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5개
-
간암 CASE 간호과정 3개2025.01.151. 간기능 저하와 관련된 체액과다 대상자는 전신에 부종이 있으며 단계는 2+이고, 복부둘레가 90cm로 평소보다 6cm 증가했습니다. 혈액검사 결과 albumin 2.8, AST 130, ALP 314, ammonia 124로 나타났으며, 복수로 인한 복부팽만이 관찰되었습니다. 4일 동안 3.4kg이 증가했습니다. 대상자는 '배가 점점 붓는 것 같아요', '속이 답답하고 불편해요'라고 호소했습니다. 간호중재로는 부종 정도 사정, I/O 및 체중 모니터링, 복부둘레 측정, 혈액검사 시행, 이뇨제 투여, 자세 변경, 저염식이와 수분제...2025.01.15
-
병동의 주요 시술 및 검사2025.01.091. G-ESD(내시경적 점막하 박리술) G-ESD는 점막암, 병변 2cm 이하, 육안적으로 궤양이나 궤양 반흔 없음, 암세포의 림프 혈관 침범이 없으며 CT에서 림프절 전이 없고 조직학적으로 분화형인 경우에 적응증이 됩니다. 합병증으로는 출혈, 천공, 심근경색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시술 전 동의서를 받고, 의치와 장신구를 제거하며, 보호자와 함께 내시경실로 내려가도록 합니다. 시술 후 어지러움, 흉통, 혈변 등이 발생하면 즉시 간호사에게 알리도록 교육합니다. 2. 골수 검사 골수 검사는 빈혈, 급성백혈병, 호중구감소증, 호지킨림...2025.01.09
-
소화기계 관련 검사 및 시술 간호2025.05.161. 위식도 내시경 위식도 내시경은 유아에서 고령자까지 연령, 성별에 관계없이 상부 소화관 질환의 증상이 있는 경우 특별한 금기가 없는 한 모두 검사가 가능하다. 또한 우리나라와 같이 위암이 많은 나라에서는 증상이 없더라도 위암 조기 발견을 위하여 40세 이후의 모든 성인에게 검사를 권장한다. 입을 통해 식도로 삽입하여 위, 십이지장까지 관찰하며, 이상이 있는 경우 조직검사를 통해 진단하는 검사 방법이다. 검사 전 8시간 이상 금식하고, 검사 직전 리도케인(국소 마취제)을 목에 30초 간 물고 있으며, 위장관 운동 억제제 주사(부스...2025.05.16
-
KOPS REPORT(배액관 연결 오류)2025.01.131. 배액관 연결 오류 환자안전사고 주요사례에서는 PCD(경피적 농양 배액술)와 PTBD(경피경간 담도 배액술) 시행 후 퇴실한 70대 남자 환자의 사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담당 간호사가 배액관 구분이 없어서 배액 양상으로 추측하여 처방과 반대로 배액 주머니를 연결하여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수술실(시술실)에서 의료진이 배액관에 구분 표시를 하고, 배액관의 삽입 위치를 확인하여 적절한 배액 주머니를 연결하는 등의 권고사항이 제시되었습니다. 2. 배액관 관리 방법 배액관 관리 방법으로는 배액주머니가 항상 배액관의...2025.01.13
-
[A+보장]성인간호학실습 급성 담낭염 컨퍼런스, 케이스스터디, 간호과정, 간호진단 13페이지 자료입니다.2025.05.161. 급성 담낭염 급성 담낭염은 소화기계 질환 중 입원을 필요로 하는 가장 흔한 질환으로 점차 서구화되는 식습관 및 고령인구 증가로 인해 국내발생이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담낭 담석증 또는 종양이나 기능 이상으로 담즙을 소화기로 배설하는 담낭관이 부분적으로 막히면서 발생하는 것을 급성 담낭염이라고 한다. 급성 담낭염은 주로 암환자 · 중증화상 · 외상 등의 중증 환자에서 잘 발생하며 드물게는 결핵이나 기생충 등의 감염에 의해 발생하기도 한다. 담석증을 동반하지 않은 담낭염의 경우 진행이 빠르고 진단 시기를 놓쳐 천공 및 괴사 발생...2025.05.16
-
