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40개
-
수액 종류와 부작용 (N/S, 하트만, 포도당), 중심정맥관 및 말초정맥관 레포트2025.05.081. 중심정맥관 중심정맥관은 팔, 다리, 목에서 몸통으로 연결되어 심장으로 들어가는 굵은 정맥을 뜻한다. 한 번 삽입하면 제거하기 전까지 피부를 찌르는 고통 없이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중심정맥관은 손이나 발등의 말초정맥으로 투여되어서는 안되는 약물(항암제, 고농도 영양제 등)을 장기간 사용해야할 때, 퇴원 후 집에서 계속 수액치료나 항생제 치료가 필요한 경우에 사용된다. 중심정맥관에는 비터널 카테터, 말초삽입 중심정맥 카테터, 터널카테터, 피하 이식형 포트 등의 종류가 있다. 중심정맥관 사용 시 주의해야 할 점은 세균 감염 ...2025.05.08
-
중심정맥압 측정2025.01.161. 중심정맥압 측정 중심정맥압 측정은 순환혈액량을 측정하고, 수분공급 상태를 사정하여 수분공급량을 결정하며, 순환부전 상태를 관찰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됩니다. 준비물로는 CVP Manometer, 생리식염수 100ml, CVP Kit(Manual 측정 시 수액세트, 3-Way, Extension tube 2개), IV Stand 등이 필요합니다. 측정 방법은 손 씻기, 환자 확인, 침대 수평 및 앙와위 자세 취하기, Manometer 높이 조정, 3-Way와 수액세트 연결, 수액 주입, 눈금 읽기 등의 순서로 진행됩니다. 정상 ...2025.01.16
-
환자안전 사건 분석 및 개선활동2025.01.031. 정맥주사 간호 정맥주사 시 감염 예방을 위해 손 씻기, 무균술 준수, 정맥 상태 확인, 카테터 삽입 및 고정, 수액 주입 속도 모니터링 등의 기본적인 간호 원칙을 준수해야 한다. 또한 고위험 약물 투여 시 처방 확인, 환자 식별, 약물 표기 및 라벨링 확인, 안전한 투약 환경 조성 등의 안전 수칙을 엄격히 지켜야 한다. 2. 낙상 예방 낙상 고위험군 환자 평가, 환자 및 보호자 교육, 안전한 환경 조성, 보조 도구 사용, 간호사의 지속적인 감독, 약물 관리, 낙상 기록 및 개선 계획 수립 등의 다각도 접근이 필요하다. 이를 통...2025.01.03
-
중심정맥관 관리(C-line,Chemo port,히크만 카테터)2025.01.161. 중심정맥관 적응증 정맥내로 카테터를 삽입하여 항암제 주입, 고영양 수액제 주입, 잦은 채혈검사, 수혈, 말초혈관 사용이 어려운 환자의 치료, 백혈병이나 조혈모세포(골수)이식 환자의 조혈모세포 주입을 위한 정맥로 확보를 위해 사용한다. 2. 중심정맥관 위치 쇄골하정맥(Subclavian vein), 경정맥(Jugular vein), 대퇴정맥(Femoral vein)을 통하여 삽입되면 끝은 상대정맥(Superior vena cave)이나 우심방(Rt. atrium) 및 하대정맥(Inferior vena cave)에 위치한다. 3....2025.01.16
-
사례 기반 환자 안전 사건 분석 및 개선활동2025.01.121. 정맥주입요법 및 유지 주사액 누출을 조기에 발견하지 못하여 환자의 피부 및 손가락 등이 절단되는 장애를 입었다. 개선활동으로 정맥 주입 후 수액의 주입을 확인하고 카테터 삽입부위의 부종, 통증 등의 침윤증상을 면밀히 관찰하며, 체크리스트를 활용하여 2시간마다 삽입부위를 확인하고 대상자에게 정맥 주입 후 주의사항을 교육한다. 또한 약물의 특성과 주의사항에 대해 학습하고, 주의가 필요한 약물에 대한 투약 지침을 제작하여 준비실 벽에 부착한다. 2. 고위험 약물(KCl, 중심) 투약 원칙 및 주의사항 주치의가 처방한 염화칼륨(KCl...2025.01.12
