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직접 교재보고 작성한 성인간호실습 사전학습- 간호 수행 항목
문서 내 토픽
-
1. 환자의식 Check의식(consciousness)은 자각(awareness), 각성(arousal), 인지(cognition)능력에 의해 결정된다. 의식수준은 대뇌기능의 변화를 가장 먼저, 가장 민감하게 나타내므로 상태가 악화되거나 신경학적 손상이 있으면 신속히 중재할 수 있도록 측정한다. 대상자의 의식이 또렷하지 않거나 지남력이 없을 때, 두부 상해, 종양, 뇌염이 있는 경우 의식수준을 자주 측정해야 하며, GCS 점수 뿐 아니라 대상자의 전반적인 상태를 살펴야 한다.
-
2. Glasgow coma scale, LOC 적용법LOC는 Level of consciousness, 의식수준을 뜻한다. 의식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Glasgow coma scale(GCS)을 사용한다. GCS는 눈뜨기반응, 언어반응, 운동반응 3개의 영역을 각각 4~6단계로 나누고 관찰점수의 합계를 내어 의식수준과 정신상태를 평가한다. 점수는 3~15점이며 8점 미만인 경우 혼수상태, 완전 무의식 상태는 3점, 정상인 경우 15점의 점수가 합산된다.
-
3. 동공반사, 크기와 대칭성 관찰 및 기록동공의 지름은 보통 2~6mm 사이이며, 둥근 모양이고 양쪽 대칭이어야 한다. 밝은 빛을 비추면 동공이 작아져야 정상이다. 동공을 사정한 후 기록에 사용되는 약어 P(pupils, 동공은) E(equal, 크기가 같아야 하고) R(round, 둥글어야 하며) R(react, 반응해야 한다) L(light, 빛에 반응하고) A(accomodation, 원근조절이 되어야 한다)를 사용하여 기록한다.
-
4. 위생간호 및 기본간호병원을 방문하여 혈당을 측정하는 것만으로는 혈당 관리에 한계가 있으므로 대상자가 직접 집에서 자가혈당 측정을 시행할 수 있다. 알코올 솜으로 손가락 끝을 소독 후 혈당 측정기의 바늘로 손가락 끝을 찔러 나온 혈액을 검사 스트립에 묻히고 잠시 기다리면 혈당이 표시된다. 저혈당과 고혈당을 감지하고 예방하며, 만성적인 당뇨병성 합병증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
5. Active / Passive ROM exercise능동 관절가동범위 운동은 대상자가 스스로 각 관절을 최대한 움직여 관절의 가동성을 유지하고 신체활동과 운동을 통해 체력유지를 권장할 수 있다. 수동 관절가동범위 운동은 각 관절을 최대한 움직여 줌으로써 관절의 가동성을 유지하고 건 및 관절낭의 단축, 관절의 기형을 예방할 수 있다. 혈액순환과 감각신경 말단도 자극해준다.
-
6. 투약정맥내로 약물을 투여하는 방법은 효과가 신속하게 나타나므로 응급상황이나 빠른 효과를 보고자 할 때, 다른경로 주입시 자극이 심한 약물을 투여할 때 사용한다. 수액요법과 광범위한 항균 치료를 위해 개발된 약제들은 대부분 정맥내로 투여한다. 피하주사는 근육주사나 정맥주사보다 약물 흡수를 느리게 하여 투여하기 위해 시행한다. 피내주사는 심한 과민성 반응을 일으킬 경우를 대비하여 혈류분포가 적은 표피 바로 밑 진피층에 약물을 주입한다.
-
7. Intravenous bolus (side shooting)정맥내로 일회용량을 한 번에 투여하는 것으로, 정맥 수액주입을 하는 중 다른약을 주입하는 경우에는 기존에 있는 정맥 투여경로 이용 하고, IV push/ IV side shooting 이라고 한다. 약물의 빠른 효과를 얻기위해 농축된 약물을 주사기를 이용하여 직접 주입한다.
-
8. 항생제 피부 반응 검사항생제 과민반응을 알아보기 위해 비자극성 농도로 희석하여 수행하는 피부반응검사로, 오른쪽 전박 내측부위에 0.1ml의 약물을 6~10mm의 팽진이 생기게 투여한다. 검사 15분후 10mm 이상의 팽진이나 발적이 동반되는 경우 양성으로 판정한다.
-
9. TPNtotal parenteral nutrition, 완전비경구영양으로 구강이나 경장영양으로 섭취를 전혀 할 수 없는 경우 완전한 영양을 공급하기 위해 시행한다. 중심정맥에 카테터를 삽입하여 생명 유지에 필요한 에너지와 영양소를 전부 투여한다.
-
10. 정맥주입속도 계산과 약용량 계산법의사가 수액의 양과 주입시간을 처방하면 간호사는 정확한 수입속도를 계산하고 조절해야 한다. 주입속도 계산, 분당 방울 수 계산, 24시간 수액주입시 주입속도 등이 있다. 간호사는 처방받은 단위가 아닌 단위로 약물을 준비해야 하는 경우가 있으며 부피와 무게 단위를 원하는 용량으로 전환할 책임이 있다.
