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U 중환자실 임상실습 활동일지
본 내용은
"
SICU 실습활동일지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2.18
문서 내 토픽
-
1. 인공호흡기(Ventilator) 모드중환자실에서 호흡부전 환자에게 적용되는 인공호흡기의 다양한 모드를 학습했다. CMV는 기계환기만 수행하고, ACV는 환자의 자발호흡을 지원하며, SIMV는 자발호흡과 기계환기를 동기화한다. PSV는 자발호흡 시 압력을 지원하고, PCV와 VCV는 각각 압력과 용량 기준으로 조절된다. APRV는 기도압력을 유지하다 간헐적으로 감소시키며, BiPAP는 흡기와 호기 시 다른 압력을 제공한다. PRVC는 설정된 부피를 유지하면서 최소 압력으로 호흡을 지원한다.
-
2. 지속적신대체요법(CRRT)급성신부전 환자에게 24시간 연속으로 혈액정화를 시행하는 치료법이다. 신기능 손상, 혈역학적 불안정, 크레아티닌 상승 시 적용된다. 장점은 저혈압 환자에게 안전하고 시간 단위로 유동량 조절이 용이하며 환자 맞춤형 투석액 사용이 가능하다. 단점은 물과 용질 제거력이 낮고 필터 막힘 위험이 있다. 신장 역할을 하는 필터 내에서 혈액과 투석액이 투석막을 통해 물질을 이동시킨다.
-
3. 경피경간담도배액술(PTBD)방사선 투시 영상을 이용하여 배액관을 간 내 담도에 삽입해 담즙을 체외로 배출시키는 시술이다. 담도 폐색, 담석, 종양으로 인한 담즙 배출 장애 시 시행되며, 수술 전 담즙 수치 저하나 수술 후 간 기능 보전 목적으로도 사용된다. 시술 전 4시간 이상 금식이 필요하고, 초음파 또는 투시 영상으로 확인하며 국소마취 후 천자침을 삽입한다.
-
4. 중환자실 기본간호술기의식 수준 사정을 위해 Glasgow Coma Scale(GCS)을 사용하며, 눈 뜨기, 언어, 운동 반응을 평가한다. 구강간호는 기관내 삽관 환자에게 2-4시간 간격으로 필요하고, 욕창 예방을 위해 2시간마다 체위 변경을 시행한다. 기관 흡인 시 멸균 카테터를 사용하고 흡인 압력은 100-120mmHg로 조절하며, 의식 없는 환자는 즉위를 취한다. 위관영양 시 튜브 위치 확인 후 1분에 50cc 이하 속도로 주입한다.
-
1. 인공호흡기(Ventilator) 모드인공호흡기 모드는 중환자 치료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환자의 호흡 상태와 폐 기능에 따라 적절한 모드를 선택하는 것이 치료 성공의 핵심입니다. 제어 환기(CMV), 보조 환기(AMV), 동기화 간헐적 강제 환기(SIMV) 등 다양한 모드가 있으며, 각각의 장단점을 이해하고 환자 상태에 맞게 적용해야 합니다. 특히 웨닝 과정에서 점진적으로 모드를 전환하는 것이 환자의 자발 호흡 회복을 촉진합니다. 최신 인공호흡기는 환자-기계 동기화를 개선한 모드들을 제공하여 불편함을 줄이고 치료 효율을 높입니다. 따라서 의료진의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적절한 모드 조정이 환자의 예후 개선에 필수적입니다.
-
2. 지속적신대체요법(CRRT)지속적신대체요법은 급성 신부전 환자의 치료에 있어 생명을 구하는 중요한 기술입니다. 혈역학적으로 불안정한 중환자에게 기존의 간헐적 혈액투석보다 더 안전하고 효과적입니다. CRRT는 천천히 지속적으로 요독성 물질과 과잉 수분을 제거하여 환자의 혈압 변동을 최소화합니다. 다양한 모드(CVVH, CVVHD, CVVHDF)가 있어 환자의 상태에 맞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CRRT는 24시간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고, 카테터 관리와 응고 문제 등 여러 합병증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숙련된 의료진의 관리와 적절한 항응고 요법이 치료 성공의 중요한 요소입니다.