-
신규간호사 교육 매뉴얼_중심정맥관 관리2025.05.091. 중심정맥 카테터 관리 중심정맥 카테터는 혈관작용을 가진 정맥주사용 약물이나 영양용액을 주입하기 위해, 정맥내로 수액이나 약제투여가 장기간 필요한 경우와 말초 삽입카테터의 삽입과 유지가 어려운 경우에 약물을 투여하기 위해, 중심정맥압을 측정하기 위해, 혈액의 채취 및 공급, 혈액투석의 경로로 이용될 수 있다. 중심정맥 카테터에는 비터널카테터(Non-tunneled catheter), 터널 카테터(Tunneled catheter), PICC 카테터(Peripherally Inserted Central Catheter), 이식 Po...2025.05.09
-
기본간호학 실습- 성찰일지2025.05.051. 활력징후 활력징후 측정 시 소독솜의 농도가 다른 것을 모르고 있었다. 고막, 심첨 부위를 측정할 때는 70% 알코올 솜을, 구강, 액와, 직장 체온을 측정할 때는 0.02% 클로르헥시딘을 준비하도록 한다. 직장체온을 측정할 때는 추가적으로 수용성 윤활제, 일회용 장갑, 휴지를 챙겨야 하는데 챙기지 못했다. 소독솜으로 체온계를 닦을 때는 수은주의 끝에서 손가락 쪽으로 한 번에 닦아낸다. 2. 감염 관리 보호 장구를 착용하는 술기를 정확하게 수행하지 못하였다. 폐쇄법 멸균장갑 착용에서 장갑의 손가락 부분이 내 팔 쪽이 아닌 반대쪽...2025.05.05
-
직접 교재보고 작성한 성인간호실습 사전학습- 간호 수행 항목2025.01.221. 환자의식 Check 의식(consciousness)은 자각(awareness), 각성(arousal), 인지(cognition)능력에 의해 결정된다. 의식수준은 대뇌기능의 변화를 가장 먼저, 가장 민감하게 나타내므로 상태가 악화되거나 신경학적 손상이 있으면 신속히 중재할 수 있도록 측정한다. 대상자의 의식이 또렷하지 않거나 지남력이 없을 때, 두부 상해, 종양, 뇌염이 있는 경우 의식수준을 자주 측정해야 하며, GCS 점수 뿐 아니라 대상자의 전반적인 상태를 살펴야 한다. 2. Glasgow coma scale, LOC 적용법...2025.01.22
-
[A+인증] 중환자실(ICU) 장비 및 기계 정리 보고서2025.05.061. CRRT(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CRRT는 특수한 혈관통로를 통해 몸 밖으로 혈액이 기계장치와 연결된 체외순환 라인을 거쳐 다시 몸 안으로 주입되는 과정에서 투석이 이루어지는 치료법입니다. 동정맥 치료 시 평균 혈압을 60-70mmHg로 유지하며 대퇴동맥과 정맥을 이용하고, 정정맥 치료 시 대퇴정맥이나 쇄골하정맥을 사용하며 혈류량이 풍부해야 합니다. CRRT는 신장기능이 손상된 환자에게 하루 24시간 지속적으로 시행되며, 손상된 신장 기능을 대신하여 수분, 노폐물, 전해질 등을 제거...2025.05.06
-
Central Venous Catheter (중심정맥관) 종류2025.01.291. Central Venous Catheter의 종류 Central Venous Catheter(중심정맥관)은 심장으로 들어가는 대정맥(쇄골하 정맥, 경정맥, 대퇴 정맥 등)에 삽입되는 카테터로, 혈역학적 측정, 다량의 급속 혈액주입, 말초 정맥 카테터 사용이 어렵거나 장기간 사용이 필요한 경우, 고농도 정맥 주사약 투여 등의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Central Venous Catheter의 종류에는 단기간(3-10일) 사용하는 Short-term, 중기간(5-28일) 사용하는 Midline catheter와 PICC, 장기간(6...2025.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