-
1. 환자의식 Check환자의식 체크는 환자의 상태를 신속하게 파악하고 적절한 간호 중재를 제공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의식 수준을 정확히 평가하고 기록하는 것은 환자의 예후를 예측하고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의식 수준 평가 시 환자의 반응을 체계적으로 관찰하고 기록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통해 환자의 상태 변화를 신속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의식 수준 평가 결과는 의료진 간 의사소통과 협력을 위한 공통된 기준이 되므로, 표준화된 평가 도구를 사용하여 객관적이고 일관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
2. Glasgow coma scale, LOC 적용법Glasgow 혼수 척도(GCS)와 의식 수준(LOC) 평가는 신경학적 상태를 신속하게 파악하고 환자의 예후를 예측하는 데 매우 중요한 도구입니다. GCS는 눈 개봉, 언어, 운동 반응의 3가지 영역을 평가하여 환자의 의식 수준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LOC는 환자의 반응성과 각성 수준을 평가합니다. 이러한 평가 도구를 정확히 적용하고 기록하는 것은 환자 상태 변화를 신속히 파악하고 적절한 간호 중재를 제공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또한 의료진 간 의사소통과 협력을 위한 공통된 기준이 되므로, 표준화된 방법으로 평가하고 기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3. 동공반사, 크기와 대칭성 관찰 및 기록동공 반사, 크기, 대칭성 관찰은 신경학적 상태를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동공 반사는 뇌신경 기능을 반영하며, 크기와 대칭성은 뇌압 상승이나 뇌 손상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동공 소견을 정확히 관찰하고 기록하는 것은 환자의 신경학적 상태를 신속히 파악하고 적절한 간호 중재를 제공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관찰 결과는 의료진 간 의사소통과 협력을 위한 공통된 기준이 되므로, 표준화된 방법으로 관찰하고 기록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관찰 결과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환자 상태 변화를 신속히 파악하고 대응할 수 있어야 합니다.
-
4. 위생간호 및 기본간호위생간호와 기본간호는 환자의 건강과 안녕을 증진시키고 합병증을 예방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환자의 개별적인 요구와 상태를 고려하여 체계적이고 표준화된 방법으로 위생간호와 기본간호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편안함과 안전을 보장하고, 감염 예방과 피부 손상 예방 등 합병증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위생간호와 기본간호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과 모니터링을 통해 간호사의 역량을 강화하고 간호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은 환자 중심의 양질의 간호를 제공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
5. Active / Passive ROM exerciseActive와 Passive ROM 운동은 관절 가동 범위를 유지하고 근육 위축을 예방하는 데 매우 중요한 간호 중재입니다. 환자의 상태와 능력을 고려하여 적절한 운동 방법을 선택하고,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운동을 수행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운동 수행 과정과 결과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환자의 반응을 평가하고, 필요 시 운동 방법을 조정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기능 회복을 촉진하고 합병증 발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간호사는 ROM 운동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갖추고, 환자 중심의 개별화된 접근을 통해 양질의 간호를 제공해야 합니다.
-
6. 투약투약은 환자의 건강과 안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간호 중재입니다. 간호사는 약물의 작용 기전, 부작용, 상호작용 등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안전하고 효과적인 투약을 수행해야 합니다. 또한 환자의 상태와 요구를 고려하여 개별화된 투약 계획을 수립하고, 투약 과정과 결과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약물 부작용을 예방하고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투약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표준화된 절차와 지침을 준수하고, 의료진 간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협력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노력은 환자 중심의 안전한 간호를 제공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
7. Intravenous bolus (side shooting)정맥 내 bolus 주입(side shooting)은 신속한 약물 투여가 필요한 상황에서 사용되는 중요한 간호 중재입니다. 이 기술을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간호사의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이 필요합니다. 약물의 특성, 투여 속도, 주입 기술 등을 고려하여 환자의 상태에 맞는 적절한 bolus 주입을 수행해야 합니다. 또한 주입 과정과 결과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부작용 발생을 예방하고 치료 효과를 극대화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표준화된 절차와 지침을 준수하고, 의료진 간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협력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노력은 환자 안전과 치료 효과를 보장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
8. 항생제 피부 반응 검사항생제 피부 반응 검사는 약물 알레르기 반응을 확인하고 안전한 투약을 위해 중요한 검사입니다. 간호사는 검사 절차와 해석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검사를 수행하고 결과를 정확히 평가해야 합니다. 검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예방하고 환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표준화된 지침을 준수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검사 결과를 의료진과 효과적으로 공유하여 약물 투여 계획을 수립하고, 환자에게 검사 결과와 의미를 충분히 설명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 중심의 안전한 약물 투여를 보장할 수 있습니다.
-
9. TPNTPN(Total Parenteral Nutrition)은 경구 섭취가 어려운 환자에게 필수적인 영양 공급 방법입니다. 간호사는 TPN 처방, 준비, 투여, 모니터링 등 전 과정에 걸쳐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발휘해야 합니다. TPN 관리 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예방하고 환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표준화된 지침을 준수하고, 의료진 간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협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환자의 상태와 요구를 고려하여 개별화된 TPN 관리 계획을 수립하고,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영양 상태와 합병증 발생을 평가해야 합니다. 이러한 노력은 환자 중심의 안전하고 효과적인 TPN 관리를 보장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
10. 정맥주입속도 계산과 약용량 계산법정맥 주입 속도와 약물 용량 계산은 안전하고 효과적인 약물 투여를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간호사는 이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계산 능력을 갖추고 있어야 합니다. 약물의 특성, 환자의 상태, 투여 경로 등을 고려하여 정확한 계산을 수행하고, 계산 과정과 결과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표준화된 계산 공식과 지침을 준수하여 오류를 최소화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약물 부작용을 예방하고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정맥 주입 속도와 약물 용량 계산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을 통해 간호사의 역량을 강화하고, 의료진 간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협력을 통해 안전한 약물 투여를 보장해야 합니다.
직접 교재보고 작성한 성인간호실습 사전학습- 간호 수행 항목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9.20