고체온 SBAR 의사소통 보고서2025.05.051. 고체온 환자가 PTBD, chemoport 삽입 시술 후 오한과 발열이 있어 간호사가 의사와 SBAR 의사소통을 하여 항생제 투여와 검사 시행을 결정한 내용을 다룹니다. 환자의 활력징후, 배액 상태, 통증 등을 확인하고 적절한 간호중재를 수행하였습니다. 1. 고체온 고체온은 인체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건강 문제입니다. 고체온은 주로 과도한 운동, 더운 환경에 장시간 노출, 약물 부작용 등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체온이 40도 이상 상승하면 뇌, 심장, 신장 등 주요 장기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체온 증상이 ...2025.05.05
-
14가지 배액관 종류의 목적, 특징과 간호관리 총정리2025.01.051. 배액관의 종류와 간호관리 배액관의 종류에는 passive drain, penrose drain, sump drain, T-tube, chest tube drainage, PCD (Percutaneous Catheter Drainage), PAD (percutaneous abscess drainage), PTBD (percutaneous transhepatic biliary drainage), PTGBD (percutaneous transhepatic gallblader drainage), ENBD (endoscopic naso...2025.01.05
-
가성비 끝판왕>>교수님께 칭찬 받은 급성담관염 case study(간호진단 1개, 문헌고찰 포함)2025.01.121. 급성 담관염 급성 담관염은 담관에 세균이 감염되어 생기는 염증성 질환입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복통, 발열, 황달이 있으며, 담석, 악성종양, 양성종양, 담관 협착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진단을 위해 혈액검사, 영상검사(초음파, CT, ERCP) 등이 필요하며, 치료로는 금식, 수액 공급, 항생제 투여, 내시경 치료(ERCP), 경피적 배액술(PTBD) 등이 시행됩니다. 간호중재로는 통증 관리, 수분 및 전해질 균형 유지, 감염 예방 등이 중요합니다. 1. 급성 담관염 급성 담관염은 담관계의 감염으로 인해 발생하는 심각한...2025.01.12
-
사례보고서 담석증 (주관적자료, 객관적자료, 증상, 진단검사해석, 치료, 약물)2025.05.131. 담석증 담석증(cholelithiasis)은 담도에 염증이 일어나는 병으로, 담낭을 중심으로 일어나는 경우를 담낭염, 담관을 중심으로 일어나는 경우를 담관염이라고 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세균감염에 의해 발생하며, 드물게는 화학물질의 자극이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주요 위험인자로는 지방질이 풍부한 음식 섭취, 만성 또는 급성 췌장염, 관상동맥질환 등이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증상은 심한 복통이며, 그 외에 구토, 구역, 소화불량, 발열, 황달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진단을 위해서는 복부 초음파, 담관 조영술, ERCP 등의...2025.05.13
-
SICU 중환자실 임상실습 활동일지2025.11.171. 인공호흡기(Ventilator) 모드 중환자실에서 호흡부전 환자에게 적용되는 인공호흡기의 다양한 모드를 학습했다. CMV는 기계환기만 수행하고, ACV는 환자의 자발호흡을 지원하며, SIMV는 자발호흡과 기계환기를 동기화한다. PSV는 자발호흡 시 압력을 지원하고, PCV와 VCV는 각각 압력과 용량 기준으로 조절된다. APRV는 기도압력을 유지하다 간헐적으로 감소시키며, BiPAP는 흡기와 호기 시 다른 압력을 제공한다. PRVC는 설정된 부피를 유지하면서 최소 압력으로 호흡을 지원한다. 2. 지속적신대체요법(CRRT) 급성...2025.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