
-
4. 진단검사 및 영상검사 해석진단검사와 영상검사는 질병의 조기 발견과 정확한 진단을 위한 필수적인 도구입니다. 요검사, 혈액검사, 요배양검사 등은 감염 여부와 심각도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초음파, CT, MRI 등의 영상검사는 신장의 구조적 이상, 농양 형성, 합병증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검사 결과 해석 시 임상 증상과 함께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하며, 정상 범위값의 변동성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의료진과 환자 간의 명확한 의사소통을 통해 검사의 필요성과 결과를 설명하는 것이 환자 신뢰도를 높입니다.
-
성인간호학 응급병동 케이스스터디 급성신우신염 13페이지
반:학번:이름:Acute pyelonephritis 대상자 사례연구Ⅰ. 서 론1. 연구 필요성 및 목적급성 신우신염은 대개 급성 방광염으로 인해 생기며 남성보다는 여성이, 특히 20대 여성에게 가장 많이 발생한다. 이는 남성에 비해 짧고 넓은 요도로 인해 급성 세균성 방광염에 잘 걸리기 때문이다. 20-30대는 활발한 성생활과 관련이 있고 폐경이후 65세 이상 노인들 은 호르몬 변화에 의해 방광의 점막 구조 및 분비 등에 변화가 생기면 균에 대한 방어벽 이 감소하고 소변 배출 능력도 떨어져 발병하기 쉽다.방광염을 적절하게 치료하지 ...2024.08.21· 13페이지 -
응급실 케이스스터디_신우신염(고체온, 급성통증 간호과정 8장!!!) 21페이지
CASE STUDY급성 신우신염 환자 케이스과목명실습지기간교수명학 과학 번이 름제출일Ⅰ. 케이스 스터디의 필요성 및 목적Ⅱ. 문헌고찰Ⅲ. 자료수집1) 응급환자 간호정보기록2) 검사결과 해석3) 약물치료4) 응급환자의 처치 현황Ⅳ. 간호진단Ⅰ. 케이스 스터디의 필요성 및 목적2021년 신우신염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 총 15만 7,117명 중 50~60대 중장년층이 차지하는 비율은 약 35%로 가장 높았다. 중장년기가 되면 비뇨 및 생식기계의 노화와 관련된 이상 증상 발생률이 올라가기 때문이다. 전체 여성의 50~80%가 평생 한 번 ...2025.03.01· 21페이지 -
아동간호학 급성 신우신염 케이스스터디 간호과정, 간호진단 포함 19페이지
[ 아동간호학실습 ∥ 케이스 스터디 ]Acute Pyelonephritis실습기관명실습부서명담당과목아동간호학실습실습기간지도교수학교명학 년 · 학 번이 름제 출 일목 차Ⅰ. 서론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Ⅱ. 본론ⅰ. 신장의 구조와 기능ⅱ. 급성 신우신염 정의ⅲ. 원인과 병태생리ⅳ. 증상 및 징후ⅴ. 진단검사ⅵ. 치료 및 예방법ⅶ. 간호중재Ⅲ. Case studyⅰ. 대상자 간호정보조사지ⅱ. 대상자 예방접종표ⅲ. 대상자 임상기록ⅳ. 대상자 투약ⅴ. 진단검사 및 특수치료ⅵ. 대상자 간호과정Ⅳ. 결론Ⅴ. 참고문헌Ⅰ. 서론ⅰ. 연구의 필요...2024.11.15· 19페이지 -
급성신우신염 케이스 12페이지
급성신우신염 간호 케이스 스터디 보고서 간호학과 급성신우신염 간호 케이스 스터디 보고서 급성신우신염 간호 케이스 스터디 보고서 급성신우신염 간호 케이스 스터디 보고서 급성신우신염 간호 케이스 스터디 보고서목 차Ⅰ. 서론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Ⅱ. 문헌고찰Ⅲ. 자료수집Ⅳ. 투약기록지Ⅴ. 진단검사 결과 기록지Ⅵ. 기타 진단검사Ⅶ. 간호과정1. 고체온2. 배뇨양상 장애3. 급성 통증4. 신체기동성 장애5. 체액불균형 위험성Ⅷ. 결론Ⅸ. 참고문헌Ⅰ. 서론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급성신우신염(Acute Pyelonephritis)은 상...2025.05.07· 12페이지 -
급성신우신염 케이스스터디 (간호과정포함) 18페이지
CASE STUDYAcute pyelonephritis급성신우신염Ⅰ. 서론급성신우신염은 요로감염의 일종으로 신장에 세균감염이 발생한 것을 말한다.1차적으로 방광에 생긴 염증이 오줌소태(방광염)를 일으키고, 이 오줌소태를 그냥 방치하면 급성 신우신염이 나타난다. 혈액검사, 소변배양검사 등을 통해 진단을 내리고 콩팥손상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항생제 투여를 충분히 지속해준다 하지만 최근 들어 항생제 치료효과가 10-20%이상 떨어져 있기에 방광염이 생겼을 때 항생제를 함부로 사용하지 않고 적절한 치료와 예방관리가 중요하다. 이에 급성신우신...2022.07.11· 18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