-
3. 경피경간담도배액술(PTBD)경피경간담도배액술은 담도 폐쇄로 인한 황달과 담관염 환자의 응급 치료에 효과적인 중재적 시술입니다. 수술이 불가능한 고위험 환자나 악성 종양으로 인한 담도 폐쇄 환자에게 특히 유용합니다. 초음파나 CT 유도 하에 경피적으로 담도에 카테터를 삽입하여 담즙을 배액시킴으로써 감염과 합병증을 예방합니다. 그러나 시술 후 카테터 감염, 출혈, 담도 천공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카테터 관리와 정기적인 교환이 중요하며, 환자 교육도 필수적입니다. 적절한 시술 시기와 숙련된 시술자의 기술이 치료 성공과 합병증 감소에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
4. 중환자실 기본간호술기중환자실 기본간호술기는 중환자의 생명을 유지하고 합병증을 예방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기도 관리, 흡인, 체위 변경, 피부 간호 등의 기본 술기가 환자의 회복을 크게 좌우합니다. 특히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VAP) 예방, 욕창 예방, 감염 관리 등은 간호사의 세심한 주의와 정확한 술기 수행으로 가능합니다. 중환자실 간호사는 높은 수준의 기술과 판단력, 그리고 환자와 가족에 대한 공감 능력이 필요합니다.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을 통해 술기를 유지하고 개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중환자실 간호사의 전문성 강화와 적절한 인력 배치는 환자 안전과 치료 질 향상에 매우 중요합니다.
-
성인간호학실습 중환자실 SICU 케이스(급성 허혈성 대장염) A+, 간호진단 5개 - 간호과정 2개 27페이지
성인간호학실습3사례보고서Acute ischemic colitis급성 허혈성 대장염과목성인간호학실습3실습 장소실습 기간담당 교수학년/반학번이름목 차Ⅰ. 서론1. 정의 및 원인2. 증상3. 진단/치료4. 치료5. 경과/예후Ⅱ. 본론1. 간호사정가. 개인력나. 건강력다. 간호력라. 대상자의 건강양상마. Review of Symptom바. 진단을 위한 검사 소견사. 의학적 치료 및 경과아. 기타 사정자료자. 사정자료 조직화2. 간호진단3. 간호계획 - 간호수행 ? 간호평가Ⅲ. 결론[참고문헌]Ⅰ. 서론1. 정의 및 원인허혈성 대장염은 혈관의...2024.05.29· 27페이지 -
학점 A+ 받은 성인간호학 외과계중환자실 case study (lung cancer) 16페이지
SICU Case Study Lung Cancer 실습장소 OOOOO병원 외과계 중환자실(SICU) 실습기간 - 과목 성인간호학 임상실습 I 지도자 OOO 교수님 조 학번 이름 OOO 제출일 1. 간호력 환자 기본 정보 이름 이OO 나이 66 성별 M 직업 전문,기술직 교육 고졸 종교 무 결혼상태 기혼 입원 동기와 병에 대한 인식 발병일자 2025. 02 시간 미상 병에대한 인식 유 입원경로 외래 입원동기 자의 입원일자 2025. 05. 04 2021, 2024년도에 CAOD(폐쇄성 관상동맥 질환)로 스텐트 시술하고 메리놀 병원에서...2025.06.25· 16페이지 -
성인간호학 case study A+ 국립대간호학과 SICU 식도암 진단 2개 과정 2개 5페이지
Case Study- esophageal cancer squamous -실습 과목성인간호학임상실습1실습 병동외과계중환자실실습 기간담당교수님현장 지도조학번이름제출 일시Ⅴ. 간호과정000님은(M) 64세 단순 노무직으로 5월 12일 11시 경 오른쪽 가슴부위 통증을 호소하다 심한 hematemesis를 주호소로 응급실에 내원하여 esophageal ca. 확인되어 수술 치료를 위해 입원했다. 입원 당시 키163cm 체중 56.7kg. V/S은 127/71, 86, 15, 36.3℃, 98%이었으며 의식은 명료하였고, 소주 10병/회, ...2022.02.09· 5페이지 -
ASD 널싱내러티브&SOAPIE(낙상위험성) 8페이지
2023학년도 1학기임상포트폴리오1주제: ASD1주차 - Nursing narrative 1.염OO (W/55)환자는 과거력으로 2016년 Ovary Ca로 본원 OB에서 Salpingo-oophorectomy을 진행했었고 본원 IMH CTx 후 종료한 상태이다. 2021년 10월 본원 TS chemport ins를 진행하였고, 2021년 4월 HBV 진단을 받고, 본원 IMG에서 처방 받은 PO medi 복용 중이다. 2021년 6월 ASD를 진단받고 본원 IMG에서 f/u 하면서 PO 진행 중이었다. 금일 Known Ovary ...2023.09.14· 8페이지 -
성인간호학실습 중환자실 지주막하출혈/뇌동맥류 Case Study 사례연구(간호진단 9개, 간호과정 3개) 23페이지
실습지SICU(외과계 중환자실)실습과목성인간호학실습이름학번담당 교수제출일성인간호학실습중환자간호Case StudySubarachnoid Hemorrhage(SAH)Ⅰ. 간호력(Nursing History)■ 이름(Name) : 김○○■ 나이(Age)/성(Sex) : 42/M■ 입원 일시(Date of Admission) : 2022/10/30■ 수술 일시(Date of operation) : 2022/10/30■ 진단명(Medical Diagnosis) : Subarachnoid hemorrhage / POD 3 일 (11/2 기준)...2023.03.08· 23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